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arison of cultivars

검색결과 306건 처리시간 0.032초

원료 품종별 쌀죽의 품질 특성 비교 (A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Porridges Made from Different Cultivars)

  • 박혜영;이지윤;안억근;김현주;최혜선;박지영;심은영;송하나;김홍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58-467
    • /
    • 2021
  • The effect of 16 cultivars on the quality of the rice porridge was investigated. The 'Geunnun' had the highest water absorption rate, but the 'Segyejinmi' yield (w/w) was the highest. The total sugar content of the rice porridge was 0.29~8.10%, showing significant variation among the cultivars. High amylose 'Dodamssal' and 'Hwaseonchalbyeo' glutinous rice displayed rotational viscosities of <20,000 cP. Rotational viscosities for boiled rice cultivars were 30,000~40,000 cP, representing an intermediate level, and the rotational viscosities of 'Geonyang2' and 'Hanareum4' were over 50,000 c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viscosity of rice porridge varies significantly among raw material cultivars. Among other variables affecting the texture profile of rice porrid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ardness and gumminess among the cultivars. As a raw material, 'Baekokchal', a kind of glutinous rice, is known to be whiter than the non-glutinous rice, but after processing to porridge, it showed the lowest L value (71.1). Starch degrading enzyme activity was not significant in most types of rice porridges within 30 or 60 minutes. Therefore, enzymatic starch degradation is thought to be completed within 30 minutes. Among the tested raw materials, 'Miho' was 73.5 ㎍/mg, indicating the best digestibility in vitro.

RNA-Seq data를 이용한 사과 과육색 판별 SNP 분자표지 개발 (Development of SNP markers for the identification of apple flesh color based on RNA-Seq data)

  • 김세희;박서준;조강희;이한찬;이정우;최인명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4권4호
    • /
    • pp.372-378
    • /
    • 2017
  • 과육색이 다르게 발현되는 사과(Malus domestica L.) 품종의 유전자 발현을 비교하기 위해 2개의 cDNA library를 제작하였다. 붉은 색 과육 품종인 'Redfield'와 백색 과육 품종인 'Granny Smith'의 유전자 발현 차이를 보기 위해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 기술을 사용하였고 두 품종으로부터 얻은 EST의 염기서열을 결정하고 기존에 보고된 유전자와의 상동성을 분석하였다. HRM 기술은 붉은 색 과육 품종 사과와 백색 과육 품종 사과의 짧은 PCR 증폭산물에서 한 개의 서로 다른 염기서열을 구분하여 분리해낼 수 있다. 'Redfield'와 'Granny Smith'의 EST database로부터 103쌍의 단일염기다형성(SNP) 분자표지를 선발하였고, 붉은 색 과육 품종 10개와 백색 과육 품종 11개를 구분할 수 있는 SNP 분자표지를 HRM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과 EST database를 기반으로 HRM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사과 품종의 적육계와 백육계를 구분할 수 있는 효율적인 SNP 분자표지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SNP 분자표지는 사과육종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사과 품종의 다양한 색 변화에 관한 분자 기작 연구에 좋은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복숭아 유전자원의 적색 과육 판별 SNP 분자표지 개발 (Development of SNP Molecular Marker for Red-fleshed Color Identification of Peach Genetic Resources)

  • 김세희;남은영;조강희;전지혜;정경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03-311
    • /
    • 2019
  • 과피와 과육의 다양한 색은 복숭아 분류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상업적 기준 중 하나이다. 새로운 적색 과육 품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많은 교배 조합과 세대가 진전되어야 한다. 따라서 육종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목적 형질을 가진 개체에 적용할 조기 선발 분자표지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과육색이 다르게 발현되는 복숭아 품종의 유전자 발현을 비교하기 위해 2개의 cDNA library를 제작하였다. 적색 과육 품종인 '조생혈도'와 백색 과육 품종인 '미백도'의 유전자 발현 차이를 보기 위해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 기술을 사용하였고, 두 품종으로부터 얻은 EST의 염기서열을 결정하고 기존에 보고된 유전자와의 상동성을 분석하였다. '조생혈도'와 '미백도'의 EST database로부터 72쌍의 SNP 분자표지를 선발하였고, 적색 과육 품종 8개와 백색 과육 품종 24개를 구분할 수 있는 SNP 분자표지를 HRM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복숭아 EST database를 기반으로 HRM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복숭아 품종의 적육계와 백육계를 구분할 수 있는 효율적인 SNP 분자표지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SNP 분자표지는 복숭아 육종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복숭아 품종의 다양한 색 변화에 관한 분자 기작 연구에 좋은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가을 김장배추 품종별 김치 가공적성의 비교 (Comparison of Fall Cultivars of Chinese Cabbage for Kimchi Preparation)

  • 이인선;박완수;구영조;강국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26-230
    • /
    • 1994
  • 가을 김장배추의 품종별 김치가공적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 품종의 특성을 조사하고, 김치를 제조하여 발효양상과 관능적 기호도를 비교하였다. 배추 품종별 물리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포기당 무게는 ‘올림픽’이 가장 무겁고, 길이는 ‘청산’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배추 품종별로 화학적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은 $91.51%{\sim}94.37%$의 범위이었으며, ‘노란맛’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비타민 C와 환원당은 ‘청산’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별로 제조한 김치의 발효양상을 보기 위하여 $4^{\circ}C$에서 숙성시키면서 pH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입동’과 ‘대복’의 저하 속도가 빠르게 나타났고 숙성 40일째 모든 품종이 pH 4.0 이하로 저하되었다. 총산의 함량은 ‘녹탑’과 ‘청산’을 제외한 대부분의 품종이 12일째 초기의 2배가 되었으며, 숙성 40일에는 대부분 $0.55{\sim}0.59%$ 수준이었다. 이상의 결과와 관능적 기호도 조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올림픽’과 ‘가락신 1호’가 김치제조의 가공적성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이앙시기에 따른 벼 품종별 줄무늬잎마름병 발생 및 수량 비교 (Comparison of Rice Stripe Disease Occurrence and Yield under Different Rice (Oryza sativa L.) Cultivars)

  • 차광홍;오환중;박흥규;정우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5-82
    • /
    • 2010
  • 벼 이앙시기별 및 벼 품종별 줄무늬 잎마름병 발생 및 벼 수량에 대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벼 줄무늬 잎마름병 발생이 심한 경우 간장, 수장, 이삭수, 수당입수, 등숙율 등이 매우 낮아서 정상주에 비교하여 64%의 감수를 보였다. 2. 벼 이앙시기별 발병률은 5월 30일 > 6월 15일 > 7월 1일 순으로 나타났고, 발병률이 높은 상습 발병지나 감수성 품종의 경우는 이앙시기를 6월 15일 이후로 정하는 것이 줄무늬 잎마름병에 대한 병 발생률을 줄이는 방법으로 나타났다. 3. 벼 줄무늬 잎마름병 저항성 품종으로는 화영벼, 온누리, 일미벼, 남평벼, 동진2호, 호품벼, 황금누리, 말그미, 새누리, 풍미1호, 해찬물결, 황금노들, 칠보벼, 동진벼, 영안벼, 주남벼, 삼광벼, 낙동벼 등 총 18개 품종이었으며, 감수성 품종으로는 오대벼, 운광벼, 신운봉1호, 만나벼, 호평벼, 보라미, 다미벼, 왕찰벼, 설갱벼, 백진주벼, 농림6호, 사사니시끼, 유니시까리, 청무벼, 동진1호, 흑남벼, 구로마이, 상해항혈나, 흑찰벼, 흑향벼, 아랑향찰벼 등 총 21개 품종으로 조사되었다.

Investigation of Root Morphological and Architectural Traits in Adzuki Bean (Vigna angularis) Cultivars Using Imagery Data

  • Tripathi, Pooja;Kim, Yoonha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7권1호
    • /
    • pp.67-75
    • /
    • 2022
  • Roots play important roles in water and nutrient uptake and in response to various environmental stresses. Investigating diversification of cultivars through root phenotyping is important for crop improvement in adzuki beans. Therefore, we analyzed the morphological and architectural root traits of 22 adzuki bean cultivars using 2-dimensional (2D) root imaging. Plants were grown in plastic tubes [6 cm (diameter) × 40 cm (height)] in a greenhouse from July 25th to August 28th. When the plants reached the 2nd or 3rd trifoliate leaf stage, the roots were removed and washed with tap water to remove soil particles. Clean root samples were scanned, and the scanned images were analyzed using the WinRHIZO Pro software. The cultivars were analyzed based on six root phenotypes [total root length (TRL), surface area (SA), average diameter (AD), and number of tips (NT) were included as root morphological traits (RMT); and link average length (LAL) and link average diameter (LAD) were included as root architectural traits (RA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variance (ANOVA),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cultivars for all root morphological traits. Distribut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all root traits except LAL followed a normally distributed curve. In the correlation test, the most important morphological trait, TRL, show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SA (r = 0.97***) and NT (r = 0.94***). In comparison, between RMT and RAT, TRL showe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LAL (r = -0.50***); however, TRL did not show a correlation with LAD. Based on RMT and RAT, we identified the cultivars that ranked 5% from the top and bottom. In particular, the cultivar "IT 236657" showed the highest TRL, SA, and NT, while the cultivar "IT 236169" showed the lowest values for TRL, SA, and NT. In addition, the coefficient of variance for the six tested root traits ranged from (14.26-40%) which suggested statistical variability in root phenotypes among the 22 adzuki bean varieties. Thus, this study will help to select target root traits for the adzuki bean breeding program in the future, generating climate-resilient adzuki beans, especially for drought stress, and may be useful for developing biotic and abiotic stress-tolerant cultivars based on better root trait attributes.

시장 출하 '거봉' 및 '캠벨얼리' 포도의 등급과 품질 조사 (Comparison of 'Kyoho' and 'Campbell Early' Table Grape Fruit Quality in Wholesale Market)

  • 황용수;임병선;김진국
    • 농업과학연구
    • /
    • 제37권1호
    • /
    • pp.7-12
    • /
    • 2010
  •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able grape quality was found between harvest seasons, producers and cultivars. In general, 'Kyoho' grapes showed much greater difference in fruit quality than 'Campbell Early'. The ratio of 'Campbell Early' grapes with poor quality (below quality standard within grades), was higher in fruit harvested early in the season, mainly because of immature fruit harvest. In 'Kyoho', poor quality of fruit seemed to be derived from the deviation of cultural practice between producers. Major factors responsible for poor quality in both cultivars includes harvest of unripe cluster, poor sorting and grading, berry abscission, and poor coloration. It is recommended to introduce a new quality standards considering the market condition in 'Kyoho' or a fresh-cut technology of grape berries for niche market.

NaCl 처리에 따른 감자 (Solanum tuberosum L.) 기내 식물체의 내염성 및 Proline 함량 변화 (Salt tolerance and proline accumulation of potato (Solanum tuberosum L.) in vitro plants to NaCl treatment)

  • 임주성;조지홍;조광수;장동칠;진용익;유홍섭;천충기;김미옥;한다솜;이슬기;김화영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2권2호
    • /
    • pp.129-134
    • /
    • 2015
  • 감자 12품종의 내염성 비교를 위하여 NaCl 0, 75, 150, 225 mM을 처리한 MS배지에서 줄기 단일절편을 기내 배양하여 신초길이와 무게, 근길이 및 proline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NaCl 처리에 따른 신초와 근생장의 품종 간 비교에 적정한 NaCl 처리농도는 75 mM이었다. NaCl 150 mM과 225 mM 처리에서는 신초의 로제트화 및 엽의 백화현상이 심하여 품종 간 비교가 어려웠다. 신초의 길이와 무게는 '대지', '수미', '자영', '하령'이 양호하였으며, '고운', '대서', '홍영' 등은 불량하였다. 근길이는 '서홍', '수미', '하령' 등이 양호하였던 반면, '고운', '대서', '대지', '조원', '추백' 등은 극히 미미하였다. Proline 함량은 모든 품종에서 NaCl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그 증가량은 신초와 근생장이 양호했던 품종들이 불량했던 품종보다 더 낮은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수미'와 '하령'이 NaCl 처리배지에서 신초와 근생장 모두 양호하여 내염성이 강한 품종으로 판단되었으며, 이들 품종들을 활용한 추가 포장시험을 통하여 국내 간척지 등 염류화 토양에서도 감자재배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쌀 보리 전분의 성질비교 (Comparison of Some Properties of Naked Barley Starches)

  • 김오목;김관;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3-36
    • /
    • 1985
  • 쌀보리(송학, 영산 및 진안56호) 전분의 물 결합능력, 아밀로스 함량, 상대적 결정도, Swelling Power및 가열에 따른 호화도의 변화는 품종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아밀로그람 특성값 및 알카리에 의한 점도 증가 양상은 품종마다 독특한 경향을 보였다. 송학전분은 아밀로그람에 의한 호화온도가 가장 낮았으며, 알카리 호화에 대하여 저항성이 큰 경향을 보였다.

  • PDF

Effect of the Nutritive Components of Mulberry Fruits From Two Cultivars Based on Irrigation Scheduling

  • Ju, Wan-Taek;Lee, Sora;Kim, Heon-Woong;Jo, You-Young;Kwon, Hae-Yong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52-359
    • /
    • 2020
  • BACKGROUND: The mulberry cultivars 'Daeshim' and 'Shimgang' were developed in RDA in 2014 and 2017, respectively. 'Daeshim' yields a fruit size bigger than that of other varieties and has a productivity of over 70%, whereas 'Shimgang' has a high yield and a special characterization against the mulberry popcorn disease. In our study, a compositional comparison of these popular cultivars in Korea was undertaken to explore the nutrient profiles of mulberry fruit and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rich minerals and flavonoids in mulberry fruit as performing each other irrigation time. METHODS AND RESULTS: These two cultivars were collected from the Sericulture and Apiculture Division, RDA, in Korea to investigate their amounts, weights, minerals, and flavonoid content using each other instrument. After 6 h of irrigation treatment, the amount of fruit (kg/tree) from Daeshim and Shimgang increased by 17.5 and 15.2 kg/tree, respectively. The total flavonoid content from Daeshim and Shimgang was determined to be 132.9 mg and 36.3 mg, respectively, after the 6 h irrigation treatment. CONCLUSION: Appropriate irrigation treatment methods such as water scheduling and volume will help increase fruit quantities and farmer incomes. It would be interesting to conduct further in-depth research on these fruits so that consumers can benefit from them as a food addi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