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Rice Stripe Disease Occurrence and Yield under Different Rice (Oryza sativa L.) Cultivars

이앙시기에 따른 벼 품종별 줄무늬잎마름병 발생 및 수량 비교

  • 차광홍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친환경농업연구사업단) ;
  • 오환중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친환경농업연구사업단) ;
  • 박흥규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
  • 정우진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공학부 친환경농업연구사업단)
  • Received : 2009.11.10
  • Accepted : 2009.12.27
  • Published : 2010.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 occurrence rate of rice stripe virus disease under different rice transplanting time and different rice cultivars. After final harvest, the yield of rice infected by rice stripe virus was obtained on Wangchal cultivar compared to uninfected rice. The results obtained as following: 1) Yield of rice infected by rice stripe virus was decreased by 64% with reduction of culm length, pancile length, number of spike, number of spikelet, and grain filling compared to uninfected rice, 2) An occurrence rate of rice stripe virus disease under different rice planting season was high as order of May 30 > June 15 > July 1. In additional, to reduce a rice stripe virus disease on higher disease occurrence region and susceptible cultivars, rice planting season will be accepted on and after June 15, and 3) Eighteen cultivars were resistance cultivars such as Hwayeongbyeo, Onnuri, Ilmibyeo, Nampyongbyeo, Dongjin2ho, Hopumbyeo, Hwangkeumnuri, Malgeumi, Saenuri, Pungmi1ho, Haechanmulgyeo, Hwangkeumnodeul, Chilbobyeo, Dongjinbyeo, Younganbyeo, Junambyeo, Samkwangbyeo, and Nakdongbyeo. Twenty-one cultivars were susceptible cultivars such as Odaebyeo, Unkwangbyeo, Shinungbong1ho, Manabyeo, Hopyongbyeo, Borami, Damibyeo, Hwangchalbyeo, Sulgengbyeo, Nongrim6ho, Sasanishigi, Yunishigari, Chungmubyeo, Dongjin1ho, Huknambyeo, Guromy, Shanghehanghulna, Heukchalbyeo, Heukhwangbyeo, and Aranghwangchalbyeo.

벼 이앙시기별 및 벼 품종별 줄무늬 잎마름병 발생 및 벼 수량에 대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벼 줄무늬 잎마름병 발생이 심한 경우 간장, 수장, 이삭수, 수당입수, 등숙율 등이 매우 낮아서 정상주에 비교하여 64%의 감수를 보였다. 2. 벼 이앙시기별 발병률은 5월 30일 > 6월 15일 > 7월 1일 순으로 나타났고, 발병률이 높은 상습 발병지나 감수성 품종의 경우는 이앙시기를 6월 15일 이후로 정하는 것이 줄무늬 잎마름병에 대한 병 발생률을 줄이는 방법으로 나타났다. 3. 벼 줄무늬 잎마름병 저항성 품종으로는 화영벼, 온누리, 일미벼, 남평벼, 동진2호, 호품벼, 황금누리, 말그미, 새누리, 풍미1호, 해찬물결, 황금노들, 칠보벼, 동진벼, 영안벼, 주남벼, 삼광벼, 낙동벼 등 총 18개 품종이었으며, 감수성 품종으로는 오대벼, 운광벼, 신운봉1호, 만나벼, 호평벼, 보라미, 다미벼, 왕찰벼, 설갱벼, 백진주벼, 농림6호, 사사니시끼, 유니시까리, 청무벼, 동진1호, 흑남벼, 구로마이, 상해항혈나, 흑찰벼, 흑향벼, 아랑향찰벼 등 총 21개 품종으로 조사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노태환.이두구.심형권.박종철.최만영.강미형.김재덕.박진우. 2006. 재배양식에 따른 벼 줄무늬잎마름병 전염원인 애멸구의 밀도.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9(4): 488-490.
  2. 이봉춘.윤영남.홍성준.홍연규.곽도연.이종희.여운상.강항원.황흥구. 2008. 벼 줄무 늬잎마름병의 발생 분석. 식물병연구 14(3): 210-213.
  3. 이순형.김종희. 1968. 줄무늬잎마름병에 벼 품종의 저항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물보호학회지 5(6): 47-53.
  4. 임형기.차광홍.박인선. 1976. 줄무늬잎마름병 감염시기시험. 전남농시 1976: 569-571.
  5. 정봉조. 1973. 벼 바이러스병의 발생현황과 방제대책. 한국식물보호학회지 12(4): 157-168.
  6. 정봉조. 1974. 한국에서 벼 줄무늬잎마름병의 발생, 피해, 기주범위, 전염 및 방제에 관한 연구. 한국식물보호학회지 13(4): 181-204.
  7. 野賴久義. 1940. 稻縞葉枯病の 發生に 就て. 朝農報. 14(10): 23-26.
  8. Kuribayashi, K. 1931. On the relation between rice stripe disease and Delphacodes striatellus Fallen. Journal of Plant Protection, Japan 18: 565-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