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care centers

검색결과 394건 처리시간 0.02초

보육시설 평가인증이 보육교사의 보육활동 자료활용 및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care Centers Accreditation on Teachers' Utilization of Activity Materials and Interaction with Children)

  • 김영희;박지현;이은주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87-397
    • /
    • 2008
  • Recently, many childcare centers have actively participated in assessment accreditation. 115 teachers who did participate or did not participate in the accreditation process complet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We examined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in accredited centers and in non-accredited centers in terms of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work environment, the utilization of activity materials and the interaction with children. In addition, using the regression model, we analyzed the effects of several characteristics of teachers and childcare center's accreditation on the utilization of activity materials as well as the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verall, the level of work environment of non-accredited centers was lower than that of accredited centers. Second, compared with teachers in non-accredited centers, teachers in accredited centers used more and higher levels of activity materials, and demonstrated a higher level of interactions with children. Third, including accreditation, use of help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ractions between teacher and children. Forth, not only the accreditation system, but also work hours, work experience, children's age and use of help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using materials in childcare activities. Conclusively,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of teachers in accredited centers is important hi terms of facilitating the quality of activities and the interactions with children.

  • PDF

영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관한 연구: 개인변인, 또래유능성 및 교사관계를 중심으로 (A Study of Young Children's Adjustment to Childcare Centers : Focusing on the Individual Variables, Peer Competence, and Child-teacher Relationship)

  • 김상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07-230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 개인변인(성별, 연령, 기질), 또래유능성, 교사관계와 어린이집 적응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나아가 이러한 변인들이 어린이집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2, 3세 영유아 130명과 학부모, 그리고 담임교사 13명을 대상으로 개인변인, 또래유능성, 교사관계, 어린이집 적응에 대해 질문지를 이용해 평가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영유아의 연령에 따른 적응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성별 및 기질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즉, 여아가 남아보다 더 잘 적응하였으며, 새로운 자극에 대한 회피성이 높고 지구성이 낮을수록 잘 적응하였다. 둘째, 영유아의 또래유능성에 있어서 사교성, 친사회성, 주도성이 높을수록 전반적으로 더 잘 적응하였다. 셋째, 영유아가 교사와 친밀할수록 그리고 갈등이 적고 의존성이 낮을수록 어린이집에 전반적으로 더 잘 적응하였다. 넷째, 영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대한 개인변인, 또래유능성 및 교사관계 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개인변인은 유의한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교사와의 갈등 정도, 또래관계의 주도성, 그리고 교사와의 친밀감 순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함께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가정어린이집 표준보육비 산정 연구 (The Estimation of Standard Child Care Service Cost in Family Childcare Centers)

  • 김혜금;임양미;조혜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37-78
    • /
    • 2013
  • 본 연구는 가정어린이집의 운영비 현황을 파악하고 표준보육비를 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 소재 가정어린이집 442개소로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술적 통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어린이집의 운영비 실태를 살펴본 결과, 단일반 교사 전체 월평균 급여는 1,196,138원이며 혼합반 교사 전체 월평균 급여는 1,204,428원이었다. 또한 원장의 경우 월평균 급여는 1,523,748원, 취사부 542,240원, 운전기사 661,111원 등이었다. 일반 운영비의 경우 기관운영비 95,580원, 직책급 139,474원, 회의비 26,578원, 여비 39,136원, 수용비 및 수수료로 349,217원, 공공요금 264,153원, 제세공과금 156,677원, 차량운영비 261,617원, 연료비 109,896원, 기타운영비 463,388원을 지출하였다. 또한 급식비 812,054원, 교재교구비 162,239원, 행사비 85,349원, 자산취득비 183,414원, 시설장비유지비 65,741원을 지출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원장의 교사 겸직여부 및 취사부를 별도 채용여부, 식단재료의 유형 등을 고려하여 가정어린이집의 4가지 표준보육비를 산출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영아의 기질 및 조화적합성이 보육시설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Temperament and Goodness of Fit of Infant's on Adjustment to Childcare Center)

  • 김기홍;이주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7-65
    • /
    • 2010
  • 본 연구는 영아와 어머니의 배경변인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태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영아의 기질 및 조화적합성이 보육시설에서의 적응에 어떠한 영향과 요인들 간의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대상은 현재 서울과 경기도 및 제주특별자치도 지역에 소재한 총 8개 보육시설에 재원중인 만2세 영아 165명과 어머니, 그리고 보육시설에서의 영아의 담임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영아의 성별과 출생순위, 보육경험과 하루 평균 보육시설 이용시간, 그리고 어머니의 연령, 어머니 직업의 배경변인에는 차이가 없으나 어머니의 교육수준, 가정의 윌 평균 수입과 어머니의 주당 근로시간(일주일)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차이가 있고, 보육시설 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머니의 통제적 태도와 긍정적 태도 그리고 영아의 규칙적 기질이었으며 보육시설에서의 전체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머니의 통제적 태도와 긍정적 태도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통제적 태도, 긍정적 태도가 높을수록 보육시설 전체 적응력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어머니가 자녀를 엄격하게 통제하거나 자녀행동에 대해 통제하고자 하는 강한 엄포 분위기를 조성하기보다는 어머니가 자녀와 긍정적인 관계를 맺으며 개개 자녀에게 맞는 규칙과 훈육 및 적절한 통제성을 제시하여 자녀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양육태도로서 영아가 가정에서 어릴 적부터 부모로부터 긍정적 모자관계 형성을 통해 옳고 그름의 적절한 통제와 규칙과 규율을 배우면서 기본생활의 습관화 교육을 받은 자녀가 보육시설에서도 적응에 어려움이 없다는 의미로 해석 할 수 있다.

유아보육 및 교육기관장의 변혁적 리더쉽과 교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 : 교사 우울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Depression on Psychological Empowerment by Teachers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 민하영
    • 아동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1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chers' depression and the psychological empowerment of teachers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The subjects were 208 teachers employed in kindergartens or childcare center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Questionnaires, which required self-reporting by teachers, were used to investigate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chers'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The data thus collected were analyzed by mean of Pearson's correlation, hierarchial regression, and by the use of SPSS Win 15.0. The results of our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eachers' psychological empowerment. Second, teachers' depress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eachers' psychological empowerment. Finally, The interaction effects of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depression on teachers' psychological empowerment were observed.

어린이집 교사의 개인변인과 기관변인에 따른 직업행복감 연구 (A Study on Childcare Teacher's Career Happiness according to Personal and Organizational Variables)

  • 강은진;김정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1-39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dition of career happiness according to personal and organizational variables of childcare teachers. Method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035 teachers were surveyed. The validity of the career happiness survey tool was examined through previous research, expert review, and factor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individual variables influencing career happiness of childcare teachers were mainly age,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career happiness of teachers over 40 years old and teachers under 29 years old. Second, the teachers at home daycare centers showed a high level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working hours. The teachers at workplace daycare centers have a good balance between work and life, and teachers at corporate group daycare centers have a high sense of happiness about income. The childcare teacher's career happiness was generally higher than infant teachers, and the support of the assistant teacher had an effect on the career Happiness of the teachers.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separate teacher support is needed to increase the career happiness of teachers according to their age and institutional variables.

보육시설의 물리적 환경 및 교사의 창의적 역할수행과 유아 창의성간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Physical Environment of Childcare Centers, Teachers' Creative Teaching Approaches, and Young Children's Creativity Level)

  • 김수진;조복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25-146
    • /
    • 2005
  • 본 연구는 보육시설의 물리적인 환경 및 교사의 창의적인 역할수행과 유아창의성간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유아 182명을 대상으로 Torrance(1981)가 개발한 창의적 사고 검사인 TCAM(Thinking Creativity in Action and Movement)을 실시하여 창의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해당 어린이집 담임교사 28명을 대상으로 보육시설의 물리적 환경 및 교사의 창의적 역할수행에 관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성별에 따른 유아의 창의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유아의 연령에 따른 유아의 창의성은 창의성의 하위영역인 상상력에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상상력이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물리적 환경의 질적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의 창의성이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가 창의적인 역할을 유아에게 적극적으로 수행할수록 유아의 창의성은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시설의 물리적 환경 및 교사의 창의적 역할수행은 유아의 창의성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보육시설의 물리적 환경 및 교사의 창의적 역할수행은 유아의 창의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육시설의 물리적 환경의 질적 수준이 높고, 교사가 유아에게 창의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노력할수록 유아의 창의성이 더욱 성장하고 발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어린이집 보육 교사의 자기분화와 내현적 자기애에 따른 조직시민행동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Covert Narcissism in Terms of Teachers'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in Childcare Centers)

  • 민하영
    • 아동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115-126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covert narcissism with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on the part of teachers in childcare centers. The subjects consisted of 522 teachers who worked in childcare center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means of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using SPSS Win 19.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elf-differentia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However when covert narcissism was operating as control, self-differentiation was not associated with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2) Covert narcissism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3) Between both covert narcissism and self-differentiation, only covert narcissism was associated with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4) There were observable interactional effects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covert narcissism to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보육교사의 직장 내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in the Workplace on Job Satisfaction Among Childcare Centers Teachers: The Mediating Role of Interpersonal Competence)

  • 우이슬;김지연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5-63
    • /
    • 2023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whether teachers' interpersonal competence serves as a mediator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in the workplace, as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and their level of job satisfac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mprised 422 childcare teachers employed in childcare centers across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ollected data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Additionally,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validate the mediating rol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petence in the association between workplace soci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Results: The study's findings reveal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job satisfaction. The study successfully confirmed the mediating role of interpersonal competence among childcare teachers in the connection between workplace soci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enhancing the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requires identifying diverse social support systems within childcare centers that influence them. It is imperative to formulate strategies that highly value social support and concurrently enhance interpersonal skills.

보편적 보육료 지원정책이 여성 노동공급과 출산율에 미친 영향 (The Effects of Universal Child Care Subsidy on Female Labor Supply and Fertility)

  • 민규량;이철희
    • 노동경제논집
    • /
    • 제43권4호
    • /
    • pp.143-177
    • /
    • 2020
  • 본 연구는 영유아 보육료 지원정책이 보육시설공급률에 따라 노동공급과 출산율에 상이한 영향을 미쳤음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보육시설공급률이 높을수록 보육료 지원에 의해 보육시설 입소에 유리한 다자녀모의 경력유지 확률이 증가했을 뿐 아니라 첫째 자녀의 출산율이 높아졌고, 국공립 어린이집의 공급률이 높은 경우에는 보육비 지원 이후 둘째 자녀 출산율도 유의하게 높아졌음을 보여준다. 이는 보육료 지원정책의 효과가 출생순위에 따른 보육시설 입소 우선순위, 거주지역 보육시설의 양적, 질적 공급 정도에 따라 달라짐을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