• 제목/요약/키워드: competency unit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31초

신규간호사 배치후 교육시 프리셉터쉽 적용 사례연구 (The Effect of Preceptorship on OJT(On the Job Training) of New Nurses)

  • 김창희;김혜숙;조혜성;이순옥;함형미;박미미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546-559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receptorship on On the Job Training of new nurses. The research design was a retrospective survey and one group pre-post 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49 entry nurses and 49 preceptor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Feburary 1, 1998 to December 1, 1998. One questionnair appli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the responses of new entry nurses and their preceptors and their qualities. The other questionnair consisted of job satisfaction of new entry nurses and preceptors and their competencies. The data were analyzed for frequencies, mean score,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ANOV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Preceptees's responses were that the nurses' affiliation of unit, cooperation of other nurses, and competencies of nursing skills improved after OJT applied preceptorship. 2) Preceptors's answers were that precepto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continuing education. 3) While preceptees's job satisfaction scores were high in interaction, administration, and organization, they were low in autonomy and pay. 4) Pre-competency scores were the same as post-competency scores. 5) After preceptorship, preceptors responded that their nursing skill & communication competency increased, but their nursing administration competency decreased. 6) Finally, preceptorship's other effects were as follows: (1) Checklists for preceptee education at the nursing unit were developed separately. (2) It was proved that 'preceptor interview note' was effective on manage preceptorship. (3) We obtained duty overlap periods; medicalsurgical units-1 month, 5 ICU-2 months, operation room-3 months. (4) We prepared a preceptor program based on the study results.

  • PDF

중환자실의 현장실무 강화교육 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임상실습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linical Practicum Reinforcement Program on Nursing Student's Clinical Competency and Satisfaction in the ICU)

  • 이은숙;김정숙;김아영
    • 임상간호연구
    • /
    • 제17권2호
    • /
    • pp.262-274
    • /
    • 2011
  • Purpose: To identify the effects of clinical practicum reinforcement program on nursing student's clinical competency and satisfaction in the ICU. Methods: The study utilized a quasi-experimental pretest-posttest research design. The participant was 76 senior nursing students, who were engaged in two week-long clinical practicum in ICU at the C university hospital in a G city, Korea. The clinical practicum reinforcement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n=39), while the control group (n=37) was involved in the conventional practicum progra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x^2$/Fisher's exact test, and t-test, ANCOVA with SPSS/WIN 18.0 program. Results: After 2 weeks' clinical practicum,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clinical performance abilities by self evaluation,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linical instructor's evaluation on the student's clinical performance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level in nursing activity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p<.001).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the satisfaction on the clinical practicum program except the learning guidance and the evaluation. Conclusion: The clinical practicum reinforcement program is an effective one for improving the student's clinical competency.

초등학교 과학 '용해와 용액' 단원에서 협력적 문제해결에 기반한 수업이 학생들의 인성역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Based Science Class on Students' Character Competency in the Elementary School Science 'Dissolution and Solution' Unit)

  • 박지앵;박지훈;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6권6호
    • /
    • pp.509-520
    • /
    • 2022
  • 이 연구는 협력적 문제해결에 기반한 초등 과학수업이 학생들의 인성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광역시 소재의 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의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실험집단 학생들에게는 초등 과학교육과정 '용해와 용액' 단원에서 선정한 5개 주제에 대하여 협력적 문제해결에 기반한 초등 과학수업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협력적 문제해결에 기반한 과학수업이 학생들의 인성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업 전과 후 인성역량 검사결과와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수업 중 작성한 반성글쓰기 활동지 및 수업 후 자신의 인성역량 변화에 대한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협력적 문제해결에 기반한 초등 과학수업은 초등학생의 인성역량을 함양시키는 데 효과적이었다.

NCS를 활용한 전문대학 교육과정 개편 (Redesign of A College Educational Curriculum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 오만덕;이승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651-662
    • /
    • 2014
  • 산업현장 적합형 전문직업인력 양성이라는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전문대학교육이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이하 NCS) 체제 중심으로 변화되고 있다. NCS기반의 교육과정은 단순히 직무관련 지식과 스킬을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적용 수준으로 역량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기존 교육과정과 차별화된다. 본 연구에서는 광고제작과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대학 사례연구로, 산업현장 및 수요자 요구, NCS 분류체계를 토대로 교육과정을 개편하였다. NCS기반 교육과정 개발절차에 따라 일부 교과목들이 신규 도출되거나 폐지되었으며, 학과 자체적으로 도출한 능력단위들이 교육과정에 추가 반영되었다. 개편된 NCS기반 교육과정을 토대로 전문직업인력을 양성함으로써 전문대학교육이 산업현장과 한층 밀착연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직무능력평가사의 직무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Job Analysis of Job Competency Assessor)

  • 이진구;정일찬;김지영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413-423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NCS에 기반한 직무수행능력 성취도(교육훈련, 자격, 현장경험 등)를 역량평가를 통해 평가하는 직무능력평가사의 역할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직무능력평가사의 직무모형을 개발 및 검증하고, 핵심작업을 도출하는 직무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직무능력평가사의 책무는 NCS 기반 평가원리 확인, 평가계획 수립, 평가도구 설계 및 개발, 평가 실행, 피드백 제공 및 재평가, 평가 기록 및 관리, 내부평가 타당성 검토, 선행학습인정 계획수립, 선행학습인정 평가 실행, 선행학습인정 타당성 검토로 나타났고, 48개의 작업이 도출되었다. 또한, 책무별로 작업의 중요도와 난이도를 곱한 임계도 값을 바탕으로 총 21개의 핵심작업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직무능력평가사 직무분석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역량 기반 전공 교과목의 성취도 평가 방안에 관한 연구: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Outcome Assessment of Competency-based Major Subjects: Focusing on the case of K University)

  • 조용연;김주리;강승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225-234
    • /
    • 2022
  • 다양한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설계한 역량 기반 전공 교과목이 늘어나고 있다. 여기서 역량이란 핵심역량 혹은 전공능력, 공학교육인증의 프로그램 학습성과, NCS의 능력단위 등을 포함한다. 교육부의 대학 기본역량 진단 평가에서는 모든 전공 교과목이 해당 학과의 전공능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편성 운영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공학교육인증을 운영하는 학과의 전공 교과목은 프로그램 학습성과와 연계되어야 한다. 또한, 능력중심사회가 강조되면서 대두된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를 교육내용으로 구성하여 전공 교과목을 능력단위에 기반하여 개발 운영하기도 한다. 다양한 형태의 역량 기반 전공 교과목은 관련된 역량이 향상될 수 있도록 교육하고, 수행의 과정과 결과를 모두 고려하여 학생들이 어느 정도의 성취 수준을 보이는지 확인할 수 있는 역량 평가 방식을 선정하여 교육성과를 측정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역량과 연계된 전공 교과목에서 교육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역량평가 유형을 살펴보고, 교과목 단위에서 다양한 형태의 역량을 종합하여 측정하는 평가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전공 교과목에 적용한 사례를 제시한다.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ing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 박재현;최성희;정영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7-26
    • /
    • 2020
  • In Korea, primary school (also junior high school) is compulsory and free since 2004. But it looks high school is also compulsory, as over 80% of adults has a high school diploma currently. For 20 years improving high school education is only education-oriented, rather than occupation-oriented. And, the mismatch between the occupational requirement and the lesson from school is getting larger. To resolve this issue, the Korean government builds and utilize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to realize a competence-oriented society. With NCS, the government enables to run of a work-study program and tries to suggest the fundamental solution to improve occupational ability and the unemployment of young people. However, the prejudice against the education level and occupation is still engrained, and it is hard to match the education-career-qualification based on NCS. Therefore, we study NCS from the definition to the utilization, suggest an improving method to flexibly utilized the standards in the fields, and continuously improve and develop the NCS.

직업능력개발훈련과정의 시간당 수강료 영향 요인 분석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on Hourly Course Fee in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Course)

  • 최영섭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39-249
    • /
    • 2019
  • 현재 직업능력개발훈련에 대한 재정 지원은 NCS 직종 분류에 따라 설정된 NCS 기준 단가에 따라 집행되고 있다. 이러한 기준단가 제도는 훈련분담금-지원금 제도가 운영되는 경우 그에 필요한 행정 부담을 경감시켜주는 장점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NCS 기준단가가 훈련과정별 수강료를 기준으로 함에 따라 직업훈련 정책의 사회통합적 기능을 왜곡시킬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앞으로 합리적 개선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로서, 훈련기관에서 책정하는 훈련과정별 수강료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제로 훈련기관의 독점적 성격이나 훈련참여자의 높은 지불의사가 수강료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정부의 직업능력개발훈련에 대한 재정지원에서 이러한 영향을 제거하고 실제 훈련공급비용에 가까운 지원이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훈련정책이 사회적 통합성 제고에 기여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근본적으로 모든 훈련과정의 정확한 훈련공급비용을 보전해 줄 수 없다면 정부의 정책적 판단을 중심으로 하는 지원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urriculum Model for Labor Manager's Empowerment : Focusing on NCS Labor Management Capability Unit

  • KIM, Jae-Sung
    • 동아시아경상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1-40
    • /
    • 2020
  • Purpose - The labor management department is an important area in charge of the labor-management relations that affects the competitiveness of the company. This study seeks to diagnose labor management education focusing on labor manager competency strengthening curriculum that is currently being conducted domestically and propose an educational model that can contribute to the labor manager competency development by researching improvement measur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In this study, the first phase is a Delphi open form survey and 15 expert panels participated. The second phase had 31 expert panels participating and in the final IPA analysis, targeting 111 on-site subjects, it conducted a survey regarding desired level of current educational level and future education requirement. Results - A final 57 subjects regarding 11 items to increase the competency of the labor manager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elphi survey was deduced through this study. To add, regarding the current education level and desired level that the current workers are thinking with respect to analysis results of the 57 subjects through the IPA analysis, an educational model could be deduced to increase competency of the labor managers based on the result. Conclusions - Thus far, research regarding labor management has been insufficient as it was defined as a subordinate role to human resources. This study reviews the role and competency of labor managers and presented an educational model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internal labor managers to re-illuminate the labor manager. However, this study is limited in terms of the diversity of the types of companies participating and the small number of panels. Better data can be produced if such parts are supplemented in the future.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도제프로그램의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 현황 분석 연구 (A Study of Analysis NCS-based Curriculum Organization of the Apprenticeship Program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High Schools Participating in the Apprenticeship System)

  • 안재영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23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의 도제프로그램이 NCS 기반 교육과정에 어떻게 편성되었는지를 분석하여 도제학교의 도제프로그램 개발과 도제교육과정 편성 및 평가 방안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159개 학교 186개 과정의 도제 부장교사에게 조사지를 송부하였으며, 116개 학교의 141개 과정(75.8%)에 대한 현황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제프로그램 편성시간은 평균 1054.2시간(62.0단위)이고, 도제프로그램은 학교교육과정에서 12.4개 과목으로 편성되었는데 그 중에서 실무과목은 9.6개(77.5%)였다. 과목의 NCS 능력단위별 평가 정도는 '교과 내용 전체를 능력단위별 평가'(80.1%), '교과 내용 일부를 능력단위별 평가'(14.4%), '능력단위와 무관하게 평가'(5.6%)의 순이었다. 둘째, 학교교육과정 교과목의 편성 시간이 도제프로그램 능력단위의 편성 시간보다 많거나 같은 과목(바람직한 경우)은 평균 11.5개(93.1%), 그렇지 않은 과목은 평균 0.9개(6.9%)였다. 그리고 학교교육과정 교과목의 편성 내용이 도제프로그램 능력단위의 내용을 포함하는 과목(바람직한 경우)은 평균 10.6개(85.8%), 그렇지 않은 과목은 평균 1.8개(14.2%)였다. 셋째, 과목의 공통능력단위/학생선택능력단위 편성 현황을 분석한 결과, 공통능력 단위만으로 편성된 과목은 8.5개(68.5%), 학생선택능력단위가 편성된 과목은 3.9개(31.5%)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에 터하여 도제프로그램 개발과 도제교육과정 편성 및 평가 방안에 대한 정책적 제언으로 시 도교육청의 교육과정 변경 승인 기간 유예 적용, 시 도교육청의 교육과정 점검 및 컨설팅 강화,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기업특화과목(가칭) 또는 학생선택과목(가칭) 신설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