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xploratory Study on Child Rearing Grandmothers: Based on the Interview of Grandmothers and Mothers

외조모의 손자녀 양육지원에 관한 탐색적 연구: 외조모와 어머니의 보고 중심으로

  • 주은선 (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 강명진 (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 최민정 (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Received : 2018.06.09
  • Accepted : 2018.09.18
  • Published : 2018.10.31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grandmothers and mothers when grandmothers take care of their grandchildren, and to understand the particular meaning of it.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5 grandmothers who have supported or have experience in caring for their grandchildren, and their daughters(5 working mothers) who have entrusted their children to them.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analysed by the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Results: Seventeen sub-constructs and 5 constructs resulted in: (1) Motivation of grandmothers and mothers for taking care of grandchildren. (2) Pressure of grandmothers and satisfaction of mothers for the support. (3) Grandmothers stepping back and saying 'Not my child' and mothers saying 'It's my child' and thinking their influence is big. (4) Consistent sacrifice of grandmothers and mothers who cannot do the same. (5) Grandmothers feeling empty after caring for their grandchildren and mothers realizing their efforts.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grandmothers and mothers when grandmothers take care of their grandchildren from multi-perspectives. Through the findings, the need for developing healthy relationships and a caring environment for grandmothers and their grandchildren is stressed.

Keywords

References

  1. 강수경, 최혜정, 정미라 (2016). 손자녀 양육 조모의 성인자녀와의 결속도, 손자녀와의 친밀도, 문지기 역할이 조모역할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6(1), 141-161. doi:10.21213/kjcec.2016.16.1.141
  2. 강유진 (2003). 한국여성노인들의 노년기 적응과 노년기 삶의 모습에 대한 질적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1(3), 131-146.
  3. 강유진 (2011). 손자녀 돌봄과 조부모의 심리적 복지 - 돌봄 상황, 양육지각, 자원의 상호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4(1), 73-97.
  4. 강이수, 신경아, 박기남 (2015). 여성과 일: 일터에서 평등을 찾다. 파주: 동녘.
  5. 강혜경, 어성연 (2015). 농촌거주 다문화 가정의 자녀출산과 양육경험 - 결혼이주여성과 시어머니의 목소리를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9(6), 395-422.
  6. 경북여성정책개발원 (2015. 8). 조부모의 손자녀 세대에 대한 역할수행 강화 프로그램: 잘 나가는 할매 할배, 손자녀와 통(通)하다. http://www.forwoman.or.kr/business/research_report/view/6537?limit=10&page=5에서 2018년 5월 11일 인출
  7. 고은채 (2013). 대한민국 국가 재건시기 여성의 재현 방식에 관한 연구: 1950년대 여성잡지 '여원','여성계'의 만화와 만평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문정 (2007). 손자녀를 양육하는 할머니의 양육부담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6), 914-923. doi:10.4040/jkan.2007.37.6.914
  9. 김문정 (2009). 원저: 손자녀 양육 조모의 생활만족도 구조모형.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5(3), 231-241. doi:10.4069/kjwhn.2009.15.3.231
  10. 김미옥, 송승민, 이사라 (2015). 맞벌이 가정 조모의 손자녀 양육경험와 양육갈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조모와 취업모 관점에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4), 239-269. doi:10.14698/jkcce.2015.11.239
  11. 김미혜, 성기옥, 팽경희, 최희진, 최소영 (2011). 손자녀 양육 조부모와 자녀와의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부모의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1(4), 905-923.
  12. 김승용, 정미경 (2006). 손자녀 돌봄에 대한 조모 및 취업모의 인식 조사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1(5), 67-96.
  13. 김양지영 (2015). 돌봄의 세대 전가: 전일제 취업 부부의 조(부)모 양육 지원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31(4), 87-145.
  14. 김은정 (2011). 영유아 손자녀 양육에 참여하는 조모의 양육스트레스: 취업모 맞벌이가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김은정 (2012a). 맞벌이가정 영유아기 손자녀 양육조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부부 및 자녀관계, 가족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가족복지학, 17(2), 25-48.
  16. 김은정 (2012b). 손자녀 양육 조모의 양육보상감 및 영향요인. 한국노년학, 32(3), 851-867.
  17. 김은정 (2013). 맞벌이가정 손자녀 양육지원 조모와 취업모 간 관계유형 및 관계의 질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40, 93-123. doi:10.16975/kjfsw.2013..40.004
  18. 김은정 (2014a). 맞벌이가정 취업모가 인식하는 손자녀 양육지원 조모와의 관계 및 영향요인. 한국영유아보육학, 84, 163-183.
  19. 김은정 (2014b). 손자녀 양육지원가정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영향요인. 한국영유아보육학, 89, 237-259.
  20. 김은정 (2015). 손자녀 돌봄지원 관련 연구 동향과 과제 -2000년 이후 국내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50, 69-96.
  21. 김은정, 정순둘 (2011). 손자녀 대리양육 조모의 적응경험에 관한 연구 -취업모 가정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31, 175-210. doi:10.16975/kjfsw.2011..31.007
  22. 김춘덕 (2014). 노인 역할상실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연구: 우울증상의 매개효과 검증 중심으로.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김태현, 이문숙 (2011). 현대사회와 여성. 파주: 교문사.
  24. 김현정 (2015). 성인자녀의 입장에서 본 맞벌이 가족의 손자녀 양육에 대한 인식 유형: Q방법론의 적용. 사회복지연구, 46(1), 135-163. doi:10.16999/kasws.2015.46.1.135
  25. 김희주, 주경희 (2008). '한국적 성공적 노후척도'를 활용한 노인의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41, 125-158.
  26. 박소영, 박태영 (2008). 며느리들의 시어머니와의 관계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4), 55-71
  27. 박신규 (1992). 딸의 체험을 통해본 모녀관계의 성격과 변화: 30대 전문직 여성 사례연구. 여성학논집 9, 244-245.
  28. 박윤, 심형인, 이숙종 (2014). 한국인 인간관계의 문화적 특성과 척도개발-온정적 인간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0(4), 415-441.
  29. 배나래, 박충선 (2009). 노년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9(2), 761-779.
  30. 백지은 (2018). 손자녀 돌봄경험이 조부와 조모의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학회논문지, 9(1), 363-375. doi:10.15207/JKCS.2018.9.1.363
  31. 백진아 (2013). 중장년 기혼 여성의 손자녀 양육 경험 -돌봄 공백의 가족주의적 대응. 담론201, 16(3), 67-94. doi:10.17789/discou.2013.16.3.003
  32. 보건복지부 (2016. 1). 2015년 전국 보육실태 조사. http://www.prism.go.kr/homepage/researchCommon/retrieveResearchDetailPopup.do?research_id=1351000-201600003에서 2018년 3월 1일 인출
  33. 신경림 (2004). 질적 연구방법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34. 신용주 (2015). 조부모됨과 조부모역할 다시 보기. Andragogy Today, 18(4), 29-47.
  35. 신화용, 조병은 (2004). 사회교환론적 관점에서 본 노모를 부양하는 성인자녀가 지각한 대가, 보상 및 관계의 질 - 한국과 재미교포자녀의 비교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1), 153-174.
  36. 안희란, 김선미 (2015). 손자녀 양육지원 경험에 대한 할머니들의 해석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1), 93-109.
  37. 양소정, 정경미, 김원경 (2008). 공동양육 조모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 관련성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3(4), 415-432. doi:10.18205/kpa.2008.13.4.002
  38. 여성한국사회연구회 (1995). 가족과 한국사회. 서울: 경문사.
  39. 유계숙 (1995). 성인 딸과 어머니의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3(2), 78-85.
  40. 유재언 (2017). 세대 간 돌봄이 성인 자녀와 부모 간의 지리적 근접성에 미치는 영향. 여성연구, 92(1), 31-56.
  41. 유희정 (2016). [이슈브리프]조부모 영아양육 지원 활성화 방안 연구. 젠더리뷰, 42, 30-35.
  42. 육아정책연구소 (2015. 11). 조부모 영유아 손자녀 양육실태와 지원방안 연구. http://www.kicce.re.kr/kor/publication/02.jsp?mode=view&idx=18983&startPage=30&listNo=92&code=report01&search_item=&search_order=&order_list=10&list_scale=10&view_level=0에서 2018년 4월 13일 인출
  43. 윤복실 (2018). TV 드라마 <디어 마이 프렌즈>에 나타난 가족이데올로기 체계 연구: 레이몬드 윌리엄스의 '정서의 구조'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4. 이남인 (2005). 현상학과 질적연구방법. 철학과 현상학 연구, 24, 91-121.
  45. 이명순 (2010). 1950년대 한국 여성담론 연구: 젠더화된 근대인식과 여성성의 재현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이서영 (2013). 돌봄유형에 따른 보육사업의 문제점과 발전방안 - 손주돌보미와 아이돌보미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영유아보육학, 80, 175-198.
  47. 이성은 (2003). 한국의 근대성과 가부장제의 변형: 한국여성연구원 편, 이화여대 출판부, 2003. 한국여성학, 19(3), 245-248.
  48. 이수미, 이숙현 (2010). 취업모의 다중역할의 질과 심리적 건강.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5(3), 67-90.
  49. 이은지 (2013). 한국에서 주택 담론의 역사적 변화: 1970∼2000년대 신문기사를 통해 본 '내집마련' 담론.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이재림 (2013). 손자녀 양육지원에 따른 조모와 취업모의 관계 경험.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2), 1-24. doi:10.7466/jkhma.2013.31.2.001
  51. 이지연, 김원경, 정경미 (2009). 지원 양육조모의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대처, 양육 행동에 대한 연구 -주 양육모, 부분 양육모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9(2), 441-458.
  52. 이지영 (2008). 아버지의 양육 효능감과 자녀 양육 참여: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을 매개 변인으로.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이현수 (2007). 손자녀를 양육하는 할머니의 심리적 체험연구. 질적연구, 8(1), 67-78.
  54. 전연우, 김윤숙, 조희숙 (2012). 손자녀 양육과정에서 경험하는 외할머니의 심리적 상태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7(6), 175-199.
  55. 전주혜, 박정윤 (2010).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원가족 경험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4), 127-150.
  56. 정경미, 김미경 (2012). 조모와 어머니의 자녀양육 역할기대에 대한 인식. 한국교육문제연구, 30(3), 63-79.
  57. 정미라, 최혜정 (2017). 손자녀 양육 조모와 성인자녀의 결속도 유형. 유아교육연구, 37(4), 533-556. doi:10.18023/kjece.2017.37.4.022
  58. 정순둘 (2007).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관한 인식 비교연구. 한국노년학, 27(4), 829-845.
  59. 정영숙, 장혜자, 김연화 (2005). 조모와 어머니 두 세대의 자녀양육행동 비교연구 - 유아어머니가 지각한 내용을 중심으로: 조모와 어머니 두 세대의 자녀양육행동 비교연구. 생활과학연구논총, 9(2), 49-59.
  60. 정태연, 노현정 (2005).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른 양육죄책감과 양육행동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0(2), 211-231.
  61. 조미현, 김현수 (2015). 부모의 보육시설 신뢰와 교사의 정서적 기질이 영유아의 보육시설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51, 77-103.
  62. 조병은, 유은희, 이정순, 최혜경 (1996). 3세대 모녀간의 애착.자율성 발달특성과 심리적적응.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4), 191-201.
  63. 조용환 (2012). 교육인류학과 질적 연구. 교육인류학연구, 15(2), 1-21. doi:10.17318/jae.2012.15.2.001
  64. 조윤주 (2017).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부모의 우울에 관한 연구: ABC-X 모델의 적용.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17(21): 335-359. doi:10.22251/jlcci.2017.17.21.335
  65. (주)마크로밀엠브레인(구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 (2014). 황혼육아(조부모 육아) 관련 조사. 리서치보고서, 2014(3), 152-180.
  66. 차성란 (2014). 가족돌봄기능과 관련된 세대갈등 가능성에 대한 고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4), 111-133.
  67. 최승이 (2011). 엄마를 상실한 중년여성의 애도 경험.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2(4), 637-653. doi:10.7856/kjcls.2011.22.4.637
  68. 최혜지 (2004). 손자.녀 양육형태가 노부모와 성인자녀의 세대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4(3), 31-49.
  69. 하석철 (2015). 조부모의 아동 양육 지원이 아동의 모가 가지는 노부모와의 동거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친정부모와 시부모 간의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6(2), 37-63. doi:10.16999/kasws.2015.46.2.37
  70. 하석철 (2016). 과거 모(母)의 경제적 지원과 손자녀 돌봄이 성인자녀와의 동거에 미치는 영향-장기적 호혜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53, 161-198.
  71. 하석철, 홍경준 (2016). 모(母)의 손자녀 돌봄이 성인자녀와의 접촉 수준에 미치는 영향: 장기적 상호 관계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7(1), 261-290. doi:10.16999/kasws.2016.47.1.261
  72. 한경혜, 윤성은 (2004). 한국가족 친족관계의 양계화 경향: 세대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27(2), 177-204.
  73. 한민아, 한경혜 (2004). 세대간 지원교환유형과 성인자녀의 심리적 복지감.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1), 135-152.
  74. 한유리 (2015). 질적연구 입문. 서울: 박영story.
  75. 황혜원 (2012). 어린자녀를 둔 저소득 취업모의 심리적 복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7(1), 47-64.
  76. Allen, S. M., & Hawkins, A. J. (1999). Maternal gatekeeping: Mothers' beliefs and behaviors that inhibit greater father involvement in family work.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1(1), 199-212. doi:10.2307/353894
  77. Bowers, B. F., & Myers, B. J. (1999). Grandmothers providing care for grandchildren: Consequences of various levels of caregiving. Family Relations, 48(3) 303-311. doi:10.2307/585641
  78. De Luccie, M. F. (1995). Mothers as gatekeepers: A model of maternal mediators of father involvement.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56(1), 115-131. doi:10.1080/00221325.1995.9914811
  79. Fagan, J., & Barnett, M.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gatekeeping, paternal competence, mothers' attitudes about the father role, and father involvement. Journal of Family Issues, 24(8), 1020-1043. doi:10.1177/0192513x03256397
  80. Gattai, F. B., & Musatti, T. (1999). Grandmother's involvement in grandchildren's care: Attitudes, feelings, and emotions. Family Relations, 48(1), 35-42. doi:10.2307/585680
  81. Giorgi, A.(ed.) (1985).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Pittsburgh, PA: Duquesne University press.
  82. Hamnett, C., Harmer, M., & Williams, P. (1991). Safe as houses: Housing inheritance in Britain. London: Paul Chapman.
  83. Mason, J., May, V., & Clarke, L. (2007). Ambivalence and the paradoxes of grandparenting. The Sociology Review, 55(4), 687-706. doi:10.1111/j.1467-954X.2007.00748.x
  84. Morse, J. M., & Field, P. A. (1995).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health professionals. Thousand Oaks, CA: Sage.
  85. Reitzes, D. C., & Mutran, E. J. (2004). Grandparenthood: Factor influencing frequency of grandparent-grandchildren contact and grandparent rol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59(1), S9-S16. doi:10.1093/geronb/59.1.s9
  86. Rossi, A. S., & Rossi, P. H. (1990). Of human bonding: Parent-child relations across the life course. NY: Aldine de Gruyter.
  87. Saunders, P. (1990). A nation of home owners. London: Unwin Hyman.

Cited by

  1. 후속 출산을 포기한 한 자녀 어머니들의 임신·출산 및 양육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 vol.16, pp.4, 2018, https://doi.org/10.14698/jkcce.2020.16.04.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