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ssroom assessment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28초

예비 물리 교사들의 학생평가 문항 제작 수행 수준 조사 - 형성 평가를 위한 선다형 물리 개념 검사 문항 분석 중심으로 (A Study on Performance Level of Pre-service Physics Teachers in Constructing Questions for classroom assessment - Focused on Analysis of Multiple Choice Question about Physics Conceptest for Formative Assessment)

  • 최현숙;김중복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3호
    • /
    • pp.458-475
    • /
    • 2013
  • 성취평가제 도입에 따라 교사들이 이에 부합하는 평가 문항을 제작하는 능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예비 물리 교사들의 학생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예비 물리 교사들이 제작한 형성 평가 문항을 살펴보았다. 물리교육학과 2학년에 재학 중인 17명의 예비교사들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우리는 예비교사들에게 형성 평가도구로써 선다형 물리 개념 문항을 제작하게 하고 예비교사들이 제작한 문항을 서로 검토하는 과정을 관찰하였다. 예비교사들은 5시간의 검토 과정을 통해 그들의 문항을 수정해 갔으며 16명의 예비교사들이 최종 완성된 문항을 제출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다소 낮은 수행 능력을 보였다. 문항을 제작하고 검토함에 있어 예비교사들은 다양한 관점을 가지지 못하였으며 대부분이 학생들이 가진 개념에 가한 정보를 얻는 것을 고려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예비교사들이 문항 제작에 있어 어려움이 있음을 나타내 주고 성취평가제 도입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 예비교사들의 학생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특별한 방안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 PDF

비대면 수업의 성적평가에 대한 지각된 공정성의 선행요인 및 결과요인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Perceived Fairness of Assessment in an Online Class )

  • 이성미;채희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385-390
    • /
    • 2023
  • 본 연구는 비대면 수업 환경에서 학생들이 성적평가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이해를 돕고자 Google Classroom에 참여한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비대면 수업 성적평가에 대한 지각된 공정성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을 탐색하였다. 우리는 콘텐츠 상호작용성 수준에 따라 학생들이 성적평가의 공정성을 인식하는 수준이 달라질 수 있음을 발견하였고 사회적 실재감이 학생들의 지각된 성적평가 공정성을 예측하는 변인임을 검증하였다. 또한, 지각된 성적평가 공정성은 수업에 대한 만족도와 학업 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을 발견하였다. 5-8 바랍니다.

A Web-based Virtual Laboratory System for Electronic and Digital Circuit Experiments Uing Multimedia

  • Kim, Dong-Sik;Lee, Sun-Heum;Choi, Kwan-Sun;Seo, Sam-Jun;Yoo, Ji-Yoon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4년도 ICCAS
    • /
    • pp.1178-1182
    • /
    • 2004
  • This paper presents web-based virtual laboratory system for electronic and digital circuit experiments. Through our virtual laboratory, the learners will be capable of learning the concepts and theories related to circuit experiments and how to operate virtual experimental equipments such as multimeters, function generators, digital oscilloscopes, DC power suppliers and bread board etc. The proposed virtual laboratory system is composed of important components: Principle Classroom to explain the concepts and theories of electronic and digital circuit operations, Simulation Classroom to provide a web-based simulator to the learners, Virtual Experiment Classroom to provide interactive multimedia contents about the syllabus of off-line laboratory class, Assessment Classroom, and Management System. With the aid of the management System every classroom is organically tied together collaboration to achieve maximum learning efficiency. We have obtained several affirmative effects such as high learning standard, reducing the total experimental hours and the damage rate for experimental equipments.

  • PDF

초등 수학교실에서 역량 기반 과정중심평가의 적용 방안에 대한 연구 (Process-Focused Assessment for Mathematical Subject Competency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

  • 전영주;이종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199-219
    • /
    • 2019
  • 수학 교실에서 과정중심평가의 실현을 위해서는 수업의 설계자이자 실제적 운영자인 현장 교사가 역량 기반 과정중심평가를 적용한 수업을 어떻게 계획하고 실행하는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역량 기반 과정중심평가를 적용한 실험 수업을 수행하여,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학생 평가로 강조되고 있는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실제 수업에서의 적용 사례를 분석하였고, 이에 따른 학교수학 교육평가에서 과정중심평가가 지니는 교육적 의의를 탐색하였으며, 나아가 초등수학 교육 현장에의 적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2학년 초등수학 교실에서 실제적으로 적용 가능한 역량 기반 과정중심평가 수업을 구체화하는 방안을 실제적으로 살펴보고, 더불어 과정중심평가를 적용한 수업에서 각 학생들의 요구와 필요에 부합하는 개별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법을 알아보았다는 것이다.

발생원에 따른 일부 학교 교실의 실내공기질 평가 사례연구 (Assessment of Indoor Air Quality of Classroom in School by Means of Source Generation - Case Study)

  • 양원호;변재철;김영희;김대원;손부순;이정은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10호
    • /
    • pp.979-983
    • /
    • 2005
  • Indoor air quality has been addressed as an important atmospheric environmental issue and has caught attention of the public in recent years in Korea. Good indoor air quality in classrooms favour student's learning ability, teacher and staff's productivity according to other studies. In this study, each classroom at four different schools was chosen for comparison of indoor and outdoor air quality by means of source generation types such as new constructed classroom, using of cleaning agents and purchased furniture.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RH), carbon dioxide $(CO_2)$, formaldehyde (HCHO),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TVOCs) and particulate matter with diameter less than $10{\mu}m\;(PM_{10})$ were monitored at indoor and outdoor locations during lesson. HCHO was found to be the worst among parameters measured in new constructed classroom, HCHO and TVOCs was worst in classroom with new purchased furniture, and TVOCs was worst in classroom cleaned by cleaning agents, Indoor $(CO_2)$ concentrations often exceeded 1500 ppm indicating importance of ventilation. Active activity of students during break time made the $PM_{10}$ concentration higher than a lesson, Improvements and further researches should be carried out considering indoor air quality at schools is of special concern since children and students are susceptible to poor air quality.

평가와 교육과정 및 교수방법의 일관성에 관한 연구: 연구의 종합 (A Study on Alignment of Assessment with Curriculum and Instruc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 A Synthesis of Research)

  • Oh Young Youl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3권2호
    • /
    • pp.107-122
    • /
    • 2003
  • 본 연구는 최근 수하 교육 개혁 운동에서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는 교육 과정, 교육 방법, 그리고 평가 사이의 상호 일관성(alignment)의 필요성을 이론적으로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최근의 수학 교육의 흐름에 비추어서 교실 환경에서의 평가와 국가 수준의 평가의 시각에서 교육 과정과 교육 방법과의 일관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대한 평가는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수업과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특히, CGI와 QUASAR에서 적용된 평가 모델은 평가가 어떻게 교육 과정 및 교육 방법과 일관성을 이루면서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지를 보며준다. 국가수준의 평가에 대한 연구 결과는 과거에 사용된 대다수의 이러한 종류의 평가들이 표준화 검사를 적용함으로써 많은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었음을 지적차고 있다. 특히, 평가 문항과 교육 내용 및 교육 방법과의 불일치성의 예들은 국가수준의 평가의 타당성 및 그 환용에 대해 받은 우려를 포함하고 있으며 표준화 검사는 그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수학교육 개혁의 핵심 과제인 수업 관행의 질적 개선을 위해서는 평가의 효율적인 활용이 필수적이라고 판단되며 이를 위해서는 평가와 교육과정 및 교육 방법과의 일관성은 그 전제조건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Beyond Accuracy and Speed: Task Demands and Mathematical Performance

  • Sun, Xuhua Susanna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6권3호
    • /
    • pp.155-176
    • /
    • 2012
  • It is an important issue to explore classroom environments which are conducive to developing students' mathematical performance.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different classroom environments (solution-demand and corresponding-time setting) on mathematical performances. Fourteen and eighteen prospective teachers were required to prove a task under different conditions respectively: a) Cognitive demand of multiple-solution corresponding time of three hours, and b) Cognitive demand of a right solution corresponding time of 20 minutes. We used SOLO as the assessment tool for mathematical performance from quality perspectiv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quantity and quality of mathematical performance. The regular environment focusing on speed and accuracy were found to be directly linked to low levels of performance. The findings above provide implications to the cognitive benefits of multiple-solution demand and corresponding time setting.

대학교수들이 인식하는 PBL 수업운영의 난관 탐색 (A Research on University Faculty Member's Perception of the Barriers about PBL Implementing)

  • 금혜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0호
    • /
    • pp.77-84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수가 PBL 수업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인식하는 난관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충남에 위치한 B대학에서 2017년 1학기, 2학기, 2018년 1학기동안 PBL 수업을 운영한 교수 32명이 작성한 수업성찰 보고서의 수업운영 난관관련 내용을 귀납적 분석방법(inductive content analysis)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PBL 수업운영의 난관들은 교수신념(teaching beliefs), 교실문화(classroom culture), 학습촉진(learning facilitation), 평가(assessment), 학교환경(school environment)의 대주제로 구분되었다. 이와 같은 교수들의 PBL 운영 난관을 해소하기 위해 향후 필요한 연구와 지원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PBL 운영 난관별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둘째, 학교차원에서 교수의 PBL 수업운영의 난관을 극복할 수 있는 교수역량개발 프로그램이 지원되어야 한다. 셋째, PBL 수업운영에 부합하는 물리적 학교환경과 학사제도의 변화가 수반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PBL 운영 난관에 대한 연구가 보다 확대되어야 한다.

초등수학교실에서의 수행평가 - 4학년교실의 사례 - (The Practice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 - cases of the 4th grade -)

  • 권성룡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9권2호
    • /
    • pp.107-118
    • /
    • 200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practice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es especially focused on 4th grade. To achieve this,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follow: First, What do they prepare for performance assessment? Second, What kinds of tests do they use in mathematics performance assessment? Third, What kinds of difficulties do they have for performance assessment and what should be changed for a successful performance assessment in mathematics?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ree 4th grade classes were selected from three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three teachers were interviewed. From the data analysis, several conclusion were drawn. First, a plan for mathematics performance assessment was not set by the class teacher who are in charge of the class. The main reason was lack of time. Second, in most of the assessment, written tests were used and the items in the tests were skill-oriented. Third, teachers thought that performance assessment was needed in mathematics. But lack of their time, knowledge and competency, it is difficult to do performance assessment in mathematics.

  • PDF

Changes of the Elementary Science Teaching with the Influence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 Kwak, Young-Sun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504-513
    • /
    • 2011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elementary science teaching has changed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Teachers are held accountable for student performance as measured by the mandatory nation-wide standards tests to satisfy the needs of accountability and quality assurance systems. In relation to the teaching of science in the elementary school, professionalism meets potential threats with the advent of national test. Through analysis of the classroom teaching and open-ended interviews, we explored the teacher's concerns about the national test and how their science classes have changed to prepare for this test.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national test made elementary teachers accountable for the content of their science classes, limits teachers' autonomy in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and forced teachers to conduct conclusion-centered lessons even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In addition, teachers argue that the national test precludes the possibility of differentiated education and differentiated assessment.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a new professionalism in this accountability era, so called 'informed professionalism', which refers to the ability of teachers to interpret and implement curriculum and policy mandates at the local, school and classroom level to generate equitable and improved student outcomes through teaching and learning. We also suggested further research on the teacher professionalism in teaching science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