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hysical Health Satisfaction and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of a Grandchild Caregiving Grandmother

손자녀를 돌보는 조모의 신체 건강 및 여가 활동 만족도에 관한 연구

  • Cho, Yoon Joo (Dept. of Social Welfare, Sungshin Women's University)
  • 조윤주 (성신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9.07.29
  • Accepted : 2019.09.14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variables which account for grandchild caregiving grandmothers' physical health satisfaction and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Methods: The sample included 141 grandmothers.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Firstly, the variables that explained physical health satisfaction of grandchild caregiving grandmothers were educational level, family income, the number of grandchild, and caregiving conflict with adult child. When their educational level were higher, had more money, cared for grandchild more, and did not experience conflict with adult child, they showed the higher scores of physical health satisfaction. Secondly, as to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of grandchild caregiving grandmothers, educational level and caregiving conflict with adult child were included. That is, they had higher educational level, and without caregiving conflict with adult child, grandchild caregiving grandmothers reported higher levels of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various implications and interventions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돌봄 관련 변수가 손자녀를 돌보는 조모의 신체 건강 만족도와 여가 활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손자녀를 돌보는 조모 141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는 기술 통계와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위계적 중다회귀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신체 건강 만족도에는 조모의 교육 수준과 월 가계 총 소득, 돌보는 손자녀 수, 성인 자녀와의 돌봄 갈등여부가 영향 변수였다. 즉,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월 가계 총 소득이 높을수록, 돌보는 손자녀의 수가 많을수록, 성인 자녀와 돌봄 갈등이 없는 경우, 조모의 신체 건강 만족도가 높았다. 여가 활동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조모의 교육 수준과 성인 자녀와의 돌봄 갈등 여부가 포함되어, 조모의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자녀와의 돌봄 갈등이 없을 때, 이들의 여가 활동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함의를 논하였고 정책적, 실천적 측면에서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양지영(2015). 돌봄의 세대 전가: 전일제 취업 부부의 조(부)모 양육 지원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31(4), 87-145.
  2. 김오남(2007).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부모의 부담과 보상감. 한국노년학연구, 16, 59-84.
  3. 김은정(2015). 손자녀 돌봄 지원 관련 연구 동향과 과제: 2000년 이후 국내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50, 69-96.
  4. 김은정, 정순둘(2011). 손자녀 대리양육 조모의 적응 경험에 관한 연구: 취업모 가정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31, 177-210.
  5. 박기남(2004). 노년기 삶의 만족도의 성별 차이. 한국노년학, 24(3), 13-29.
  6. 오인근, 오영삼, 김명일(2009). 여성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구: 건강 증진 행위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4(1), 113-136.
  7. 유희정, 이솔, 홍지수(2015). 맞벌이 가구의 영아 양육을 위한 조부모 양육 지원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8. 이선미, 김경신(2002). 노년기 부부의 생활 만족도와 우울 및 관련 변인 연구. 한국노년학, 22(1), 139-157.
  9. 이윤진, 권미경, 김승진(2015). 조부모 영유아 손자녀 양육 실태와 지원 방안 연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10. 전연우, 김윤숙, 조희숙(2012). 손자녀 양육 과정에서 경험하는 외할머니의 심리적 상태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7(6), 175-199.
  11. 정경자, 김형수(2010). 외국의 노인 여가 스포츠 프로그램 사례 분석 및 한국 사회로의 시사점.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2, 719-731.
  12. 정미라, 최혜정, 강수경(2015). 영유아기 손자녀를 돌보는 조모의 역할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20(3), 119-141.
  13. 정우정, 이명선(2014). 손자녀 양육 조부모의 지각된 건강 상태, 양육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6(3), 310-319. doi:10.7475/kjan.2014.26.3.310
  14. 조윤주(2006). 손자녀를 양육하는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0(3), 1-21.
  15. 조윤주(2016). 손자녀 양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양육 환경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25(4), 409-421. doi:10.5934/kjhe.2016.25.4.409
  16. 최경덕, 안태현(2016). 손자녀 양육이 고령자의 건강에 미치는 효과: 도구변수 분석법을 활용하여.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22(3), 99-128.
  17. 최해경(2002). 저소득층 조손가정 여성 노인의 우울감과 관련 요인 연구. 한국노년학, 22(3), 207- 222.
  18. 최혜정(2017). 손자녀 양육 여부에 따른 조모의 주관적 건강 상태, 우울, 삶의 질 및 자녀와의 갈등 비교. 부모자녀건강학회지, 20(2), 80-87.
  19. 최혜지(2009). 조손가족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 이해: Sen의 인간 존재 실현력 패러다임을 통한 접근. 한국인구학, 32(3), 103-126.
  20. 한혜자, 류창희, 이영세(2001). 조부모가 제공하는 도움과 이에 따른 만족도. 노인복지연구, 11, 195-211.
  21. Baker, L. A., & Silverstein, M. (2008). Depressive symptoms among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The impact of participation in multiple roles. Journal of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s, 6(3), 285- 304. doi:10.1080/15350770802157802
  22. Baltes, P. B., & Baltes, M. M. (1990).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successful aging: The model of selective optimization with compensation, In P. B. Baltes and M. M. Baltes (Eds.), Successful aging: Perspectives from the behavioral science (pp. 1-30). Cambridge U. K.: Cambridge Press.
  23. Burton, L. M., & Devries, C. (1992). Challenges and rewards: African American grandparents as surrogate parents. Generations, 16(3), 51-55.
  24. Campbell, A., Converse, P. E., & Rodgers, W. L. (1976).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Perceptions, evaluations, and satisfactions.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25. Carstensen, L. L., Fung, H. H., & Charles, S. T. (2003). Socioemotional selectivity theory and the regulation of emotion in the second half of life. Motivation and Emotion, 27(2), 103-123. doi:10.1023/A:1024569803230
  26. Dolbin-MacNab, M. L. (2006). Just like raising your own? Grandmothers' perceptions of parenting a second time around. Family Relations, 55(5), 564-575. doi:10.1111/j.1741-3729.2006.00426.x
  27. Glass, T. A., Seeman, T. E., Herzog, A. R., Kahn, R., & Beckerman, L. F. (1995). Change in productive activity in late adulthood: MacArthur studies of successful aging. The Journals of Gerontology, 50(2), 65-76. doi:10.1093/geronb/50B.2.S65
  28. Havighurst, R., & Albrecht, R. (1953). Older people. New York: Longmans, Green.
  29. Hayslip, B., Shore, J., Henderson, C. E., & Lambert, P. L. (1998). Custodial grandparenting and the impact of grandchildren with problems on role satisfaction and role meaning. The Journals of Gerontology, 53(3), 164-173. doi:10.1093/geronb/53B.3.S164
  30. Herzog, A. R., Rodgers, W. L., & Woodworth, J. (1989). Subjective well-being among different age groups. Institute for Social Research, Ann Arbor: The University of Michigan.
  31. Kelley, S. J., Whitley, D. M., & Campos, P. E. (2010). Grandmothers raising grandchildren: Results of an intervention to improve health outcome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42(4), 379-386. doi:10.1111/j.1547-5069.2010.01371.x
  32. King, V., & Elder, G. H. (1998). Perceived selfefficacy and grandparenting. The Journals of Gerontology, 53(5), 249-257. doi:10.1093/geronb/53B.5.S249
  33. Kivett, V. R. (1985). Grandfathers and grandchildren: Patterns of association, helping, and psychological closeness. Family Relations, 34(4), 565-571. doi:10. 2307/584020 https://doi.org/10.2307/584020
  34. McIntosh, B. R., & Danigelis, N. L. (1995). Race, gender, and the relevance of productive activity for elders' affect. The Journals of Gerontology, 50(4), 229-239. doi:10.1093/geronb/50B.4.S229
  35. Minkler, M., Miller, D., & Driver, D. (2000). Grandparent caregiving and depression. In B. Hayslip & R. Goldberg-Glen (Eds.),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Theoretical, empirical, and clinical perspectives (pp. 207-219). New York: Springer.
  36. Morris, R., & Caro, F. G. (1995). The young-old, productive aging, and public policy. Generations, 19(3), 32-38.
  37. Shlomo, S. B., Taubman-Ben-Ari, O., Findler, L., Sivan, E., & Dolizki, M. (2010). Becoming a grandmother: Maternal grandmothers' mental health, perceived costs, and personal growth. Social Work Research, 34(1), 45-57. doi:10.1093/swr/34.1.45
  38. Solomon, J., & Marx, J. (2000). The physical, mental, and social health of custodial grandparents. In B. Hayslip & R. Goldberg-Glen (Eds.),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Theoretical, empirical, and clinical perspectives (pp. 183-205). New York: Springer.
  39. Taylor, J. Y., Washington, O. G., Artinian, N. T., & Lichtenberg, P. (2007). Urban hypertensive African American grandparents: Stress, health, and implication of child care. Clinical Gerontologist, 30 (4), 39-54. doi:10.1300/J018v30n04_03
  40. Whitley, D. M., Kelley, S. J., & Lamis, D. A. (2016).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A longitudinal mediation analysis in African American custodial grandmothers.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82(2-3), 166-187. doi:10.1177/00914150156265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