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stimation of Standard Child Care Service Cost in Family Childcare Centers

가정어린이집 표준보육비 산정 연구

  • 김혜금 (동남보건대학 보육과) ;
  • 임양미 (전주대학교 가정교육과) ;
  • 조혜영 (성신여자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Received : 2013.06.13
  • Accepted : 2013.10.17
  • Published : 2013.10.31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operating expenses and to estimate the standard child-care service cost in family childcare centers. The subjects were 442 family childcare centers in Korea an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by using SPSS 18.0 program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as the result of operating expenses analyses of family childcare centers, monthly average staff wages were 5,120,000 won and average general operating costs per month were 5,114,170 won. Therefore, monthly average operating costs of family childcare centers were totally 10,234,170 won. Secondly, the four standard child care service costs were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directors holding an additional teacher's position concurrently, whether the additional cooking staff were employed or not, and the type of lunch/snack materials.

본 연구는 가정어린이집의 운영비 현황을 파악하고 표준보육비를 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 소재 가정어린이집 442개소로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술적 통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어린이집의 운영비 실태를 살펴본 결과, 단일반 교사 전체 월평균 급여는 1,196,138원이며 혼합반 교사 전체 월평균 급여는 1,204,428원이었다. 또한 원장의 경우 월평균 급여는 1,523,748원, 취사부 542,240원, 운전기사 661,111원 등이었다. 일반 운영비의 경우 기관운영비 95,580원, 직책급 139,474원, 회의비 26,578원, 여비 39,136원, 수용비 및 수수료로 349,217원, 공공요금 264,153원, 제세공과금 156,677원, 차량운영비 261,617원, 연료비 109,896원, 기타운영비 463,388원을 지출하였다. 또한 급식비 812,054원, 교재교구비 162,239원, 행사비 85,349원, 자산취득비 183,414원, 시설장비유지비 65,741원을 지출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원장의 교사 겸직여부 및 취사부를 별도 채용여부, 식단재료의 유형 등을 고려하여 가정어린이집의 4가지 표준보육비를 산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현숙(2006). 보육시장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방안. 서울 : 한국조세연구원.
  2. 김현숙, 서병선(2008). 보육료 지원체계 개편방안 연구. 서울 : 보건복지가족부.
  3. 김혜금(2010a). 보육료현실화를 위한 표준보육료 산정. 경기도 :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4. 김혜금(2010b). 보육료 현실화를 위한 표준보육비용 산정. 서울 : 한국보육시설연합회.
  5. 김혜금(2011). 보육교사를 위한 영아 상해예방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29(3). 1-12.
  6. 박기백, 김현숙, 김우철, 김형준, 손녕민(2005). 표준보육.교육단가 및 적정부담수준에 관한 연구. 서울 : 여성가족부-한국조세연구원.
  7. 변용찬, 임유경(2002). 표준보육단가 평가와 단가 산출. 서울 : 보건사회연구원.
  8. 보건복지부(2010). 보육시설 급식운영관리 매뉴얼. 서울 : 보건복지부.
  9. 보건복지부(2012a). 2011년 보육통계. 서울 : 보건복지부.
  10. 보건복지부(2012b). 2012년도 보육사업안내. 서울 : 보건복지부.
  11. 삼성복지재단(2000). 서울특별시 보육시설의 표준보육단가 산출 및 재정지원 제도에 관한 제언. 서울 : 삼성복지재단.
  12. 송명희(2012). 가정어린이집 운영정상화를 위한 정책방안: 보육비용을 중심으로. 영아보육 질 개선을 위한 대안 마련 토론회. 서울 : 전국가정시도연합회.
  13. 유희정, 이미화, 민현주, 강민정, 선보영, 서영숙, 이영환, 백혜리, 이순영, 최혜영, 송영주, 강정원, 최은영(2009). 2009 전국보육실태조사-보육시설조사보고서. 서울 : 보건복지가족부.한국여성정책연구원.
  14. 이미화, 서문희, 이정원, 이정림, 도남희, 권미경, 양미선, 손창균, 김경미(2012). 2012 전국보육실태조사-어린이집 조사보고. 서울 :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15. 이미화, 서문희, 임양미, 이진경(2012). 표준보육료 산출 연구. 서울 : 육아정책연구소.
  16. 임양미(2011). 2012년 경기도 민간.가정보육시설 보육료 산정연구. 경기도 :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17. 임양미, 김혜금(2013). 유아교육비.보육비 산정연구 동향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4),75-106.
  18. 임양미, 전경숙, 김혜금(2010). 경기도 민간.가정보육시설 보육료 산정 연구 : 만 3-5세아를 중심으로. 경기도 :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19. 정재경, 성소영(2011). 영아안전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천 및 지식. 미래유아교육학회지,18(2), 125-149.
  20. 통계청 보도자료(2012, December 31). 2012년 12월 및 연평균 소비자물가동향.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269394
  21. 한국영양학회(2005).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서울 : 한국영양학회.
  22. 한국영양학회(2010). 한국인 영양섭취기준(개정판). 서울 : 한국영양학회.
  23. Helbum, S. W., & Howes, C. (1996). Child care cost and quality. The Future of Children : Financing Child Care, 6(2), 62-82. https://doi.org/10.2307/1602419
  24. OECD(1999). Starting stro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aris : OECD.

Cited by

  1. Child care costs calculation method in japan’s child care centers and Implications for korea child care system vol.47, pp.None, 2013, https://doi.org/10.35368/kjjs.2018..47.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