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ny test

검색결과 318건 처리시간 0.034초

일본흰개미 아종 모니터링 및 군체제거를 위한 예찰제어기 개발 연구 (Applicability Study on Reticulitermes speratus kyushuensis (Isoptera: Rhinotermitidae) Colony Eliminator to Preserve Wooden Cultural Heritage)

  • 정용재;김시현;김윤주;유재승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6호
    • /
    • pp.818-825
    • /
    • 2015
  • 전통 목조건축물의 보존을 위해 국내 전역에 서식하는 일본흰개미 아종(Reticulitermes speratus kyushuensis)의 방제에 적합한 흰개미 예찰제어기 제형을 개발하고 실내 실험 및 현장적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실내 실험 결과를 통해 적합한 제형을 구성하였으며, 보다 빠른 군체제거가 가능한 독먹이로써 피프로닐 0.001% (w/w)이 선정되었다. 흰개미 예찰제어기는 기존 군체제거제와 다르게 지면에 설치된 상태 그대로 흰개미 가해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어 효율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였다. 2013년 3월부터 10월까지 전남 순천 송광사 권역에서 수행된 현장적용성 평가 결과 총 367개 중 약 9.8%에 해당하는 36개에서 흰개미가 탐지되었으며, 군체제거약제 교체 후 36개 모두에서 흰개미 군체가 제거되거나 활성이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식수에서 분리한 대장균군의 생화학적 성상에 의한 균종별 분포 (Biochemical Classification of Coliforms Isolated from Drinking Water)

  • 함희진;안미진;박석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27-232
    • /
    • 1999
  • 세균오염지표인 대장균군의 균종별 분포를 조사함으로써 세균학적 의미를 조사하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1997년 6-7월에 서울시 보건환경 연구원에 의뢰된 옹달샘 시료와 지하수 시료를 실험에 사용하였고, 옹달샘 유래 대장균군 112주와 지하수 유래 대장균군 24주를 IMViC test와 API 20E kit(BioMeriux)를 사용하여 균 분리 동정한 후 합계 136균주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대장균군을 분리 동정한 결과 23균종이 분리되었으며, 균종별로는 Esherichia 속균 39주(28.6%), Klebsiella 속균 32주(23.5%), Enterobacter 속균 30주(22.1%), Serratia 속균 19주(14.0%), Citrobacter 속균 6주(4.4%), Kluyvera 속균 4주*3.0%) 그리고 기타 6주 (4.4%)로 나타났다. 분리 균주들의 EMB agar상의 집락 색상은 녹색 금속 광택 50.7%, 분홍색 44.2%, 자주색 5.1%로 나타났고, 형태는 smooth colony 64.7%, mucoid colony 34.6%, rough colony 0.7%로 각각 나타났다. 생화학적 시험결과 lactose broth 에서는 가스를 생성하였으나 KIA에서는 gas를 생성치 않은 균종이 Ent. intermedium, Ser. liquefaciencs, Ser. marcescenes 그리고 Sal. arizoae이었고, H2S를 생성한 대장균군으로는 Kleb. pneumoniae, Kleb. oxytoca, Kleb. ornithinolytica, Ent. sakasakii, Ent. cloacae, Ser. Liquefaciens, Ser. ficaria, Cit. freundii 그리고 Sal. arizoae이었다. 이상의 결과 대장균군 정성시험 양성을 나타내는 대장균군은 대부분이 E. coli, Klebsilla 속균 그리고 Enterobacter 속균이었다. 또한 향후 대장균군 정성시험 시 EMB agar 상에서 녹색 금석성 광택 집락 외에도 분홍색 집락이 주의시되어지며, rough colony는 대장균군 분리에서 제외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생화학적 성상 검토 결과 새로운 형태의 대장균군 출현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PDF

능력검정에 의한 우량 종봉 선발에 관한 연구 (Selection of superior breeding colonies of Apis mellifera based on performance-testing)

  • 손영익;차용호;최광수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9권
    • /
    • pp.17-22
    • /
    • 2001
  • 본 연구는 여왕별의 능력검정 및 선발기술을 확립하기 위하여 1999년 11월부터 2001년 10월까지 상주시 내서연 능암리 산 246번지에 있는 양봉장에서 서양종 봉군(Apis millifera)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999~2000 월동 기간 중 월동 전 후의 벌통무게는 $22.6{\pm}2.6kg$$20.1{\pm}2.6kg$로서 월동기간 중 벌통 무게 감소량은 $2.5{\pm}0.7kg$였다. 월동 2차 연도인 2000~2001 월동 기간 중 월동 전 벌통무게는 $22.6{\pm}2.3kg$이었으나 월동기간 중 벌통무게는 $2.3{\pm}0.6kg$이 감소되었다. 아까시꿀 채밀 직전에 조사된 착봉소비 매수는 2000년 5월 22일에 $13.1{\pm}4.6$매였으나, 2001년 5월 21일에는 $16.0{\pm}3.8$애였고, 계상이용율은 2000년에 50%이었으나 2001년에는 98.5%이었다. 아카시 유밀기에 있어서 2차에 걸쳐 채밀한 군당 평균 채밀량은 2000년에는 $12.7{\pm}8.6kg$이었으나 2001년에는 비선발군에서 $14.2{\pm}7.6kg$ 그리고 검정선발여왕벌 봉군에서 $23.5{\pm}4.9kg$이었다.

  • PDF

가공식품과 비가공식품에서의 황색포도상구균 검출을 위한 배지법과 Real-time PCR법의 비교 (Comparison of Standard Culture Method and Real-time PCR Assay for Detec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in Processed and Unprocessed Foods)

  • 이재훈;송광영;현지연;황인균;곽효선;한정아;정윤희;서건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10-418
    • /
    • 2010
  • 황색포도상구균은 사람과 동물에서 화농성 질환과 위장관계 질환을 일으키는 세균으로 자연계에 널리 상재하며 식품으로의 감염이 일어날 수 있어 식중독의 원인이 된다. 이에 신속하고 정확한 황색포도상구균의 검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재균의 오염도가 다른 다양한 축산 가공식품과 비가공식품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의 검출을 위해 표준 시험법인 배지법과 자체 개발한 real-time PCR법의 검출도를 비교하였고 황색포도상구균 coagulase 확인시험과 real-time PCR법을 활용한 colony PCR 확인 시험을 비교하여 균 동정 능력을 비교하였다. 상재균 수가 적은 식품인 우유와 소시지 그리고 상대적으로 상재균수가 많은 생 돼지고기와 야채 샐러드를 샘플로 선정하여 인위적으로 500 g 혹은 mL의 샘플을 25 g씩 20개의 시료샘플로 나누어 실험하였을 때에 최소한 한 개 이상 양성 결과가 나오도록 황색포도상구균을 접종하여 배지법과 realtime PCR법을 시행하여 검출능력을 비교하였다. 배지법에서 획득한 의심 집락의 확인 동정은 coagulase 시험과 realtime PCR법을 활용한 colony PCR 확인시험을 병행하여 비교하였으며 각각의 결과를 real-time PCR법으로 신속 검출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식품 내 상재균 수가 적은 축산 가공식품인 우유나 소시지 등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을 검출할 경우에는 배지법의 coagulase 확인시험과 colony PCR 확인시험과의 유의차가 없었으며 colony PCR 확인시험을 이용한 확인동정 결과와 real-time PCR법을 사용한 24시간 신속 검출 결과 사이에도 역시 유의차가 없었다. 반면에 상대적으로 상재균수가 많은 비가공식품인 생 돼지고기나 야채 샘플에서는 coagulase 시험법을 사용한 황색포도상구균의 확인동정은 유효성이 매우 떨어졌으며 colony PCR 확인시험 결과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Real-time PCR법을 사용한 24시간 신속 검출법은 배지법의 coagulase 시험법의 양성 수보다 낮은 검출률을 보였으나 colony PCR 확인시험보다 높은 검출률을 보여 상재균 수가 높은 샘플에서도 배지법을 대체해서 사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임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한 realtime PCR법은 기존 배지법을 대체하여 24시간 이내에 신속하게 황색포도상구균을 검출할 수 있고 coagulase 확인 시험을 대체할 수 있는 방법으로 여겨진다.

합금크롬주철의 탄화물형상 및 열처리가 내마모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rbide Morphology and Heat Treatment on Abrasion Wear Resistance of Chromium White Cast Irons)

  • Yu, Sung-Kon;Matsubara, Yasuhiro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407-413
    • /
    • 2002
  • Eutectic high chromium cast irons containing 17%Cr and 26%Cr were produced for this research by making each of them solidify unidirectionally. Abrasion wear test against SiC or $Al_2$O$_3$bonded paper was carried out using test pieces cut cross-sectionally at several distances from the chill face of castings. The wear resistance was evaluated in connection with the parameters such as eutectic colony size($E_w$), area fraction of boundary region of the colony($S_B$) where comparatively large massive chromium carbides are crystallized and, average diameter of chromium carbides in the boundary region($D_c$). The wear rate($R_w$), which is a gradient of straight line of wear loss versus testing time, was influenced by the type and the particle size of the abrasives. The $R_w$ value against SiC was found to be larger than that against A1$_2$O$_3$under the similar abrasive particle size. In the case of SiC, the $R_w$ value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particle size. The $R_w$ value also increased as the eutectic colony size decreased, and that of the 17%Cr iron was larger than that of the 26%Cr iron at the same $E_w$ value. Both of the $S_B$ and $D_c$ value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R_w$ value regardless of chromium content of the specimens. The $R_w$ values of the annealed specimens were greater than those of the as-cast specimens because of softened matrix structures.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wear rate and macro-hardness of the specimens, the hardness resulting in the minimum wear rate was found to be at 550 HV30.

A Rapid and Efficient Screening Method for Antibacterial Compound-Producing Bacteria

  • Hettiarachchi, Sachithra Amarin;Lee, Su-Jin;Lee, Youngdeuk;Kwon, Young-Kyung;Zoysa, Mahanama De;Moon, Song;Jo, Eunyoung;Kim, Taeho;Kang, Do-Hyung;Heo, Soo-Jin;Oh, Chulh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8호
    • /
    • pp.1441-1448
    • /
    • 2017
  • Antibacterial compounds are widely used in the treatment of human and animal diseases. The overuse of antibiotics has led to a rapid rise in the prevalence of drug-resistant bacteria, making the development of new antibacterial compounds essential. This study focused on developing a fast and easy method for identifying marine bacteria that produce antibiotic compounds. Eight randomly selected marine target bacterial species (Agrococcus terreus, Bacillus algicola, Mesoflavibacter zeaxanthinifaciens, Pseudoalteromonas flavipulchra, P. peptidolytica, P. piscicida, P. rubra, and Zunongwangia atlantica) were tested for production of antibacterial compounds against four strains of test bacteria (B. cereus, B. subtilis, Halomonas smyrnensis, and Vibrio alginolyticus). Colony picking was used as the primary screening method. Clear zones were observed around colonies of P. flavipulchra, P. peptidolytica, P. piscicida, and P. rubra tested against B. cereus, B. subtilis, and H. smyrnensis. The efficiency of colony scraping and broth culture methods for antimicrobial compound extraction was also compared using a disk diffusion assay. P. peptidolytica, P. piscicida, and P. rubra showed antagonistic activity against H. smyrnensis, B. cereus, and B. subtilis, respectively, only in the colony scraping method. Our results show that colony picking and colony scraping are effective, quick, and easy methods of screening for antibacterial compound-producing bacteria.

콜로니 픽킹 로봇 시스템의 개발 (II) 로봇 시스템의 성능실험 - (Development of Robot System for Colony Picking (II) - The Performance test of developed robot system -)

  • 이현동;김기대;김찬수;나건영;이영규;임용표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3년도 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427-433
    • /
    • 2003
  • 숙주세포가 분열될 때, 재조합 DNA 분자의 복제물이 자손에게 전달되며 거기서 벡터 복제가 일어난다. 수많은 세포 분열이 일어난 후, 동일한 숙주세포의 콜로니(colony), 혹은 클론(clone)이 생성된다. 이때 숙주세포의 분열은 배양액을 담은 용기에서 이루어진다. 박테리아 속의 배양된 콜로니에 재조합 DNA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푸른색을 띠고, 재조합 DNA가 포함되어 있으면 흰색을 띠게된다. 이 흰색의 콜로니만을 추출해 내는 것이 바로 콜로니 픽킹(picking)이라 한다. (중략)

  • PDF

치위생과 학생의 구강건강행위 및 식이습관과 우식발생요인검사 (Oral Health Behavior and Dietary Habits of Dental Hygiene Students and Caries-Causing Factor Test)

  • 김기은;황지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4호
    • /
    • pp.135-144
    • /
    • 2018
  • 구강건강행위 및 식이습관과 우식발생요인검사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치아우식증 예방 계획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평균 자극성 타액 분비율은 8.35ml, 비자극성 타액 분비율은 2.41ml로 나타났으며, 타액 완충 능력은 평균 9.29점, 포도당 평균 잔류시간은 15.81분으로 조사되었다. Streptococcus mutans colony count 검사에서 저위험군인 <$10^5$은 80.5%, Lactobacillus colony count 검사에서 저위험군인 <$10^5$은 84.4%로 나타났다. 우식발생 요인검사 간 상관관계는 자극성 타액 분비율과 비자극성 타액 분비율, 타액 완충능은 양의 상관관계를, 비자극성 타액 분비율과 포도당 잔류시간, Lactobacillus균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자극성 타액 분비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견과류와 돼지고기, 비자극성 타액 분비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알코올류로 나타났다. 치아우식증 예방을 위해서는 치아우식활성 검사와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하여 구강보건교육 시 적절한 식이조절 교육이 함께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 STUDY ON ANTIGENICITY OF GRANULOCYTE-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LBD-005) IN MICE AND GUINEA PIGS

  • Park, Jong-Il;Han, Sang-Seop;Roh, Jung-Koo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8권1호
    • /
    • pp.17-27
    • /
    • 1992
  • Antigenicity of Recombinant Granulocyte 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LBD-005), a newly developed drug for hematopoietic growth, was investigated in mice and guinea pigs. 1. Mice showed production of antibodies against LBD-005 (100mg/kg) with alumin]m hydroxide gel(alum) as an adjuvant, judged by the heterologous anaphylaxis(PCA) test using rats. On the other hand, antibodies against ovalbumin(OVA) inoculated with alum were definitely detected. 2. In the studies with guinea pigs, both the inoculation of LBD-005 only and of LBD-005 with complete Freund's adjuvant(CFA) as an adjuvant did not produce positive reactions in homologous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PC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