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care teacher

검색결과 462건 처리시간 0.023초

통합보육 역량강화 프로그램이 보육교직원의 통합교육 교수 효능감과 통합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 Inclusive Childcare Capacity Building Program on In-service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Attitudes towards Inclusion)

  • 서민경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2권3호
    • /
    • pp.561-572
    • /
    • 2024
  • An inclusive childcare capacity building program was designed to enhance teacher efficacy and attitudes toward the inclusion of childcare teachers. A total of 36 teachers working in childcare facilities in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is study. Nineteen teachers were assigned to the treatment condition and 17 teacher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condition. The program explicitly addressed 15 topics, including screening and diagnosis, early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disability, family support and related services, IEP, and online site observation. The program was primarily delivered by field professionals using adult learning techniques such as small group activities, reflective journal writings, and online consultation. Teachers in the treatment group outperformed teachers in the control group on three measures of teacher efficacy, teacher play efficacy, and attitudes toward inclusion.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ncrease in teacher efficacy, play efficacy, and attitudes toward inclusion of teachers was attributed to the well-designed program, encompassing early development, disability characteristics, small group discussions, and online support. The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providing and disseminating a capacity building program for in-service teachers.

예비보육교사들의 실습경험에 대한 이야기 -보육교사교육원을 중심으로- (The Stories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Practicum Experiences : Focusing on pre-service Childcare Teacher Training Centers)

  • 임경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750-761
    • /
    • 2016
  • 본 연구는 보육실습을 마친 3급 예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보육실습에 대한 경험과 경험이 남긴 의미를 알아보고, 이를 통하여 3급 보육교사들의 효율적인 보육실습지도 방향을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경기소재 P 보육교사교육원과 S 보육교사교육원에서 교육받고 있는 16명을 대상으로 개인 면담을 실시한 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육실습은 실습기관 선정의 어려움, 실습준비 부족, 교육과정과 현장의 연계 불일치, 실습의 스트레스, 영유아 지도의 어려움, 현장의 현실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보육실습의 경험이 남긴 의미는 보육교사로서 자신의 진로 결정 및 가치관을 정립하는데 영향을 끼쳤으며,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 지식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논의에서는 도출된 주제를 중심으로 보육실습을 체계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보육교사의 인성과 아동학대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Personality and Child Abuse)

  • 강영욱;채신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315-32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 인성과 아동학대 간에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보육교사를 위한 인성교육과 직무스트레스 대처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32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SPSS 20.0을 사용하여 연구목적에 맞게 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 그리고 Sobel의 Z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 인성 하위요인 직무수행이 아동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 인성 하위요인 인간애, 창의·인성, 사회관계, 그리고 직무수행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보육활동, 학부모와의 관계가 아동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 인성 하위요인 직무수행과 아동학대 사이에서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보육활동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보육교사에 의한 아동학대를 예방하고 방지하기 위해 보육교사 인성과 관련된 직무수행 능력 향상과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보육활동의 부담을 감소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적극적으로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개념도 분석 (Childcare Teacher's Concept Map Analysis about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al Contents)

  • 이송이;손원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67-87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개념도를 통해 보육교사들의 유아안전교육 내용에 대한 보육교사의 지식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보육교사 40명을 대상으로 Novak과 Gowin(1984)의 개념도를 사용하여 안전교육 내용에 대한 지식을 조사하고 상위개념과 종속개념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교사들이 개념도에서 사용한 상위개념은 194개였으며, 위험한 상황에서 안전하게 행동하기(77.8%)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둘째, 종속개념을 분석한 결과 교사들의 개념도에서 나타난 종속개념은 1,270개였고, 종속개념의 내용을 표준보육과정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위험한 상황에서 안전하게 행동하기'에 총684개로 가장 많은 수의 종속개념이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교사 각 개념도의 밀도를 구하여 교사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안전교육 연수 횟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의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편성·운영 실태 (Recognition,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the Third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of Teachers of 0 to 2-year-olds and 3 to 5-year-olds In Child Care Centrer)

  • 김현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389-396
    • /
    • 2016
  • 본 연구는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들의 인식 및 편성 운영 실태를 분석하여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적용과 운영의 실제 변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보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들의 인식, 편성 운영 실태는 어떠한지와 영역별 실행정도는 어떠한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인식 및 편성 운영 실태에 관한 질문지를 구성하고 경상남도의 보육교사들을 연구대상으로 총 300부의 질문지를 배부하여 267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t 검증 및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들은 대체로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을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들은 대체로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을 적절히 편성 및 운영하고 있었다. 셋째, 영아반 교사와 유아반 모두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을 영역별로 실행하고 있었지만 영역별 실행도는 차이가 있었다.

열린어린이집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 어린이집 원장, 교사 및 부모를 중심으로 (Perceptions and Needs for the Open-Childcare Center: Focused on Director, Teacher, and Parent)

  • 최혜영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5권1호
    • /
    • pp.93-103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and needs among director, teacher, and parent for an open-childcare center focused on parent particip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56 directors, 231 teachers, and 299 parents in child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Incheon, Chungcheong, and Gyeongsang province. They completed a questionnaire about the perception and needs of an open-childcare center, which was later analyzed by SPSS ver. 23.0.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five areas of open-childcare center were 'participating activities as various roles,' 'willingness of parent participation,' 'reflection of parent needs,' 'concern about CCTV,' and 'sharing outdoor spaces.' Second, the perception of directors concerning open-childcare centers were higher than the ones for teachers or parents;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perception depending on their perspective position. The biggest perception of directors was 'participating activities as various roles,' and parents' one was 'concerned about CCTV.' However, the perceptions of teachers were a lower level than the other two groups'. Third, the directors showed a higher level of needs to promote an open-childcare center (except for one concerned about CCTV). Parents also showed their needs 'increasing awareness of open-childcare program,' 'promoting to parent's participation,' 'communication with on-line,' and 'concerning CCTV.' The implication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as action plans to promote an open-childcare center.

어린이집의 교육풍토,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보육과정 운영의 질 (Educational Climate of Childcare Centers,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nd Quality of Childcare Curriculum Implementation)

  • 이성혜;김연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75-93
    • /
    • 2013
  • 본 연구는 어린이집의 교육풍토,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보육과정 운영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교육풍토와 전문성 인식이 교사/시설 특성과 더불어 보육과정 운영의 질을 예측하는가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지역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207명의 보육교사들이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t-검증, 상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교육풍토, 교사의 전문성 인식, 그리고 보육과정의 운영 간에는 전반적으로 높은 정적 상관이 존재하였다.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보육과정 운영의 질을 설명하는 가장 강력한 변인은 교육풍토의 하위영역인 존경과 인정풍토, 교사/시설 특성인 어린이집 유형, 그리고 전문성의 하위영역인 사회봉사성이었다.

영아교사의 능동적 직업선택동기가 영아와의 상호작용 질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곤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Active Motivation for Choosing a Profession on the Quality of Interaction with Infants and Toddlers: Focusing on the Moderating Role of Emotional Dysregulation)

  • 양수진;신나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1-17
    • /
    • 2022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active motivation for choosing a profession on the quality of their interaction with infants and toddlers, an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ir emotional dysregulation.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hildcare teachers working with infants and toddlers. A mobile survey was conducted and a total of 282 sets of results have been collected. Moderating effects have been explored with the use of PROCESS Macro (version 3.5) Model 1. Results: The main findings showed that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dysregulation played a moderating role in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active motivation on the quality of interaction with infants and toddlers.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the ability of childcare teachers working with infants and toddlers to regulate their emotions can simultaneously play a role as a protective factor as well as a risk factor for the quality of interaction. Also, it was revealed that is necessary to give pre-service teachers an opportunity to deliberate on their motivations for a childcare teacher position.

2019개정 누리과정의 놀이지원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of play support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 김동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67-7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놀이 및 2019개정 누리과정의 놀이지원에 대한 그들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임의표집된 K시와 J도에 재직중인 보육교사 259명이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와 ANOVA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놀이에 대한 인식은 높았으며, 방임적놀이와 놀이허용의 차이를 구분에 대한 인식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2019개정 누리과정의 놀이운영에 대해 보육교사의 인식도 높게 나타났다. 셋째, 놀이인식수준에 따라 놀이운영에 대한 인식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보육교사의 놀이인식수준이 높을수록 놀이운영에 대한 인식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2019개정 누리과정이 성공적인 현장 안착에 밑거름이 되는 교사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유아코딩교육에 관한 원장의 지지, 보육교사의 학습공동체 참여 및 코딩교육 실행 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The Effects of a Childcare Center Director's Support for Coding Education on the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s Participation in Learning Communities and the Intention to Implement Coding Education.)

  • 김보현;이홍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25-41
    • /
    • 2021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a director's support for coding education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on the participation of teachers in the learning community and the intention to implement coding educa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12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rea.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a structural model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Results: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infant teacher participation in the learning community between a director's support and infant teacher's intention to implement coding education positively mediates the director's support and infant teacher's intention to implement coding education. In particular, it was discovered that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coding-related learning communities had the greatest impact on infant teachers' intentions to implement coding education based on total effectiveness. Conclusion/Implications: The above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enhance the intention of infant teachers to implement coding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learning community related to coding education and encourage participation from infant tea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