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 care system

검색결과 337건 처리시간 0.022초

보육시설의 피난안전 관련 주요 기준 분석 및 실태조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jor Standards and Actual Conditions of Evacuation Safety in Child Care Facility)

  • 박재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93-102
    • /
    • 2009
  • 최근 보육시설의 확충과 보육환경의 개선, 보육서비스 질 향상에 대한 사회적 욕구는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화재 등으로부터 안전환경 확보가 범국가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보육시설은 영유아 등 재실자의 대부분이 피난능력이 떨어지는 재해약자로 구성되어 건물 내 설치층수, 피난시설의 설치 적정성 등이 피난안전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육시설 설치현황, 국내외 관련 기준의 비교분석, 피난 관련 시설의 실태조사 등을 통하여 보육시설 피난안전성 측면에서의 문제점과 개선요소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화재안전 관련 법규정의 체계화, 비상재해대비시설의 설치기준 및 관리에 대한 소방기관과의 연계, 스프링클러 등 보다 강화된 소방설비 설치규정의 개선, 화재위험시설과 동일 건물 내 설치금지 등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유아 무상보육 확대정책에 따른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Free Infant Care Policy)

  • 김운삼;김일태
    • 산업진흥연구
    • /
    • 제5권2호
    • /
    • pp.59-69
    • /
    • 2020
  • 유아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유아에 대한 무상교육범위확대, 유아교육의 초등학교와의 연계, 유아교육 담당 체제의 일원화, 맞벌이 부부를 위한 종일제 운영의 비용인화, 저소득층 유아에 대한 정책 등 국가차원에서의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한국의 보육정책에서 무상 맞벌이 부부가 많아지고, 핵 가족이 증가하고, 이혼률의 증가로 보육의 필요성이 증가하였다. 우리나라 보육정책은 전체적으로 보육예산의 증가추세에도 불구하고 보육시설, 양육자의 보육료 부담으로 그 효율성에 많은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무상보육정책에 대한 이론적 내용과 그에 따른 보육지원정책을 알아본 후 무상보육정책에 대한 개선방향을 생각해보고자 한다.

영아보육의 실태 및 질적 특성 평가에 기초한 보육의 질 제고 (A Study on the Qualities of Infant Day-Care Centers and Caregiver′s Interactions with Infants)

  • 정옥분;김숙령;권민균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123-136
    • /
    • 2004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qualities of infant day-care centers and the caregivers' interactions with infants. Forty-six day-care centers from Seoul, Daejeon, and Daegu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wo kinds of methods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one was the Assessment Scale for Infant/Toddler Care Center developed by Choi and the other was the Qualitative Rating Scale for Caregiver used in the NICHD Early Child Care Project. Frequency, percentile, Crollbach's,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were calculated for data analysis. Qualities on 5 factors of infant day-care centers were ranged from 3.44∼4.35, the highest with health managing and the lowest with support system in the Likert 5-point scales. Sensitivity, developmental stimulation and positive regard to child, which are the caregiver's positive interactions with infants were rated minimally or usually characteristic. In addition, intrusiveness, detachment, negative regard to child and flatness, which are negative interactions with infants were rated never or minimally characteristic. Finally, some suggestions for good quality and facilitation of infant care were made.

보육교사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변인 연구 (The Ecological Variables Research on the Effect of Teacher's Happiness in Child Care Center)

  • 이순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423-430
    • /
    • 2017
  • 이 연구는 보육교사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주도 보육교사를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 제주지역 사립 보육교육기관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분석하였다. 조사에 참여한 보육교사는 총 200명으로 불성실한 응답을 보인 20명의 자료를 제외한 총 180명의 자료를 SPSS 20.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연구결과 첫째, 유기체 변인 중 보육교사의 연령과 학력은 보육교사의 행복에 차이를 보였다. 즉 35세 이상의 보육교사는 다른 연령에 비해 행복이 높으며, 대졸 이상의 보육교사도 다른 학력에 비해 행복이 높다는 점이다. 둘째, 미시체계 변인 중 결혼여부만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혼자인 보육교사는 미혼자 보육교사에 비해 행복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중간체계 변인 중 유아-교사 상호작용이 높을수록, 부모-교사 상호작용이 높을수록 보육교사의 행복수준이 높았다. 넷째, 외체계 변인 중 근무환경과 직무자체 특성이 좋을수록 보육교사의 행복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행복한 보육교사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근무환경 개선, 처우개선 등과 같은 국가적, 행정적 지원으로 현실적인 개선들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예비보육교사가 인식한 실습지도교사의 전문성과 교직 희망 동기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Teachers' Perceptions on Cooperating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Motivation to Become a Teacher)

  • 홍우현;김명순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87-109
    • /
    • 2017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teachers' perceptions on cooperating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motivation to become a teacher.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399 student teachers studying child care and education at two-year or four-year colleges in Seoul, Gyeonggi, Incheon, South Chungcheong, and Daejeon. They completed questionnaires on student teachers' perceptions on cooperating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motivation to become a teacher.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NOVA, t-test, and partial-correlation analyses. Results: There were three findings from this study.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ent teachers' perceptions on cooperating teacher's professionalism depending on the type of child care center and education system, rather than the type of clas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ent teachers' motivation to become a teacher depending on the students' education system. Third, student teachers' perceptions on their cooperating teacher's professionalism correlated with their motivation to become a teacher.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student teachers' perceptions on cooperating teacher's professionalism i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child care center or educational system and is related with motivation to become a teacher.

보육시설의 안전관리 실천에 관한 연구 -전라북도 보육시설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afety Management Practice of Child-Care Centers)

  • 이수재;이진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15
    • /
    • 2006
  • 본 연구는 보육시설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으로서 보육시설의 안전관리 실천 실태를 점검하고 그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보육시설 안전 환경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육시설 평가인증 지침(2005)의 안전관리 영역 척도와 관련이 있는 문헌 고찰을 토대로 한 선행 연구를 참고로 하여 안전관리 실천에 관한 사항을 6개 하위 영역으로 나누고 하위 문항을 구성해 작성한 설문지를 가지고 전라북도 보육 시설장 102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장들의 안전관리 실태 조사에서 실내시설 안전관리와 비상사태 대처방안 영역에서 다른 영역들에 비해 안전관리 실천 정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보육시설의 안전관리 실천에 대한 각 하위 영역별 평균을 비교해 보았을 때 안전지도 및 교육 항목에서 1.82점으로 가장 실천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실내시설 안전관리 항목이 1.59점으로 가장 실천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시설과 시설장의 관련 변인에 따른 안전관리 실천을 비교한 결과 보육시설 유형별, 시설장의 성별, 시설장의 경력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 PDF

보육시설종사자의 직위와 전문성 발달수준 및 보육교사의 자격에 따른 보육시설 조력활동에 대한 평가의 차이 (The Study on the Assistance Program for Evaluative Accreditation in terms of Child Care Teacher's and Principal's Position, Certificate Level, Expertise Level)

  • 남미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43-60
    • /
    • 2011
  • 본 연구는 보육시설 평가인증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조력활동에 대한 평가결과가 보육시설종사자의 직위와 전문성 발달수준 및 보육교사의 자격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보다 수요자 중심적이고 현장적합적인 조력활동을 계획, 운영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를 위해 D,G시 소재 민간(가정)보육시설에 근무하는 시설장과 보육교사 138명을 대상으로 '보육시설 평가인증 조력활동평가척도'(남미경, 2010)와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 자기평가 도구'(백은주, 조부경, 2004)를 보육교사와 시설장에 적합하도록 수정한 것을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시설 조력활동에 대한 평가점수는 보육교사가 시설장에 비해 통계적으로 높게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시설 조력활동에 대한 평가결과는 보육교사와 시설장의 전문성 발달수준에 따라 '조력활동내용영역'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문성 발달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조력활동내용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셋째, 보육시설 조력활동에 대한 평가결과는 보육교사 2급 자격자와 보육교사 1급 자격자 간에 '조력활동내용영역'의 조력영역 부분에서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위탁부모의 위탁유지 의사에 관한 탐색적 연구 : H위탁기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Decisions among Foster Parents to Continue Foster Care : The Case of 'H' Foster Care Agency)

  • 김정우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4권1호
    • /
    • pp.103-116
    • /
    • 2006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what kind of intervention might help foster parents decide to continue engaging in foster care. As foster care services are still in the early stages of development, lacking systematic support systems as well as full understanding of the roles of foster parents and foster care agencies, it is important to recruit, select, and train as many foster parents as possible. Utilizing the Foster Parent Role Perception scale developed by Le Prohn, the author first conceptualized foster parent roles or foster care agency roles; then explored what kind of effects the resource level or the role perception of the foster parents have on the decisions to continue doing foster ca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oster parents perceived 'supporting the internal system of the foster child' and 'supporting the external system of the foster child' as the roles of foster parents, whereas 'fortifying the foster care system' and 'maintaining liaison with birth parents' were the roles of foster care agencies. It was also found that foster parents' strong role perception, higher levels of satisfaction towards education on the part of foster parents, and the number of children from the previous marriag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decisions to continue foster care. The author argues that clear definitions of roles are needed for both foster parents and foster care agencies. Finally, the role of foster care agencies needs to be strengthened and supported.

아동·청소년 치과 주치의 사업의 시행현황과 발전방안 (Study of the implementation and development of a child·adolescent dental care service)

  • 이새롬;류재인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43-350
    • /
    • 2019
  • This study focused on the status of dental care developmen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n contrast to the chronic disease management project, this research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xpansion of the system. We summarized the status of the system's expansion since 2012. It analyzed research reports, papers, related literature and books on the system of children and adolescent dental care service. The literature analysis classifies year, publication, title and published location. The current state of the system is listed as location, target, support funds, etc. Implementation of the project was first discussed in 2007. Initial planning focused on the Oral Health Policy Research Society of the Gunchi. Effective measures were formulated in 2008 under the center of the Gunchi. It is time to discuss the dental care system's direction and development, as well as future aims based on a beneficial program of preventive care. A system of dentistry should be introduced to benefit the entire population.

영유아 무상보육정책 담론에 대한 분석 -일가족 양립 지원 관점을 중심으로- (Discourse Analysis of Free Child Care Policy for Infants-Focus on the Perspectives of Work-Family Balance)

  • 장수정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4호
    • /
    • pp.33-59
    • /
    • 2013
  • 무상보육 시행 이후에도 무상보육은 담론의 각축장이 되어 왔다. 본 연구는 영유아 무상보육 담론분석을 위해 주요 4대 일간지(조선일보, 동아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신문)의 '무상보육' 기사를 살펴보았다. 자료 수집은 한국 언론진흥재단의 카인즈(Korea Integrated News Database System)와 조선일보 아카이브를 통해 검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자료는 무상보육 실시 후 자료로 한정하였다. 연구결과 무상보육담론은 양육수당, 맞벌이 주부 대 전업주부, 보편복지 대 선별복지 등 다양한 대립구도를 형성하면서 경합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담론분석 결과 보수적 또는 진보적 이데올로기가 실천되고 재편되는 과정을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무상보육 담론이 어떻게 구성되어 왔는지를 일가족 양립 지원 관점에서 성찰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