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lived experiences of grandmothers who provide child care services to their grandchildren and employed mothers who utilize child care by grandmothers, with regards to their relationships while exchanging the specific type of intergenerational support. The data for this study came from 42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ith 21 pairs of employed mothers who had at least one child younger than elementary-school age and their mothers or mothers-in-law who had provided child care on a daily basis for their grandchildren. Our phenomenologic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grandmothers felt uncomfortable and overwhelmed when caring for their grandchildren and that they considered this activity to be different from caring for their own children by nature. However, the grandmothers wanted to help their adult children based on their feeling of "boo-mo-ma-eum" (meaning parental heart, i.e., love or care). The employed mothers perceived that they were substantially dependent on the grandmothers by receiving help with child care and housework. Reliance on grandmothers was inevitable and beneficial to these mothers. Dynamic intergenerational living arrangements enabled the dependent relationships. The grandmothers set specific boundaries pertaining to current and future child care so that they would not take on too much responsibility for child care. The mothers used various strategies that contributed to stable child care support from the grandmothers. Providing financial remuneration was an important strategy that had symbolic relational meanings, such as expressing gratitude, rather than financial meanings.
Objective: The purpose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grandmothers and mothers when grandmothers take care of their grandchildren, and to understand the particular meaning of it.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5 grandmothers who have supported or have experience in caring for their grandchildren, and their daughters(5 working mothers) who have entrusted their children to them.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analysed by the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Results: Seventeen sub-constructs and 5 constructs resulted in: (1) Motivation of grandmothers and mothers for taking care of grandchildren. (2) Pressure of grandmothers and satisfaction of mothers for the support. (3) Grandmothers stepping back and saying 'Not my child' and mothers saying 'It's my child' and thinking their influence is big. (4) Consistent sacrifice of grandmothers and mothers who cannot do the same. (5) Grandmothers feeling empty after caring for their grandchildren and mothers realizing their efforts.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grandmothers and mothers when grandmothers take care of their grandchildren from multi-perspectives. Through the findings, the need for developing healthy relationships and a caring environment for grandmothers and their grandchildren is stressed.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degree of care stress and the quality of life of grandmothers caring for their grandchildren while mother was employed. Method: A convenience sample of 107 grandmothers were measured for grandmother's care stress using a revised for of the PSI/SF and the quality of life tool by Andrew and Weinert.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cient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using SPSS/PC 10.0 Results: The results found that grandmothers' care stress was high according to their age and religion. Their quality of life was low according to their age, their present health status, income and sleep pattern. Their subjective care stress was a sense of social isolation, burden of caring for grandchildren, health problems, and conflict with adult children. Care stress and quality of life were found to be negatively correlated. This resul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care stress was high and affected quality of life. From this study it is proposed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programs which consider grandmother' techniques in child care and health care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Ultimately, a good care environment for children will be good for the children's growth and developmen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grandmothers' verbal and nonverbal behaviors during young grandchildren-grandmother picture book reading. Methods: Participants were fifty-two children aged 22-42 months and their grandmothers. The researcher visited participating children's homes or child care centers and videotaped grandchildren-grandmother book reading activities. Each grandmother read two picture books for each observation. Grandmother surveys were administered after the reading activities. Parent surveys were completed by parents and were returned to the researcher. Results: First, grandmothers began reading picture books to grandchildren when children were 6 to 11-months-old or 12 to 17-months-old. They spent 5 to 10 minutes or 10 to 15 minutes at a time reading books. Second, grandmothers' most frequent verbal behavior during young grandchildren-grandmother picture book reading was 'explaining,' followed by 'questioning,' and 'providing feedback,' in that order. Grandmothers' MLU-eojeol during grandchildren-grandmother reading was 2.56. Their most frequently used nonverbal behavior was 'pointing,' followed by 'gestures.' Last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ndmothers' verbal and nonverbal behaviors during grandchildren-grandmother reading, depending on the grandmothers' characteristics. Conclusion/Implications: Grandmothers use various verbal and nonverbal behaviors during grandchildren-grandmother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an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andmothers' verbal and nonverbal behaviors with grandchildren based on grandmothers' characteristics.
본 연구는 돌봄 관련 변수가 손자녀를 돌보는 조모의 신체 건강 만족도와 여가 활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손자녀를 돌보는 조모 141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는 기술 통계와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위계적 중다회귀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신체 건강 만족도에는 조모의 교육 수준과 월 가계 총 소득, 돌보는 손자녀 수, 성인 자녀와의 돌봄 갈등여부가 영향 변수였다. 즉,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월 가계 총 소득이 높을수록, 돌보는 손자녀의 수가 많을수록, 성인 자녀와 돌봄 갈등이 없는 경우, 조모의 신체 건강 만족도가 높았다. 여가 활동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조모의 교육 수준과 성인 자녀와의 돌봄 갈등 여부가 포함되어, 조모의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자녀와의 돌봄 갈등이 없을 때, 이들의 여가 활동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함의를 논하였고 정책적, 실천적 측면에서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understand grandmothers' intent of caring for working mothers' children and the influence of related variables with regard to living arrangement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245 grandmothers who have been caring for their grandchildren for more than 6 months. The data was analyzed by mean, t-test, x2-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to whether the grandmothers were willing to take care of their grandchildren again, 56.5% answered "yes", while 43.5% were not willing to do so. Those who were not living together with their grandchildren were more likely to answer positively. Second, it was found upon analysis that the significant variables of the experience differed according to grandmothers' residential status. In the case of co-residing grandmothers, the significant variables were the number and age of the grandchildren, their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feeling of burden, while only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in non-co-residing grandmothers' cases. This implies that the more satisfaction the non-co-residing grandmothers experience, the more likely they are willing to take care of their grandchildren again. As for the co-residing grandmothers, it implie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andchildren, satisfaction, and feeling of burden, all influence their caregiving intent for the next time.
이 연구의 목적은 맞벌이 가정에서의 조모들의 손자녀 양육참여와 갈등을 알아봄으로써 공동양육자인 조모세대와 성인자녀세대의 조모 양육에 관한 견해들을 이해하고, 건강한 관계정립을 하여, 좀 더 나은 양육 환경을 조성하기 위함이다. 이 목적을 위해서 경기도 지역의 영 유아기 손자녀를 양육하는 6명의 조모와 그들의 성인자녀 중 6명의 취업모 총 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4년 5월부터 2014년 12월까지이며, 개방형 반구조 면접지침에 따른 심층면접과 전자우편, 관찰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분석은 현상학적 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78개의 의미단위와 15개의 하위구성요소, 6개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6개의 구성요소는 (1) 조모의 양육경험: 손자녀 양육을 통한 조모의 이중역할 (2) 취업모의 양육경험: 취업모의 모성이데올로기의 갈등 (3) 조모 관점에서의 긍정적 효과: 조모의 생성감 증가와 자녀세대와의 친밀한 유대관계형성 (4) 취업모 관점에서의 긍정적 효과: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감소 (5) 손자녀 양육경험의 부정적 효과: 조모의 양육 스트레스 증가와 취업 모의 낮은 양육 효능감 (6) 양육갈등: 두 명의 엄마와 충돌하는 양육 가치관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양육태도와 양육기술에 대한 두 엄마의 다른 가치관의 충돌은 서로에 대한 이해와 조율의 필요성이 제기됨으로 사회적인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aternal grandmo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and mothers' self-differentiation and positive parenting behavior on self-concept in late childhood. Methods: A total of 341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mot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Children were surveyed regarding perceptions of their mo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and their own self-concept. Mothers responded to questionnaires regarding both positive parenting behavior of their mothers and their own self-differentia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EM. Results: Maternal grandmo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had an indirect effect through mothers' self-differentiation and positive parenting behavior on children's self-concept. Mothers who perceived positive parenting behavior in their mothers in their childhood showed positive parenting behavior (as perceived by their children), and those children reported a higher level of self-concept. Mothers who perceived their mother's parenting behavior in their childhood more positively reported a higher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and those mothers showed more positive parenting behavior (as perceived by their children), which led to more positive self-concept in children. Conclusion: The findings specify the pathways from maternal grandmo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to children's self-concept through mothers' self-differentiation and positive parenting behavior in an aspect of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parenting. The findings als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mo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for positive self-concept in late childhood.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child care practices of professional working mothers in Korea and their needs for substitute child care outside the home. Three hundred twenty-two professional working mothers who have children under 6 years of age in Seoul, Pusan, Taegu, and Taejon were surveyed with the use of a questionnaire. It was found that during their working hours, most of the professional working mothers put their children in the care of either the paternal or the maternal grandmothers. Others put the children in the care of a full-time housekeeper or a part-time housekeeper. While all the mothers had worked out a way to care for their children, almost all of them would use day care if facilities were available. Specifically, 42 per cent prefer child care at their work site, 21 per cent prefer family day care, and only 3 per cent indicated that they would not use any child care facilities. Most of the working mothers think that their employer should manage the day care program. Others prefer social agency or government management. Regarding costs, most prefer that costs should be split 50-50 between the employer and the family. In addition, professional working mothers wanted quality programs with educational components rather than mere custodial care. It was concluded that variety in types of quality child care programs should be available to provide working mothers the options of choosing what they want for their children. The main type of programs suggested by this study is work site based child care for children under 3 years of age. The existing law for the Saemaul Nursery School program should be implemented so as to include programs for children under 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the datas about the child care arrangement and the needs of day care programs of teaching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and to develop the more desirable day care programs for them. The objects were 255 teaching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eaching mothers who didn't use the day care center tended to put their children in the care of the paternal or maternal grandmothers, Major contributions of those baby-sitters were to protect the children and make everyday life training (44.0%) 2) The first reason for the mothers who used the day care center was that they had no other hands for their children(43.7%) and next reason was that the concerns for their children's socialization(35.4%) 3) Teaching mothers did not want the day care service during the vacation except 20% of them. 4) Teaching mothers absolutely wanted the day care service center especially inside their jobsite(61.0%) than any other type of day care programs and also wanted supporting by the government(66.5%) About the choice criterions of the day care center nutrition health and safety were suggest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ey also prefered the experience with other peers and the programs focusing on the emotional development of the children.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