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ucational Climate of Childcare Centers,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nd Quality of Childcare Curriculum Implementation

어린이집의 교육풍토,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보육과정 운영의 질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if quality of childcare curriculum implementation could be predicted by educational climate,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teacher/classroom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results, strong positive associations existed between eudcational climate, professionalism, and implementation of childcare curriculum.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quality was 'respect and acceptance' which was a sub-factor of educational climate. Also, 'public service', a sub-factor of professionalism, explained a significant amount of variances in quality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Among teacher/childcare characteristics, the type of centers was one of the strong predictors. These study results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socio-cultural contexts in childcare centers as well as teachers'professionalism.

본 연구는 어린이집의 교육풍토,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보육과정 운영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교육풍토와 전문성 인식이 교사/시설 특성과 더불어 보육과정 운영의 질을 예측하는가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지역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207명의 보육교사들이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t-검증, 상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교육풍토, 교사의 전문성 인식, 그리고 보육과정의 운영 간에는 전반적으로 높은 정적 상관이 존재하였다.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보육과정 운영의 질을 설명하는 가장 강력한 변인은 교육풍토의 하위영역인 존경과 인정풍토, 교사/시설 특성인 어린이집 유형, 그리고 전문성의 하위영역인 사회봉사성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혜진, 이순형(2001). 보육시설의 집단 크기에 따른 영아의 또래 및 교사와의 상호작용. 아동학회지, 22(4), 201-212
  2. 구은미, 김광웅(2005). 영유아보육 프로그램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관련 변인의 인과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0(3), 139-157.
  3. 김순영(2005).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원용(2009). 유치원의 종일반 교사가 인식하는 교수학습풍토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 인(2004). 시설 유형별 보육서비스 질 비교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4(4), 147-182.
  6. 김지은, 안선희(2009) 영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4(2), 197-216.
  7. 박경선(2007).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보육시설 평가인증 사무국(2012). 2012 어린이집 평가인증 안내. 보건복지부.
  9. 박은주, 서영숙(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지표의 중요성과 실현성에 대한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인식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4(1), 67-84
  10. 서문희, 양미선(2012). 영유아 보육.교육 비용 추정 및 대응 방안 연구(기본연구과제보고서). 육아정책연구소
  11. 유희준(1984). 수업풍토와 아동의 자아개념과의 관계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2. 윤창근(2008). 교장의 수업지도성이 학교의 교수 학습풍토 및 교사의 교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3. 이경선, 이영석(2001). 어린이집 교사의 특성과 보육의 질과의 관계 연구. 아동학회지, 22(4), 189-199.
  14. 이연승, 조미나(2005). 보육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실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0(1), 41-67.
  15. 정혜영, 이경화(2009). 학교조직풍토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의 관계. 수산해양교육연구, 21(1), 121-133.
  16. 최미숙(2005). 보육교사의 교수 효능감 및 전문성 인식에 따른 교사-부모 의사소통 태도. 한국영유아보육학 40, 1-19.
  17. 한석실(2002). DAP교수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관련변인 및 신념변인 확인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18. 한유미, 김연하(2010). 보육시설의 조직건강과 보육교사의 스트레스 대처양식이 조직헌신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62, 79-96.
  19. Bronfenbrenner, U. (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ssachusetts.
  20. Brown, K. E., & Medway, F. J. (2007). School climate and teacher beliefs in a school effectively serving poor South Carolina (USA) African-American students: A case study.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3, 529-540. https://doi.org/10.1016/j.tate.2006.11.002
  21. Cost, Quality, & Outcomes Study Team. (1995). Cost, quality, and child outcomes in child care centers, technical report. Denver: Department of Economics, Center for Research in Economic and Social Policy, University of Colorado at Denver.
  22. Gerber, E. B., Whitebook, M., & Weinstein, R. S. (2007). At the heart of child care: predictors of teacher sensitivity in center-based child car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2, 327-346. https://doi.org/10.1016/j.ecresq.2006.12.003
  23. Goelman, H., Forer, B., Kershaw, P., Doherty, G., Lero, D., & LaGrange, A. (2006). Towards a predictive model of quality in Canadian child care cente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1, 3, 280-295. https://doi.org/10.1016/j.ecresq.2006.07.005
  24. Hoy, W. K., & Hannum, J. W. (1997). Middle school climate: An empirical assessment of organizational health and student achievement. Educational Administration Quarterly, 33(3), 290-311. https://doi.org/10.1177/0013161X97033003003
  25. Hoy, W. K., Tarter, C. J., & Kottkamp, R. B. (1991). Open school, healthy school: Making schools work. Newbury Part, CA: Corwin.
  26. Hyson, M., Hirsh-Pasek, K., & Rescorla, L. (1990). The classroom practices inventory: An observation instrument based on NAEYC's guidelines for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s for 4- and 5-year-old childre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5, 4, 475-494. https://doi.org/10.1016/0885-2006(90)90015-S
  27. Kim, Y. H. & Kim, Y. E. (2010).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ors' multi-dimensional teacher self-efficacy and ECE center climate and depression severity in teachers as contributing facto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6(5), 1117-1123. https://doi.org/10.1016/j.tate.2009.06.009
  28. Lindsay, P, & Lindsay, C, H. (1987. Teachers in Preschools and Child Care Centers: Overlooked and Undervalued. Child & Youth Care Quarterly, 16, 16, 91-105. https://doi.org/10.1007/BF01083974
  29. National School Climate Center (2013, April, 30th).http://www.schoolclimate.org/
  30.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ECCRN). (2005). Child care and child development: Results from the NICHD study of early child care and youth development. New York: Guildford Press.
  31. Phillipsen, L. C., Burchinal, M. R., Howes, C., & Cryer, D. (1997). The prediction of process quality from structural features of child car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2, 281-303. https://doi.org/10.1016/S0885-2006(97)90004-1
  32. Phillips, D. A., & Howes, C. (1987). Indicators of quality in child care: review of research. In D. A. Phillips(Ed,). Quality in child care: what does research tell us? (pp. 1-20).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33. Stern, G. G. (1978). People in Context: Measuring Person-Environment Congruence in Education and Industry. New York: John Wil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