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s emotional regulation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24초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인터랙티브 음악연주 콘텐츠 제안 (Interactive Music Performance Content for Infants' emotional regulation Improvement)

  • 박민경;최예지;박영미;장세진;박수이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41-144
    • /
    • 2018
  • 인간의 발달 시기 중 유아기에는 급격한 정서발달이 진행되는데, 정서 조절은 긍정적인 정서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유아기에는 유아가 자신의 정서를 조절하는 방식을 학습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의 향상시킬 수 있는 음악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유리드믹스 음악 교육을 바탕으로 음악에 맞추어 신체의 움직임을 통해 여러 가지 악기를 연주하는 프로젝션 기반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제안한다. 즉 유아들이 손, 팔, 다리를 활용한 신체 동작으로 베이스, 드럼, 탬버린, 캐스터네츠, 마라카스의 5가지 악기를 연주하도록 하여, 신체활동이 유아의 정서조절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도록 하였다. 이러한 음악 기반의 인터랙티브 콘텐츠는 유아들의 이목을 집중시켜 보다 재미있게 정서조절의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소외아의 또래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Variables Associated with Peer Competence of Neglected Children)

  • 문혁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93-103
    • /
    • 2009
  • This study analyzed variables associated with peer competence of negelcted children. Participants were made up of 180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s. Neglected children's peer competence was measured by the Peer Competence Scale(Park & Rhee, 2001) and data were subjected to descriptive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neglected children's peer competence was partly associated with the child's temperament and emotional regulation, parenting styles and involvement strategy,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In particular, closeness in teacher-child relationship was the strongest predictor for both children's peer competence in leadership and sociability. Furthermore, a child's ability to regulate emotion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their peer competence in prosocial environments.

어머니의 앙육태도 및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과 또래 유능성간의 관계 (Children s Peer Competence in relation to Maternal Parenting Styles and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 임연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13-124
    • /
    • 2002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of children's peer competence with maternal parenting styles and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Thirty boys and thirty-one girls in 3 to 6 years of age and their mothers participated. Mothers responded to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Questionnaire(Hwang, 1997), and teachers rutted each child using Peer Competence Scale(Park & Rhee, 2001) and Emotional Intelligence Scale(Lee, 1997). Mothers'acceptive parenting style and children's abilities to regulate emotion were positively related to children's peer competence.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rather than mothers' parenting styles predicted peer competence.

유아의 리더십과 자기조절능력이 또래 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ildren's Leadership and Self-regulation Upon Peer Play Behaviors)

  • 장윤희;문혁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9권2호
    • /
    • pp.73-87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hildren's socia-demographic variables(i.e., gender, birth order, and the amount of time staying in kindergarten) on, leadership, self-regulation and children's peer play behavior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336 children aged between five and seven in four classes in a private kindergarten and eight classes in a private preschool located in the capital reg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girls showed more leadership, self-regulation, and play interaction section than boys: whereas, boys showed higher response in play disruption and the lack of play disconnection. However, birth order,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ub-domain of leadership, self-regulation competence, and peer play behaviors. As for the duration children stay in preschool or in preschool or kindergarten, children who spend half-day showed higher reaction in behavioral self-control and emotional taking abilities than children who stay in the preschool or kindergarten full day. On the other hand, self-esteem of full-time children was higher than half-time children. Children who were emotionally sensitive, knew how to lead their peer group, and those who were sociable and self-regulated presented to be more active in peer-interaction than others. Second, as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reveals, children's leadership, self-regulation competence, peer play behaviors, and play interaction had a meaningful effect on the sub-variations of children's leadership and self-regulation and they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upon play disruption and play disconnection. In addition, girls who were not able to manage or to inspect their behavior and had insensitive emotion demonstrated higher tendency to play disconnected.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full-day program with having difficulties in self-regulation or inspecting their behavior properly but had a strong leadership and insensitive showed play disruption highly.

어머니의 훈육방식 및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other's Discipline Style and Preschooler's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on Preschooler's Leadership)

  • 김경숙;양미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3-4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훈육방식 및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5세 유아 180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유아 리더십과 정서조절전략, 어머니의 훈육방식을 조사하여 집단간 차이분석, 상관분석과 단계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아가 남아보다 전반적으로 리더십이 더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주도성과 의사결정 능력에서 더 강한 리더십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출생 순위 따른 리더십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취업모의 유아가 비취업모의 유아보다 더 우수한 리더십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주도성에서 더 강한 리더십을 보여주었다. 또한 대졸 이상의 고학력 모의 유아가 고졸 이하의 모보다 의사결정능력에서 더 우수한 리더십을 보여주었다. 셋째, 어머니의 훈육방식과 유아 리더십간에는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유아의 정서조절전략과 리더십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 공격전략, 감정발산전략, 무전략을 사용하는 유아일수록 더 약한 리더십을 보이며 긍정적 대처전략을 사용할수록 더 강한 리더십을 가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유아 정서조절전략과 유아성별이 포함된 회귀모형이 유아 리더십을 의미있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이 유아 리더십의 약 50%를 설명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령전기 아동과 어머니의 상호작용 구조모형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the Interaction between Mothers and Preschool-Age Children)

  • 채현이;최미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630-642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raction between mothers and preschool-age children and construc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based on the factors identified.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mothers of children aged three to six years enrolled in kindergartens in Seoul, Gyeonggi, Chungbuk, and Jeonbuk. A total of 32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6.0 and AMOS 26.0 programs. Results: The child's self-regulation (β = .42, p < .001) had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teraction between mothers and preschool children, followed by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β = - .23, p = .008), social support (β = .17, p < .001), and the child's active temperament (β = .15, p < .001). The child's gender, emotional temperament, social temperament, and mother's education level had indirect influence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erventions considering the child's temperament,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are required to promote the interaction between preschool-age children and mothers.

비만아동을 위한 정서적 자기조절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혼합방법론의 적용 (An Emotional Self-Regulation Program for Obese Children: Pilot Study Using Mixed Methods)

  • 김희순;마유미;박지영;김승현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9권3호
    • /
    • pp.187-197
    • /
    • 2013
  • 목적 비만아동을 위한 이론기반의 정서적 자기조절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함. 방법 본 연구는 혼합방법 중 실험연구를 위한 끼워넣기 모형을 활용함. 즉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이용하여 본 프로그램이 비만아동의 우울, 식습관, 체질량지수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 추가적으로 질적 자료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함. 결과 본 연구결과 정서적 자기조절 프로그램은 비만아동의 우울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으며, 대상자는 '자신감 고취', '충동 조절', '또래와의 친밀감', '행복감', '체중감소를 위한 노력 및 경험' 등을 표현함. 결론 본 연구결과 정서적 자기조절 능력의 강화는 비만관리에 있어 효과적인 전략임을 확인하였으며 추후 대상자와 지역을 확대한 반복연구와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를 제언하는 바임. 본 연구는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보다 풍부한 이해를 위해 혼합방법을 적용하고 프로그램의 개발 운영 평가에 있어 실무와의 연계성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짐.

가족기능성이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을 매개로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amily Functioning on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Affective Parenting and Preschoolers' Self-regulation)

  • 정수지;최나야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8권1호
    • /
    • pp.1-12
    • /
    • 2020
  • This study examined if the effect of family functioning on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can be mediated by mothers' affective parenting and preschoolers' self-regulation in the year before children enter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analyzed the 7th year data of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collected by the Korean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Statistical analysis included 1,513 pairs of 6-year-old children and mother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bootstrapping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2 and Amos 20. The primar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ub-factors of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composed of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approach to learning, cognitive development and general knowledge, and communica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family functioning, mothers' affective parenting, and preschoolers' self-regulation. Second, the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hat the indirect paths from family functioning to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through mothers' affective parenting and preschoolers' self-regulation were significant, while the direct path was insignificant. Third, bootstrapping analysis showed that mothers' affective parenting and preschoolers' self-regula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preschoolers' self-regulation. The findings provide the grounds for families and parents with preschool aged children to implement effective support practices to maintain a functional family system that can promote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실존적 자기조절(existential self-regulation)' 측면에서 본 여성노인도박자의 삶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Elderly Female Gamblers' Life History: On the Aspect of Existential Self-regulation)

  • 상종열;차명희
    • 한국노년학
    • /
    • 제38권3호
    • /
    • pp.607-625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근현대사를 관통하는 삶을 살아온 70대 중반의 여성도박자의 이야기이다. 구술을 바탕으로 해석한 자기이해의 삶의 이야기(life story)를 통해 그녀를 이해하고 도박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찾아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실존적 자기조절'이라는 개념을 제시하였으며 내러티브적 인터뷰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 된 자료는 맨델바움(Mandelbaum)이 제시한 삶의 영역, 전환, 적응이라는 분석틀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의 자기서사(self narrative)는 '정신적 결핍을 돈과 자녀교육으로 충족하고자 함', '정신적 결핍을 도박으로 해소하고자 함', '정신적 결핍에서 자유로워짐'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도박이 가지는 의미는 실존적 공허를 달래주는 위안거리, 삶을 피폐하게 만드는 걱정거리, 일상의 무료함을 달래주는 소일거리로 변형되었다. '실존적 자기이해를 통해 도박충동을 조절하는 생애 사건은 두 번째와 세 번째 단계에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여성노인도박자를 위한 자서전 쓰기나 성찰 프로그램의 도입을 제시하였다.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또래 유능성 (Mother's Emotional Expressivity,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Peer Competency)

  • 이양순;정영숙;이기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1-63
    • /
    • 2006
  • 어머니의 정서환경은 유아에게 지속적이고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또래유능성과 밀접한 상관이 있을 것으로 가정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또래유능성간의 상호관계를 밝히고, 사회 인구학적 배경에 따른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유아의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어머니의 바람직한 정서환경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충주시의 유아교육기관 만4~6세 유아 361명과 그의 어머니 361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또래 유능성을 질문지법으로 측정하였으며, 통계처리를 위해 SPSS/WIN 10.0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은 어머니의 학력과 가계 수입에 따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은 성별, 연령에 따라, 또래유능성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간에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는데, 어머니가 긍정적인 정서표현, 약한-부정 정서표현을 많이 할수록 자기조절능력의 하위변인인 자기결정과 행동억제는 높은 점수를 보였고, 강한-부정 정서표현을 많이 할수록 정서성이 높게 나타났다. 어머니의 긍정적인 정서표현성과 약한-부정 정서표현이 많을수록 유아의 또래유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유아의 자기조절 등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발달에 도움을 주는 어머니의 정서환경에 긍정적인 정서표현과 함께 약한-부정 정서표현의 영향을 밝혔으므로, 긍정적인 정서표현과 함께 부정적 정서표현이 바람직한 형태로 부모의 정서교육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