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18.14.01.021

A Study on Childcare Teacher's Career Happiness according to Personal and Organizational Variables  

Kang, Eun Jin (육아정책연구소)
Kim, Jeong Sook (부천대학교 유아교육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14, no.1, 2018 , pp. 21-3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dition of career happiness according to personal and organizational variables of childcare teachers. Method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035 teachers were surveyed. The validity of the career happiness survey tool was examined through previous research, expert review, and factor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individual variables influencing career happiness of childcare teachers were mainly age,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career happiness of teachers over 40 years old and teachers under 29 years old. Second, the teachers at home daycare centers showed a high level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working hours. The teachers at workplace daycare centers have a good balance between work and life, and teachers at corporate group daycare centers have a high sense of happiness about income. The childcare teacher's career happiness was generally higher than infant teachers, and the support of the assistant teacher had an effect on the career Happiness of the teachers.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separate teacher support is needed to increase the career happiness of teachers according to their age and institutional variables.
Keywords
Childcare Teacher; Career Happiness; Teachers'age; Types of child care center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차정주, 이효림 (2015). 유아교사의 소진과 정서노동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0(2), 375-393.
2 최윤경, 김재원 (2011). 보육교직원 보수체계 개선 방안 연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3 최혜진, 이호필 (2015).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셀프리더십이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6(2), 515-537.
4 홍지명 (2015). 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자아탄력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연구. 인문사회21, 6(3), 591-607.
5 황명진, 심수진 (2008). 한국의 행복지수 개발. 조사연구, 9(3), 93-117.
6 Burke, P. J., Fessler, R., & Christensen, J. C.(1984). Fastback 214 Teacher career stages: Implications for staff development. Bloomington, Indiana: Phi Delta Kappa Educational Foundation.
7 Daum 포털싸이트 (2017). 행복을 키워드로 검색한 자료. https://www.daum.net/ 에서 2017년 11월 24일 인출
8 Diener, E. D.,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1), 71-75.   DOI
9 Fujiwara, D., Dolan, P., & Lawton, R. (2015). Creative occupations and subjective wllbeing. London: Nesta Working Paper.
10 Hills, P., & Argyle, M. (2001). The oxford happiness questionnaire: A compact scale for the measurement of psychological well-be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3(7), 1073-1082. doi:10.1016/S0191-8869(01)00213-6   DOI
11 EIU (2005. 07). The economist intelligence unit's quality-of-life index. Retrieved July 17, 2015 from http://www.economist.com/media/pdf/QU ALITY_OF_LIFE.pdf
12 EUROFOUND (2012). Fifth european working conditions survey-overview report. Luxembourg: Publication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Retrieved June 5, 2015 from https://www.eurofound.europa.eu/sites/default/files/ef_publication/field_ef_document/ef1182en.pdf
13 OECD (2011). OECD better life initiative: Compendium of OECD well-being indicators. OECD. Retrieved June 5, 2015 from http://www.oecd.org/std/47917288.pdf
14 Gallup (n.d.). 'How does the gallup-sharecare well-being index work?' from http://www.gallup.com/185471/gallup-healthways-index-work.aspx 에서 2017년 11월 24일 인출.
15 ILO (2012). Decent work indicators: Concepts and definitions: ILO Manual(First edition). Geneva: Internation Labour Organizationa.
16 Katz (1985). Research currents: Teachers as learners. Language Arts, 62(7), 778-782.
17 OECD (2015). How's life? 2015 measuring well-being. Paris: OECD Publishing. Retrieved June 5, 2015 from http://www.ifuturo.org/documentacion/hows%20life%202015.pdf
18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1069-1081. doi:10.1037/0022-3514.57.6.1069   DOI
19 UN (2013). World happiness report 2013, New York: UN Sustainable Development Solutions Network.
20 Watson, D., Clark, L. A., & Tellegen, A. (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6), 1063-1070.   DOI
21 김시연, 오재연 (2014).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교사의 내적변인과 외적변인들간의 구조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9(5), 23-50.
22 강문숙 (2015). 보육교사의 직무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조직문화를 중심으로. 교육혁신연구, 25(3), 67-88.
23 권석만 (2008). 긍정 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 학지사.
24 권영호 (2008). 사회인구학적 변인의 수준에 따른 교사의 행복도의 차이.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김명소, 한영석 (2006). 한국인의 행복지수 공식 개발. 조사연구, 7(2), 1-38.
26 김길숙, 문무경, 이민경 (2015). 유치원.어린이집 교사 권익 보호 실태 및 증진 방안.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7 김은설, 이진화, 김혜진, 배지아 (2014). 유치원.어린이집 운영실태 분석 및 요구 분석.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8 김은영, 권미경, 조혜주 (2012). 교사양성과정 내실화를 위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일과운영 및 교사의 직무분석.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9 김은영, 장혜진, 조혜주 (2013). 영유아 교사 복지 실태와 개선 방안.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30 김혜리, 조형숙 (2013). 유아교사의 교사 효능감과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 31(4), 275-292.
31 박은미 (2012). 공동체 인식에 비추어 본 어린이집 조직문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구광현, 김성숙 (2013). 유아교사의 행복감이 창의성과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7(2), 287-304.
33 민혜영, 윤미정 (2011). 영아반과 유아반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3), 147-168.
34 박순호, 고은미 (2008). 유치원 교사와 보육교사의 경력에 따른 직무수행 비교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2(6), 195-213.
35 박희숙, 윤수정 (2014). 24시간 어린이집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감정이입 능력과 타인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1), 1-22.
36 배세은, 문혁준 (2016). 영아반 교사의 행복감,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5(3), 239-258. doi:10.21183/kjcm.2016.09.15.3.239.
37 예지은, 진현, 서정의, 김명진, 류지성 (2013). 직장인의 행복에 관한 연구.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38 성지현 (2012). 유아의 연령과 놀이 영역에 따른 유아-보육교사 상호작용과 유아 언어 발달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32(4), 229-253. doi:10.18023/kjece.2012.32.4.011   DOI
39 송미선(2014). 유아교사의 행복 관련 연구의 동향분석. 어린이미디어연구, 13(3), 149-169.
40 오재연, 김경란 (2015). 생태학 이론 관점에서 본 유아교사의 행복감 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9(3), 29-51.
41 이선경, 이민희, 김경의 (2014).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행복감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4), 661-680.
42 이미화, 강은진, 박진아, 윤재석, 조아라, 신혜원 등 (2015). 보육교직원 자격체계 개편 연구. 세종: 보건복지부, 육아정책연구소.
43 이미화, 최윤경, 이정원, 도남희, 권미경, 박진아 등 (2016). 2015년 전국보육실태조사: 어린이집 조사 보고. 세종: 보건복지부, 육아정책연구소.
44 이병임 (2014).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정서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4(3), 129-152.
45 이선미, 이승미 (2013). 영아교사의 정서노동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8(6), 153-180.
46 이정순, 박용순, 송진영 (2016). 국공립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과의 관계. 교육문화연구, 22(4), 379-407. doi:10.24159/joec.2016.22.4.379   DOI
47 일요신문 (2017. 11). 경상남도, '선생님이 행복해야 아이들이 행복해요' 보육교사 토크콘서트 열어. http://ilyo.co.kr/?ac=article_view&entry_id=282072 에서 2017년 11월 31일 인출
48 이진화 (2007).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개인 및 기관의 정서변인, 직무만족도, 소진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9 정혜욱, 이옥형 (2011). 초임 유아교사와 경력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1(3), 31-53. doi:10.18023/kjece.2011.31.3.002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