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 care teachers' background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6초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이 보육교사의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Job Satisfaction among Korean Child Care Teachers : The Effects of Background Characteristics, Self-efficacy and Job Stress)

  • 김연아;박연정;김경은
    • 아동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15
    • /
    • 2014
  • This study examined how child care teachers' background characteristics, self-efficacy and job stress relate to their job satisfaction. Participants were 400 child care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Korea. Structural equation model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authors' hypothesized model, which proposed that teachers' self-efficacy and job stress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background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career directly influenced on self-efficacy and job stress but had no direct effect on job satisfaction. Education level was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job stress but had no direct effect on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eachers' self-efficacy affected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affected job satisfaction. Furthermore, self-efficacy mediated the effects of career o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dditionally, job stress mediated the effects of education level and self-efficacy on job satisfact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eachers' self-efficacy and job stress were key predictors and mediating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ackground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언어치료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연구 (A Study on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toward Speech-Language Therapy)

  • 박찬희;장진희;허명진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3호
    • /
    • pp.808-817
    • /
    • 2016
  • This study aims at reviewing differences of awareness toward speech-language therapy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child-care teachers, and establishing a basic data necessary for special education support programs afterwards based on child-care centers and its characteristics with the results. Researcher carried out a survey by objecting child-care teachers of Chungcheongbuk-do, Korea, and looked into existence of some differences through SPSS 20.0 for Window, independent sample t-Test, ANOVA, Scheffe post verification on background characteristics such as level of education, working career, license grade, whether or not to have objects of speech-language objects in the class. Research results are sam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differences in awareness of child-care teachers toward speech-language therapy appeared from license grade among characteristics like level of education, license grade, whether or not to have objects of speech-language therapy in the class.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isplayed from whether or not to have objects of speech-language therapy in the class among characteristics such as level of education, working career, license grade, and whether or not to have objects of speech-language therapy. When putting these results together, a conclusion could be made such like awareness of child-care teachers toward speech-language therapy and therapists is able to be different a little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s.

보육교사의 개인변인,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Child Care Teachers' Personal Characteristics,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 김정희;이용주;김동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03-120
    • /
    • 2014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개인변인,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강원지역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154명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였고, 회복탄력성 질문지(이정현, 2013)와 사회적 지지 설문지(이재영, 2012)를 사용하였다. 결과 처리를 위해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t-검증, ANOVA, Scheff$\acute{e}$의 사후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경력, 연령, 기관유형, 결혼유무에 따른 회복탄력성의 하위변인과 전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7년 이상의 경력교사가 3년 이하와 4-6년 경력교사 보다 회복탄력성 전체와 긍정성을 유의하게 높게 경험하였다. 25세 이하 교사 보다 46세 이상 교사가 회복탄력성 전체를 유의하게 높게 형성하였고, 자기조절능력은 25세 이하 교사 보다 41-45세 교사가, 긍정성은 41-45세와 46세 이상 교사가 25세 이하의 경우 보다 각각 유의하게 높게 형성하였다. 가정어린이집 교사가 법인어린이집 교사에 비해 회복탄력성 전체와 긍정성을 높게 형성하였고, 기혼 집단이 미혼 집단 보다 회복탄력성 전체, 자기조절능력, 긍정성을 높게 형성하였다. 반면 학력에서는 집단 간 유의차가 없었다. 둘째,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는 각 하위변인 및 전체 간 모두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사회적 지지가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물질적 지지는 긍정성과 회복탄력성 전체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었고, 평가적 지지는 자기조절능력과 대인관계능력, 긍정성, 회복탄력성 전체에 유의한 정적 영향력을 주었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사회적 지지를 강화해야 함과 동시에 개인변인들을 함께 고려해야 함을 시사 받을 수 있다.

영·유아기 타인양육이 학령전 어린이의 사회정서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arly nonparental care on preschoolers' socioemotional behaviors)

  • 박경자
    • 아동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17-228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early full-time nonparental care during infancy/toddlerhood on children's socioemotional behaviors during the preschool period.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05 three- to five-year-olds from middle-class families in the U. S. A. Children were assigned to one of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early care history. Children's social interactions with peers and caregivers during indoor free-play sessions in day care centers were observed for 20 minutes. The head teachers rated the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behaviors on two questionnaires. Mothers completed the Attachment Q-sort for attachment assessment for the preschoolers. In addition, mothers were asked to fill out a questionnaire on their parenting practices. Children who had received full-time nonparental care during infancy and/or toddlerhood were rated by their teachers as being more intellectually competent than children who did not receive full-time nonparental care during first three years of life. They were, however, rated by teachers and were observed by the researcher as being more aggressive than children with no full-time nonparental care. These children were observed to engage in less wandering/onlooking behaviors than children who had not had any full-time nonparental care.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scores and dependency scores did not differ as a function of early nonparental care histories. When the effects of early care patterns, sex of child, and current attachment security to mothers on aggressive behaviors of the preschoolers were examined by a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 then any "pure" effects of nonparental care and of attachment security on child aggression were minimal after controlling for family background, child care center quality, and maternal childrearing practices. Strong buffering factors for the preschool children (family characteristics, parenting styles, and high quality nonparental care) mediated a possible risk factor of early nonparental care and promoted optimal outcomes for the children.

  • PDF

어린이집 조직혁신성, 영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테크노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hildcare Center Innovativeness, Digital Liter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chnostress and Teacher Efficacy)

  • 김윤지;김명순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21
    • /
    • 2023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hild care center innovativeness, the early childhood(EC) teacher's digital literacy(DL), technostress and teacher efficacy.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454 EC teachers and were selected only if they had worked for more than one year. The innovativeness of childcare centers, the teacher's DL, technostress, and teacher efficacy were assessed through online self-report questionaries. Data were analyzed through ANOVA, t-test, and SEM. Results: First, DL and technostress of EC teachers differed in some ways depending on the teacher's demographic backgrou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working institution, and their educational level of digital skills. Second, the childcare center innovativeness directl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DL, technostress, and efficacy of the teachers. 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innovativeness on teacher efficacy was mediated by DL and technostress of the teachers. Conclusion/Implications: The more efforts made of childcare centers for recognizing the rapid development of DL and trying to change, the better the teacher's scores of DL and the appropriate technostress were, which increases teacher efficacy. So, continuous training and education for teachers with consideration of age and teaching experience, as well as public aid to improve teachers' DL skills are required.

보육교직원의 지지가 초임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Self 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Support and Beginning Early Childhood Teachers' Role Performance)

  • 김정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199-219
    • /
    • 2015
  • 본 연구는 초임유아교사의 역할수행, 셀프리더십, 보육교직원의 지지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전국의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491명의 초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사회적 지지 질문지(이재영, 2012), 역할수행 질문지(박복매, 2011)와 셀프리더십 질문지(박동현, 2014)를 사용하였다. 결과처리를 위해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ANOVA 검증, $Scheff{\acute{e}}$의 사후검증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초임유아교사의 보수와 학력, 연령에 따른 보육교직원의 지지, 역할수행, 셀프리더십은 각각 집단 간 유의차가 있었다. 기관유형에 따른 보육교직원의 지지와 역할수행은 집단 간 유의차가 있었으나 셀프리더십에서는 집단 간 유의차가 없었다. 둘째, 셀프리더십이 보육교직원의 지지와 초임유아교사의 역할수행 간에 부분 매개역할을 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초임유아교사의 개인변인을 고려하여 역할수행과 셀프리더십을 높일 수 있는 방안과 원장이나 동료교사의 실질적인 지원을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유아교사의 개인특성과 유아교육기관 특성이 유아교육기관의 질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건 (Effects of Personal Backgrounds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Teachers on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The Condi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Classroom)

  • 박창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01-22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과 보육의 질을 그동안 유아교사의 학력과 자격에 중점을 두어왔던 전통적인 패러다임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유아교육과 보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건들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교사의 학력과 경력, 기관유형과 학급규모, 교육과정 편성유형을 독립변수로 하고, 유아교실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유아교실의 질은 유아교육기관 운영의 질, 유아교육과정의 질, 상호작용의 질로 구성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설문조사를 통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아교실의 질에는 유아교사의 개인특성변수인 경력이나 학력보다는 기관유형이나 학급규모와 같은 기관특성변수의 영향력이 보다 중요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사립보다 국공립으로 갈수록 유아교육기관의 질이 높았다. 유아교실의 질을 구성하는 유아교육기관 운영의 질, 유아교육과정의 질, 상호작용의 질의 변수에서 공통적으로 기관유형변수의 설명력이 보다 높은 것으로 일관되게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정책적 시사점과 추후 연구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국과 미국 예비 유아교사의 다문화 관련 경험에 따른 다문화 이해 및 다문화교육 관련 특성에 대한 연구 (The Research on Multicultural Experiences Influence the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Characteristics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 서현아;천희영;위수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69-94
    • /
    • 2011
  •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예비 유아교사의 다문화 관련 경험에 따라 다문화교육의 이해, 다문화교육 인식과 태도 및 다문화교육 효능감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과 미국 대학에서 유아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예비 유아교사 51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다문화 관련 경험, 다문화 이해,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 및 다문화교육 효능감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의 예비 유아교사들이 한국의 예비유아교사들보다 다문화 관련 교과목 이수 경험, 다문화 가정 유아 경험, 해외 문화 경험, 다문화 가정학생 동분 수업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과 미국 양국 모두 다문화 경험의 유무에 따라 예비 유아교사들의 다문화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예비 유아교사의 다문화 관련 경험에 따른 다문화교육 관련특성은 다양하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미국 예비교사의 경우 다문화 경험의 유무에 따라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국예비교사의 경우, 다문화가정 학생과 동반 수업의 경험이 있을수록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교육 효능감에 있어서는 미국 예비 교사들은 다문화 관련 경험에 따라 다문화 효능감에 있어서 차이가 없었으며 한국 예비 교사들은 다문화 관련 교과목을 이수한 예비 교사일수록 다문화교육에 대한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숲교육(숲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지식개념 연구 (A Study of Forest Education Concept Mapping of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 이연선;견주연;이시은;이소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9-49
    • /
    • 2014
  • 본 연구는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숲교육'에 대한 교사의 지식 내용과 수준을 분석하여 그들의 현 지식수준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숲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해보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B시에 소재한 유아교사 39명과 3, 4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60명, 총 99명을 대상으로 상위개념의 수, 내용요소에 따른 수, 종속 개념의 수, 특성, 위계, 밀도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 모두 '숲교육'에서 '자연(숲)'의 개념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숲교육'에 대한 상위개념에서 종속개념은 '생명', 위계는 '치유'와 '생명', 특성화 점수는 '숲 체험'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밀도는 1.00에서 4.80의 범위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숲교육'에 대한 상위개념에서 종속개념은 '자연(숲)', 위계는 생명과 자연(숲), 특성점수는 '자연(숲)'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밀도는 1.00에서 6.78의 범위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숲교육'에 대한 교사의 지식과 지식수준의 문제점 진단 및 '숲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숲유치원의 올바른 정착을 위한 사전교육과 재교육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숲교육이 올바르게 실천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