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hildcare Center Innovativeness, Digital Liter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chnostress and Teacher Efficacy

어린이집 조직혁신성, 영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테크노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Received : 2022.12.15
  • Accepted : 2023.02.09
  • Published : 2023.02.28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hild care center innovativeness, the early childhood(EC) teacher's digital literacy(DL), technostress and teacher efficacy.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454 EC teachers and were selected only if they had worked for more than one year. The innovativeness of childcare centers, the teacher's DL, technostress, and teacher efficacy were assessed through online self-report questionaries. Data were analyzed through ANOVA, t-test, and SEM. Results: First, DL and technostress of EC teachers differed in some ways depending on the teacher's demographic backgrou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working institution, and their educational level of digital skills. Second, the childcare center innovativeness directl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DL, technostress, and efficacy of the teachers. 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innovativeness on teacher efficacy was mediated by DL and technostress of the teachers. Conclusion/Implications: The more efforts made of childcare centers for recognizing the rapid development of DL and trying to change, the better the teacher's scores of DL and the appropriate technostress were, which increases teacher efficacy. So, continuous training and education for teachers with consideration of age and teaching experience, as well as public aid to improve teachers' DL skills are required.

Keywords

References

  1. 강정묵, 송효진, 김현성 (2014). 스마트시대의 디지털 리터러시 측정을 위한 진단도구의 개발과적용.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7(3), 143-173. https://doi.org/10.22896/karis.2014.17.3.006 
  2. 강정선 (2005). 교사의 ICT 활용수준 및 교수효능감과 유아의 ICT 활용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곽세영, 윤미선 (2016). 초등교사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30(3), 559-583. https://doi.org/10.17286/KJEP.2016.30.3.04 
  4. 권귀영, 이동건 (2012). 개인의 특성이 스마트폰 사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업과혁신연구, 5(3), 81-102. 
  5. 권지혜 (2017).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검사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건희 (2018). 간호대학생의 미디어리터러시, 테크노스트레스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 조형미디어학, 21(4), 26-34. 
  7. 김경희, 김광재, 이숙정 (2017). 미디어리터러시 지수 개발 및 지역별 격차 측정 조사. 한국방송통신위원회. 
  8. 김경희, 김광재, 이숙정 (2019). 모바일 환경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 요소와 세대 간 미디어리터러시 격차. 한국방송학보, 33(4), 5-36.  https://doi.org/10.22876/KAB.2019.33.4.001
  9. 김대식, 김동재, 장덕진, 주경철, 함준호 (2020). 초가속: 새로운 시대가 대한민국에 던지는 질문들. 동아시아. 
  10. 김명순 (2018). 4차 산업혁명의 사회적 변화에서 아동과 아동학의 방향. 한국아동학회 춘계학술대회 학술발표논문집, 11-43. 
  11. 김명순, 김수정, 강형옥, 정아람 (2018). 보육교사가 인식한 직무만족도, 전문성과 어린이집 조직분위기 및 이직의도 간 구조적 관계. 유아교육연구, 38(1), 391-415. https://doi.org/10.18023/kjece.2018.38.1.016 
  12. 김명순, 신윤승, 채은화 (2016).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효능감,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보육과정 수행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7(2), 43-56. https://doi.org/10.5723/kjcs.2016.37.2.43 
  13. 김미순 (2021). 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와 미디어 교수불안 간의 관계. 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김민정 (2011). 대학(원)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실태조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김민정 (2014). 유아교사의 컴퓨터에 대한 태도 및 불안감이 디지털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3), 365-382. 
  16. 김민정 (2015). 예비유아교사의 컴퓨터 교수효능감 관련 변인들간의 경로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6(3), 471-485. 
  17. 김민하, 안미리 (2003).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 확인을 위한 문항개발 및 능력 평가. 교육정보미디어연구, 9(1), 159-192. 
  18. 김보현, 이홍재 (2019).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요인과 교수효능감이 스마트 교육 실행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6(2), 97-119. https://doi.org/10.22155/JFECE.26.2.97.119 
  19. 김선아 (2021).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멀티미디어 활용실태 및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비교.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김선영, 서소정 (2010). 유아 교사 효능감 척도 개발 연구. 아동학회지, 31(4), 91-110. 
  21. 김성원, 이지영 (2017). 영유아교사의 테크노스트레스, 동료 관계, 전문성 인식이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7(5), 247-269. https://doi.org/10.18023/kjece.2017.37.5.011 
  22. 김성준 (2015). 호텔 정보시스템이 테크노스트레스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김수향 (2021). 놀이중심 교육과정 이해도가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한국유아교육연구, 23(4), 28-49. https://doi.org/10.15409/riece.2021.23.4.2 
  24. 김아영, 김미진 (2004). 교사효능감 척도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18(1), 37-58. 
  25. 김정은, 여정성 (2007). 디지털 제품관련 소비자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3), 119-135. 
  26. 김지혜 (2016). 유치원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직무만족과의 관계. 금오공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김진경, 강은영, 윤혜주 (2020). 영아교사의 경력 및 교사효능감과 민감성, 전문성 발달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6(5), 155-171. https://doi.org/10.14698/jkcce.2020.16.05.155 
  28. 김태영 (2019). 컨설턴트 직무스트레스의 긍정적 요인이 컨설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성대학교박사학위논문. 
  29. 남창우, 박영희 (2016). 영.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 및 디지털스토리텔링에 대한 태도 간의 관계. 교육과정평가연구, 19(1), 199-226. 
  30. 문영환, 홍아름, 황준석 (2017). 이용자의 성격특성과 접근성이 디지털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보사회와 미디어, 18(2), 33-64. 
  31. 박나래, 최현석, 이중정 (2011). 스마트폰 사용자의 테크노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9(2), 179-186. 
  32. 박상철, 고준 (2014). 조직 내 스마트 기기 활용이 과연 삶의 질을 높이는가?: 테크노스트레스 조절효과와 업무-가정생활간의 균형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43(5), 1707-1733. 
  33. 보건복지부 (2022). 보육통계: 2021년 12월말 기준. 보건복지부. 
  34. 성원경, 하지영 (2021). 예비유아교사의 학업효능감과 테크놀로지 사용의도 간의 관계: 테크노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육연구, 81, 141-158. https://doi.org/10.17253/SWUERI.2021.81..007 
  35. 신소영, 이승회 (2019). 디지털 리터러시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7), 749-768. https://doi.org/10.22251/jlcci.2019.19.7.749 
  36. 신지형, 김윤화, 오윤석 (2020). 2020 한국미디어패널조사(정책자료 20-15-02). 정보통신정책연구원. 
  37. 안정임 (2013). 연령 집단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수준 비교 연구. 학습과학연구, 7(1), 1-21. 
  38. 안정임, 서윤경, 김성미 (2012).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요인 검증. 한국방송학보, 26(6), 129-176. 
  39. 양길석, 서수현, 옥현진 (2020).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자기진단 평가도구 개발. 디지털융복합연구, 18(7), 1-8. https://doi.org/10.14400/JDC.2020.18.7.001 
  40. 양미석, 김정겸 (2016). 이러닝 디지털 리터러시 측정도구 개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2(3), 485-507. https://doi.org/10.15833/KAFEIAM.22.3.485 
  41. 양유진, 이주영 (2021). 유아교사의 테크노스트레스와 행복감이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41(6), 83-105. https://doi.org/ 10.18023/kjece.2021.41.6.004 
  42. 우한솔, 김한나 (2020). 동료교사 혁신성과 자기효능감의 관계 분석: TALIS 2018을 중심으로.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24(1), 75-97. https://doi.org/10.35184/kshce.2020.24.1.75 
  43. 유순이 (2003). 유아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직능특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4. 유영미 (2005). 유치원교사와 초등교사의 ICT 활용도 및 태도, e-Learning에 대한 인식 비교.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5. 이민영, 임규연 (2020). Do the technostress creators predict job satisfaction and teacher efficacy of primary school teachers in Korea.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21(1), 69-95.  https://doi.org/10.23095/ETI.2020.21.1.069
  46. 이승민, 강두봉 (2021). 초등학생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검사 도구 개발 및 검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5(1), 59-69. https://doi.org/10.14352/jkaie.2021.25.1.59 
  47. 이애화 (2016). 전문대학생의 디지털역량과 직업기초능력의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매개효과 학습양식별 다중집단분석의 적용.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8. 이지영 (2018). 유아교사의 테크노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의 매개효과. 스트레스硏究, 26(1), 46-51. https://doi.org/10.17547/kjsr.2018.26.1.46 
  49. 이채호, 박인영 (2021). 어린이집의 직무환경과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교사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7(6), 15-28. https://doi.org/10.14698/JKCCE.2021.17.06.015 
  50. 이현숙, 김한성, 김수환, 이운지 (2020). 2018-2019 국가수준 초.중학생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의연도별 비교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6(2), 337-366. https://doi.org/10.15833/KAFEIAM.26.2.337 
  51. 임명성 (2017). 테크노 스트레스 유발 요인의 인구통계학적 차이에 관한 융복합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8(3), 1-13. https://doi.org/10.15207/JKCS.2017.8.3.001 
  52. 임명성, 박민수 (2015). 융복합 시대에서 테크노 스트레스의 개인별 차이에 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3(3), 137-153. https://doi.org/10.14400/JDC.2015.13.3.137 
  53. 장은우 (2014). 인터넷 접근과 활용 및 인지요인이 디지털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석사학위논문. 
  54. 장재홍, 신원석, 고유정 (2020). 교사의 AR.VR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 인식에 대한 잠재프로파일분석 및 영향변인 탐색.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6(2), 367-393. https://doi.org/10.15833/KAFEIAM.26.2.367 
  55. 정미라, 강수경, 김민정, 이방실 (2015). 어린이집 조직특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사경력 5년을 기준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1), 173-190. http://doi.org/10.14698/jkcce.2015.11.1.173 
  56. 정선영 (2010). 테크노스트레스의 원인과 결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7. 정애경, 홍유나, 강정진 (2016). 예비유아교사들의 테크놀로지 활용의도 관련변인 간의 관계 규명.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16(6), 217-223. http://doi.org/10.7236/JIIBC.2016.16.6.217 
  58. 정우영 (2005). 교사가 지각한 학교조직문화가 교사효능감 및 학교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교육행정학연구, 23(2), 73-90. 
  59. 정유진 (2018). 유아교사 직무수행 효능감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0. 차현주 (2020). 어린이집 조직문화가 보육교사의 교사 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신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1. 최미정 (2020). 부모, 조부모의 미디어 리터러시가 유아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2. 최원석, 길혜지 (2019). 중등교사의 수업개선 노력이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교풍토 유형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5), 472-483. http://doi.org/10.5392/JKCA.2019.19.05.472 
  63. 최지원, 이희수 (2019). HR 담당자의 직무특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디지털 리터러시의 매개효과 검증. 대한경영학회지, 32(7), 1219-1246. https://doi.org/10.18032/kaaba.2019.32.7.1219 
  64. 하재옥 (2006). 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태도 및 능력 관련 변인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5. 한정선, 오정숙, 임현정, 전주성 (2006). 지식 정보 역량 개발 지원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지수 개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66. 허경아, 정정희 (2011).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진단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유아교육연구, 31(5), 225-252. http://doi.org/10.18023/kjece.2011.31.5.010 
  67. 허경아, 정정희 (2012).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진단 및 관련 변인.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3(3), 479-494. 
  68. 홍광표, 송주연, 조준오 (2015). 예비유아교사의 인터넷 윤리의식과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의 관계. 兒童敎育, 24(2), 331-350. 
  69. 홍인실, 전정민, 강명숙 (2021).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8(3), 49-66. https://doi.org/10.22155/JFECE.28.3.49.66 
  70. 황치성, 김광재, 한승연 (2014). 미래 성장 동력으로서 미디어 리터러시. 커뮤니케이션 북스. 
  71. Arnetz, B. B., & Wiholm, C. (1997). Technological stress: Psycho- physiological symptoms in modern offices.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43(1), 35-42. https://doi.org/10.1016/S0022-3999(97)00083-4 
  72. Ashton, P. T. (1984). Teacher efficacy: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5(5), 28-32. https://doi.org/10.1177/002248718403500507 
  73. Bandura, A. (1986). Perceived self-efficacy in cognitive development and functioning. Educational Psycholoist, 28(2), 117-148. https://doi.org/10.1207/s15326985ep2802_3 
  74. Bloom, P. J. (2016). Measuring work attitudes in the early childhood setting: Technical manual for the 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 and early childhood work environment survey (3rd eds.). New Horizons Educational Consultants and Learning Resources. 
  75. Bocconi, S., Chioccariello, A., Dettori, G., Ferrari, A., & Engelhardt, K. (2016). Developing computational thinking in compulsory education: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No. JRC104188). Joint Research Centre(Seville site). 
  76. Brod, C. (1984). Technostress: The human cost of the computer revolution. Addison Wesley. 
  77. Califf, C. B., & Brooks, S. (2020). An empirical study of techno-stressors, literacy facilitation,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s experienced by K-12 teachers. Computers & Education, 157, 103971. https://doi.org/10.1016/j.compedu.2020.103971 
  78. Denham, C. H., & Michael, J. J. (1981). Teacher sense of efficacy: A definition of the construct and a model for further research. Educational Research Quarterly, 6(1), 39-63.
  79. DQInstitute (2022). What is the DQ framework?. Retrieved June 3, 2022. from https://www.dqinstitute.org/global-standards 
  80. Essel, H. B., Vlachopoulos, D., Tachie-Menson, A., Johnson, E. E., & Ebeheakey, A. K. (2021). Technology-induced stress,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associa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productivity in Ghanaian higher educa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formation, 12(12), 497. https://doi.org/10.3390/info12120497 
  81. Gibson, S. & Brown, R. (1982, November). Teachers' sense of efficacy: Changes due to experience [Paper presentation]. The Annual Meeting of the California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cramento. CA, USA. 
  82. Harreld, J. B., O'Reilly III, C. A., & Tushman, M. L. (2007). Dynamic capabilities at IBM: Driving strategy into action.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49(4), 21-43. https://doi.org/10.2307/41166404 
  83. Hobbs, R. (2011). The state of media literacy: A response to potter.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55(3), 419-430. https://doi.org/10.1080/08838151.2011.597594 
  84. Hoy, W. K., & Woolfolk, A. E. (1993).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schools.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93(4), 355-372. https://doi.org/10.1086/461729 
  85. Katz, L. G. (1972). Developmental stage of preschool teachers.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73(1), 50-54. https://doi.org/10.1086/460731 
  86. Koc, M., & Barut, E. (201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New Media Literacy Scale(NMLS) for university student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63, 834-843. https://doi.org/10.1016/j.chb.2016.06.035 
  87. Larsson, L. (2000). Digital Literacy Checklist. University of Washington. 
  88. Law, N., Woo, D., & Wong, G. (2018). A Global Framework of Reference on Digital Literacy Skills for Indicator 4.4.2. UNESCO. http://uis.unesco.org/sites/default/files/documents/ip51-globalframework-reference-digital-literacy-skills-2018-en.pdf 
  89. Lu, J., Yao, J. E., & Yu, C. S. (2005). Personal innovativeness, social influences and adoption of wireless Internet services via mobile technology. The Journal of Strategic Information Systems, 14(3), 245-268. https://doi.org/10.1016/j.jsis.2005.07.003 
  90. Moore, W. P., & Esselman, M. E. (1992). Teacher efficacy, empowerment, and a focused instructional climate: Does student achievement benefit?. ERIC, ED350252, 1-40. 
  91. Scott, S. G., & Bruce, R. A. (1994). Determinants of innovative behavior: A path model of individual innovation in the workpla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7(3), 580-607.  https://doi.org/10.2307/256701
  92. Shalley, C. E., & Gilson, L. L. (2004). What leaders need to know: A review of social and contextual factors that can foster or hinder creativity. The Leadership Quarterly, 15(1), 33-53. https://doi.org/10.1016/j.leaqua.2003.12.004 
  93. Shu, Q., Tu, Q., & Wang, K. (2011). The impact of computer self-efficacy and technology dependency on computer-related technostress: A social cognitive theory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Computer Interaction, 27(10), 923-939. https://doi.org/10.1080/10447318.2011.555313 
  94. Tarafdar, M., Tu, Q., Ragu-Nathan, B. S., & Ragu-Nathan, T. S. (2007). The impact of technostress on role stress and productivity.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24(1), 301-328. https://doi.org/10.2753/MIS0742-1222240109 
  95. Tarafdar, M., Cooper, C. L., & Stich, J. F. (2019). The technostress trifecta techno eustress, techno distress and design: Theoretical directions and an agenda for research. Information Systems Journal, 29(1), 6-42. https://doi.org/10.1111/isj.12169 
  96. Tu, Q., Wang, K., & Shu, Q. (2005). Computer-related technostress in China. Communication of the ACM, 48(4), 77-81. https://doi.org/10.1145/1053291.1053323 
  97. Wang, K., Shu, Q., & Tu, Q., (2008). Technostress under different organizational environments: An empirical investigatio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4(6), 3002-3013. https://doi.org/10.1016/j.chb.2008.05.007 
  98. Yerkes, R, M.. & Dodson, J. D. (1908). The relation of strength of stimulus to rapidity of habit-formation. Journal of Comparative Neurology and Psychology, 18(5), 459-482.  https://doi.org/10.1002/cne.92018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