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the Assistance Program for Evaluative Accreditation in terms of Child Care Teacher's and Principal's Position, Certificate Level, Expertise Level

보육시설종사자의 직위와 전문성 발달수준 및 보육교사의 자격에 따른 보육시설 조력활동에 대한 평가의 차이

  • 남미경 (대구한의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Received : 2011.03.31
  • Accepted : 2011.06.07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incipals' and teachers' assessment about the assistance program for the evaluative accreditation of child care centers. Subjects were 138 teachers and principal who work in private(family) child care center in D and G city. An instrument to survey of this study was 'Assistance Program Evaluation Scale for the Evaluative Accreditation of Child Care Centers'(Nam, 2010) and 'Self-Assessment of Developmental Levels for Kindergarten Teacher'(Baek & Jo, 2004).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and ANOVA With SPSS 18.0 Ver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oth 'assistance system category' and 'assistance content category' between child care teacher group and principal group.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ssistance content category' between the high group and the low group in expertise level. Thir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to exist between a second-grade certificate level of child care teacher and a first-grade certificate level of child care teacher in terms of 'assistance domain'.

본 연구는 보육시설 평가인증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조력활동에 대한 평가결과가 보육시설종사자의 직위와 전문성 발달수준 및 보육교사의 자격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보다 수요자 중심적이고 현장적합적인 조력활동을 계획, 운영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를 위해 D,G시 소재 민간(가정)보육시설에 근무하는 시설장과 보육교사 138명을 대상으로 '보육시설 평가인증 조력활동평가척도'(남미경, 2010)와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 자기평가 도구'(백은주, 조부경, 2004)를 보육교사와 시설장에 적합하도록 수정한 것을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시설 조력활동에 대한 평가점수는 보육교사가 시설장에 비해 통계적으로 높게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시설 조력활동에 대한 평가결과는 보육교사와 시설장의 전문성 발달수준에 따라 '조력활동내용영역'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문성 발달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조력활동내용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셋째, 보육시설 조력활동에 대한 평가결과는 보육교사 2급 자격자와 보육교사 1급 자격자 간에 '조력활동내용영역'의 조력영역 부분에서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례 (2007). 보육시설 종사자가 인식한 평가인증제의 운영과정과 사후유지관리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미화 (2005). 보육시설 평가인증을 위한 관악구 보육정보센터 조력보고. 2005년도 보육시설 평가인증 조력사업의 방향. 서울: 중앙보육정보센터.
  3. 김선구 (2005). 조력자의 지원이 유치원 기관평가에 미치는 영향.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의향 (2010). 보육시설장․보육교사 배출현황 및 과제. 2010 추계 보육관련 학회 통합 학술대회 자료집. pp.41-57.
  5. 김인순 (2006). 유치원 평가인증을 위한 온라인 컨설팅 모형 개발. 부산대학교 대학원 멀티미디어 협동과정 박사학위논문.
  6. 남미경 (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과정에서의 조력활동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 생태유아교육연구, 7(3), 25-46.
  7. 남미경 (2010). 보육시설 평가인증 조력활동평가척도의 개발 및 적용. 유아교육연구, 30(1), 147-171.
  8. 남미경, 김남희, 고은미 (2009). 델파이 조사를 통한 보육시설 평가인증 과정에서의 조력활동 평가체제 개발. 영유아교육학논집, 13(5), 141-164.
  9. 박성진 (2005). 보육시설 평가인증조력에 대한 보육교사의 요구. 성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시영 (2009). 유치원 평가 조력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부산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진옥 (2007). 보육시설 평가인증을 위한 조력방안.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pp. 37-70.
  12. 박해미, 이순영 (2009). 보육교사의 근무유형, 자격, 경력에 따른 장학요구 유형연 구. 한국유아교육 . 보육행정연구, 13(3), 139-153.
  13. 백은주, 조부경 (2004).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 자기 평가 도구 개발. 유아 교육연구, 24(4), 95-117.
  14. 서혜전 (2008). 보육의 질 향상을 위한 조력활동-방문조력내용에 대한 면접조사-. 한국보육지원학회 2008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pp. 67-80.
  15. 송연숙, 유수경 (2008). 국가수준의 유치원 평가를 위한 조력활동에 대한 유치원 교원의 인식 및 요구도. 열린유아교육연구, 13(6), 19-40.
  16. 안미화 (2005). 초등학교 교원이 인식한 교원의 전문성과 신장을 위한 인센티브 간 의 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여성가족부 (2005). 보육시설 평가인증을 위한 조력 프로그램 개발 연구. 여성가족부 보육지원과.
  18. 유애열 (2005). 평가인증 실시에 따른 조력방향. 2005년도 보육시설 평가인증 조력 사업의 방향. 중앙보육정보센터.
  19. 유희정 (2007).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 평가 및 발전방안 모색. 세미나 자료 2007-03. 육아정책개발센터.
  20. 이옥 (2004). 보육시설 평가인증제 도입과 과제.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pp. 83-103.
  21. 이옥, 유희정, 이미화, 김온기, 이원선 (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사업의 성과 (2003-2008)(연구보고 2008-12). 서울: 육아정책개발센터.
  22. 이은화, 배소연, 조부경 (1995). 유아교사론. 서울: 양서원.
  23. 이지은 (2010). 「유치원 평가」 참여에 따른 평가 및 교직 전문성에 대한 교원의 인 식과 변화.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중앙보육정보센터 (2006). 전국보육정보센터 사업보고대회 보육의 Vision! 보육정보센터와 함께. 서울: 중앙보육정보센터.
  25. 채혜선 (2009). 보육시설 평가인증 조력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최미순 (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에 관한 보육교사와 시설장의 요구조사-평가 인증 조력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황옥경 (2007). 보육시설 평가인증 조력 현황 분석 및 조력체계 개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3(2), 133-160.
  28. 황해익 (2004). 유아교육평가. 서울: 양서원.
  29. Bredekamp, S., & Rosegrant, T. (1992). Reaching potentials through appropriate curriculum: Conceptual frameworks for applying guidelines. In S. Bredekamp & Rosegrant, T, Reaching potentials: Appropriate curriculum and assessment for young children. Washington, DC: NAEYC.
  30. Bredekamp, S., & Glowacki, S. (1996). The first decade of NAEYC accreditation: Growth and impact on the field. In S. Bredekamp, & B. A. Willer(Eds.). NAEYC accreditation: A decade of learning and years ahead. Washington, DC: NAEYC.
  31. Decker, C. A., & Decker, J. R. (1980). Planning and administering early childhood programs. Columbus, Ohio: Charles E. Merrill Publishing Co.
  32. Jalongo, M. P., & Isenberg, J. P. (2000). Exploring your role: a practitioner's introduc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NJ: Prentice-Hall, Inc.
  33. Katz, L. G. (1980). Mothering and teaching-some significant distinctions. Current Topic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3, 47-64.
  34. Schickedanz, J. A. York, M. Z. Stewart, I. S., & White, D. A. (1990). Strategies for teaching young children(3r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35. Spodek, B. (1985). Teaching in the early years(third ed). NJ: Prentice-Hall,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