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15.11.239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Child-rearing Experience and Conflict of Grandmothers in Dual-income Families: from the Grandmother's and Working Moms' Point of View  

Kim, Mee Ok (수원대학교대학원 아동학과)
Song, Seung Min (수원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Lee, Sa Rah (세종사이버대학교 아동복지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11, no.4, 2015 , pp. 239-26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ifferent views of grandparent's that are rearing children from the grandmother and working mom as co-caregivers by studying conflicts and the experience made by grandmothers by rearing children through a phenomenological approach, and to help to build healthy relationships and furthermore to promote a healthy educational environ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six working mothers from a child care center in Gyeonggi, and their six grandmothers who were rearing grandchildren through in-depth interviews, emails and observation based on the instruction of semi-structured interviews. For analysis, a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is used. As a result, 78 meaning units, 15 sub-elements and 6 theme categories were drawn. Theme categories were (1) grandmothers' rearing experience; perform a double-role through grandchildren-rearing (2) working moms' rearing experience; conflicts over ideologue of motherhood (3) grandmothers' rearing positive effect: increasing grandmothers' efficacy and intimate relationships with grandchildren (4) working moms' rearing positive effect: reducing working moms' children-rearing stress (5) negative effect: increasing grandmothers' children-rearing stress and working moms' low children-rearing efficacy (6) rearing conflicts: the two mothers' conflicts over children-rearing values. Through the study, it implies that social intervention is needed to solve the conflicts between two mothers over the rearing attitudes and methods as understanding and intervention is needed.
Keywords
phenomenological approach; grandchild-rearing; conflicts in child-rearing; grandmother;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0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상경 (2012). 삶의 만족도와 관련요인의 세대간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이용한 베이비 붐 세대와 이전 및 이후 세대간 비교. 사회복지연구, 43(4). 91-119.
2 강유진 (2011). 손자녀 돌봄과 조부모의 심리적 복지: 돌봄 상황, 양육지각, 자원의 상호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4(1), 73-97.
3 김경은, 장연집 (2008). 취업모의 첫 자녀 양육경험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질적연구, 9(1), 31-43.
4 김나현, 이은주, 곽수영, 박미라 (2013). 어린아동을 둔 취업모의 양육부담감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9(3), 188-200.   DOI
5 김미영 (2001).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모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취업모를 자녀로 둔 조모를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미혜, 성기옥, 팽경희, 최희진, 최소영 (2011). 손자녀 양육 조부모와 자녀와의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부모의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1(4), 905-923.
7 김성경 (2011). 기혼 취업여성의 특성이 일-가족의 긍정적 전이 및 부정적 전이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33, 69-94.
8 김윤숙, 전연우, 조희숙 (2012). 할머니의 양육경험 이야기: 자녀 세대와 손자녀 세대 양육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3), 185-208.
9 김윤주, 방미란 (2011). 손자녀를 돌보는 할머니의 경험: 내러티브 탐구. 질적연구, 12(1), 59-72..
10 김은경 (2014). 부부관계특성이 둘째 자녀 출산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8(4), 199-217.
11 김은정 (2011). 영유아 손자녀 양육에 참여하는 조모의 양육스트레스: 취업모 맞벌이 가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2 김은정 (2013). 맞벌이가정 손자녀 양육지원 조모와 취업모 간 관계유형 및 관계의 질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40, 93-123.
13 김은정(2014). 맞벌이가정 취업모가 인식하는 손자녀 양육지원 조모와의 관계 및 영향요인. 한국영유아보육학, 84, 163-183.
14 Huberman, A. M., & Miles, M. B. (1994). Data management and analysis methods. Denzin, N. Y., & Lincoln, Y. S. (Eds.),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pp. 428-444). Thousand Oaks, CA, US: Sage.
15 Irving, S. (2009).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for researchers in education and the social science, their edition 질적연구 방법으로서의 면담(박혜준, 이승연 공역). 서울: 학지사.
16 Kelly. S. J. (1993). Caregiver stress in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Image: Th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5(4), 331-337.   DOI
17 Kelly, S. J., Whitley, D. M., & Campos, P. E. (2010). Grandmothers raising grandchildren: Results of an intervention to improve health outcome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42(4), 379-386.   DOI   ScienceOn
18 Kvale, S. (1996). Interviews - An introduction to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ing. Thousand Oaks, CA: Sage.
19 Langosch, D. (2012). Grandparents parenting again: Challenges, strength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Psychoanalytic Inquiry, 32(2), 163-170.   DOI
20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21 Lumpkin, J. R. (2007). Grandparents in a parental or near-parental role: sources of stress and coping mechanisms, Journal of Family Issue, 29(3), 357-372.   DOI
22 MaGowen, M. R., & Ladd., & Strom, R. D. (2006). On-line assessment of grandmother experience in raising grandchildren. Educational Gerontology, 32(8), 669-684.   DOI   ScienceOn
23 McBride, B. A., & Mills, G. (1993). A comparison of mother and father involvement with their preschool age childre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8(4), 457-477.   DOI   ScienceOn
24 김인지 (2005). 취학전 자녀를 둔 어머니의 모성이데올로기와 부모역할 만족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Thiele, D., & Whelan, T. A.(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grandparent satisfaction, meaning, and generativity.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66(1), 21-48.   DOI   ScienceOn
26 Williams, M. N. (2011). The changing roles of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Journal of Human Behavior in the Social Environment, 21, 948-962.   DOI
27 강기정, 박수선 (2007). 국내 맞벌이 부모 관련 연구의 동향 분석. 부모교육연구, 4(2), 123-143.
28 김은정, 정순둘 (2011a). 손자녀 대리양육 조모의 적응경험에 관한 연구: 취업모 가정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31, 177-213.
29 김은정, 정순둘 (2011b). 맞벌이 가정 영유아 손자녀 양육조모의 삶의 만족도: 양육 보상감, 가족 관계,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54, 285-310.
30 김은주, 서영희 (2007).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실제에 관한 질적 연구. 아동학회지, 28(2), 175-192.
31 김인지, 이세인, 이숙현 (2010). 취학 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세대 간 양가감정에 관한 질적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8(5), 73-85.   DOI
32 김종숙 (1997). 가족갈등의 이론적 고찰, 사회복지연구, 10(1), 307-323.
33 김종숙 (2002). 한국사회의 조부모 역할. 현대사회문화연구소, 236, 39-43.
34 김종훈, 양소영, 성지현 (2013).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사회적 지원이 후속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매개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4(1), 87-102.   DOI
35 나은영 (2006). 인간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 서울: 한나래.
36 남효정, 이숙현 (2011).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정도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6(2), 107-121.
37 노상경 (2006). 손자녀 대리양육지원에 대한 조모의 연구. 교육연구, 40, 23-44.
38 노성향 (2010). 취업여성의 영아 보육 현황과 육아 지원 방안. 한국아동복지학, 33, 111-128.
39 마미정 (2008). 맞벌이부부의 둘째 자녀 출산의도와 출산기피 요인 탐색 연구. 부모교육연구, 5(1), 75-116.
40 박보영 (2006). 저출산.고령사회에서의 가족정책: 일-가족 양립지원정책. 상황과 복지, 22, 229-153.
41 서미정 (2011). 부모의 심리사회적 특성이 후속 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 유자녀 가구를 중심으로. 육아정책연구, 5(1), 127-148.
42 배지희, 노상경, 권경숙 (2008). 조부모의 영유아기 손 자녀 양육현황 및 양육지원에 대한 요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1), 379-410.
43 백진아 (2011). 중장년 기혼 여성의 손자녀 양육 경험- 돌봄 공백의 가족주의적 대응. 담론 201, 16(3), 67-93.
44 보건복지부 (2012). 2012년 전국보육실태조사 가구조사보고서. 서울: 보건복지부.
45 안재진 (2011). 부의 양육참여가 출산 후 초기 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부부관계의 질을 매개로. 한국아동복지학, 35. 127-159.
46 양미경 (1996).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도와 부모역할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4(4), 87-101.
47 양성은 (2006). 가족의 일상생활 연구를 위한 질적방법론 고찰. 대한가정학회지, 44(8), 171-179.
48 양소남, 신창식 (2011). 어린 자녀를 둔 일하는 어머니의 일가족양립 고충. 보건사회연구, 31(3), 70-103.
49 오경석 (2010). 재미한인노인의 생성감과 손자녀 양육경험. 한국보육지원학회지, 6(1), 1-21.
50 오진아 (2006). 취업모 가정에서 손자녀를 돌보는 조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삶의 질. 아동간호학회지, 12(3), 368-376.
51 원서진 (2011). 손자녀 양육이 조부모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3세대 가족과 비3세대 가족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2(3), 33-56.
52 이영숙, 박경란 (2013). 조부모됨에 대한 주관적 경험 연구. 주관성 연구: Q방법론및이론, 26, 109-125.
53 이영환 (2008).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아동권리연구, 12(2), 189-210.
54 이은희, 하주영, 이정란, 황은희 (2009). 맞벌이 자녀를 둔 조모의 손자(녀) 돌봄 경험. 질적연구, 10(1), 1-13.
55 이지연, 정경미, 김원경 (2008). 중산층 양육조모와 비양육 조모의 양육스트레스 및 정신건강 실태조사. 한국여성심리학회지, 13(3), 325-341.
56 이정원 (2007). 유자녀 취업여성의 후속출산의도에 관한 연구: 합리적-가치적 선택 모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57 이정원, 유해미, 김문정 (2014). 1명의 영유아 자녀를 둔 취업모의 후속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육아정책연구, 8(1), 47-80.
58 이재림 (2013). 손자녀 양육지원에 따른 조모와 취업모의 관계 경험: 세대 간 지원 제공 및 수혜의 의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2), 1-24.   DOI
59 이하정 (2005). 조모세대와 모세대간의 자녀양육문화 변화에 관한 질적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4(1), 141-167.
60 이현지, 윤은주 (2011). 영유아 양육책임유형에 따른 조모의 삶의 만족도와 자기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5(4), 179-200.
61 임현주, 이대균 (2013). 부부특성 및 사회적 지원과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이 후속출산에 미치는 효과: 모의 취업과 후속출산계획 여부에 따른 다중집단분석. 유아교육연구. 33(2), 121-144.
62 전혜정, 조규영, 박민경, 한세황, Wassel, J. I. (2013). 손자녀 양육자로의 전이가 조부모의 우울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3(3), 515-536.
63 정순둘 (2007).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관한 인식 비교연구. 한국노년학, 27(4), 829-845.
64 정은희, 최유석 (2013). 기혼여성의 둘째자녀 출산계획 및 출산과 관련된 요인. 보건사회연구, 33(1), 5-34.
65 정재원, 김문정 (2010). 손자녀 양육여부에 따른 조모의 생활만족 및 영향요인.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6(3), 288-296.   DOI
66 조윤주 (2012). 손자녀 양육 참여 노인의 활동 만족도에 관한 연구: 노인의 생성감과 가족 지지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2(2), 267-294.
67 주은선, 김사현, 김민성 (2014). 한국부모의 미취학아동 돌봄시간에 관한 연구. 사회보장연구, 30(2), 367-400.
68 통계청 (2015).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서울: 통계청
69 최인희 (2014). 손자녀 돌봄이 여성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돌봄에 대한 자발성과 주관적 평가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6(4), 118-138.
70 통계청 (2005). 아동연령 및 부부취업 상태별 주돌봄자. 서울: 통계청
71 통계청 (2012). 베이비부머 및 에코세대의 인구.사회적 특성분석: 2010년 인구주택 총조사 중심으로. 서울: 통계청
72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0). 2009년도 전국 결혼 및 출산동향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73 홍승아(2010). 일가족양립정책의 국제비교연구: 스웨덴, 영국, 한국을 중심으로. 젠더리뷰, 16, 66-77.
74 Bowers, B. F., & Myers, B. J. (1999). Grandmothers providing care for grandchildren: Consequences of various levels of caregiving. Family Relations, 48(3), 303-311.   DOI   ScienceOn
75 Bundy-Fazioli, Fruhauf, C. A., & Miller, J. L. (2013). Grandparents caregivers' perceptions of emotional distress and well-being.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16(5), 447-462.   DOI   ScienceOn
76 Creswell, John. W. (2010).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2nd ed.) 질적방법론(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공역). 서울: 학지사(원판 2007).
77 Erikson. E. H. (1963). Childhood and society. New York: Norton.
78 Giorgi, A. P. (1997). The theory, practice, and evaluation of the phenomenological method as a qualitative research procedure. Journal of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28(2), 235-260.   DOI   ScienceOn
79 Grzywacz, J. G., Almeida, D. M. & Mcdonald, D. A. (2002). Work-family spillover and daily reports of work and family stress in the adult labor force. Family Relations, 51(1), 28-36.   DOI   ScienceOn
80 Minkler, M., Fuller-Thomson, E., Miller, E., and Driver, D. (1997). Depression in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Archives of Family Medicine. 6(5), 445-452.   DOI   ScienceOn
81 Musil, C. M.(1998). Health, stress, coping and social support in grandmother caregivers. Health Care for Women International, 19(5), 441-455.   DOI
82 Musil, C. M., Warner, C. B., Zauszniewski, J. A., Jeanblanc, A. B., & Kerher, K. (2006). Grandmothers, caregiving, and family functioning.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61(2), 89-98.   DOI
83 Musil, C. M., Gordon, N. L., Warner, C. B., Zauszniewski, J. A., Standing, T., & Wykle, M. (2011). Grandmothers and caregiving to grandchildren: Continuity, change, and outcomes over 24 months. Gerontologist, 21(1), 86-100.
84 Reitzes, D., & Mutran, E. (2004). Grandparenthood: Factor influencing frequency of grandparent-grandchildren contact and grandparent rol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ervice, 59(1), 9-516.   DOI
85 Rowe, J. W., & Kahn, R. L. (1997).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37(4), 433-440.   DOI
86 Ruble, T. L., & Thomas, K. W. (1976). Support for a two-dimentional model of conflict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formance, 16(1), 143-155.   DOI
87 Sampson, D., & Hertlein, K. (2015). The experience of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GrandFamilies: The Contemporary Journal of Research, Practice and Policy, 2(1), 73-96.
88 Sands, R. G., & Goldberg-Glen, R. (2000), Factors associated with among grandparent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Family Relations. 49(1), 97-105.   DOI   Scienc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