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the Elderly Female Gamblers' Life History: On the Aspect of Existential Self-regulation

'실존적 자기조절(existential self-regulation)' 측면에서 본 여성노인도박자의 삶에 대한 연구

  • 상종열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생명문화연구소) ;
  • 차명희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가톨릭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8.05.31
  • Accepted : 2018.08.24
  • Published : 2018.08.30

Abstract

This study is on mid-seventies female gamblers who went through Korean modern history. The purpose is to analyze interviews on their life of understanding what their true self is, and to redefine gambling. The concept of 'existential self-regulation' was proposed and the materials were acquired through narrative interviews. The materials were then investigated according to Mandelbaum's framework for analysis of which suggests dimension, turning, and adaptation. The self-narrative revealed that the process of being addicted to gambling is as in the following: compensating her emotional deficiency via money and child's education, getting rid of the emotional deficiency via gambling, becoming free from emotional deficiency. The meaning of gambling has shifted to a comfort to existential vacuum, a source of anxiety ruining life, pastime for boring everyday life. Life events that control the impulse to gamble through 'existential self-knowledge' occurred in the second and the third stage.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s mid-seventies female gamblers to write her autobiography, and proposed the necessity of self-examining programs.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근현대사를 관통하는 삶을 살아온 70대 중반의 여성도박자의 이야기이다. 구술을 바탕으로 해석한 자기이해의 삶의 이야기(life story)를 통해 그녀를 이해하고 도박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찾아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실존적 자기조절'이라는 개념을 제시하였으며 내러티브적 인터뷰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 된 자료는 맨델바움(Mandelbaum)이 제시한 삶의 영역, 전환, 적응이라는 분석틀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의 자기서사(self narrative)는 '정신적 결핍을 돈과 자녀교육으로 충족하고자 함', '정신적 결핍을 도박으로 해소하고자 함', '정신적 결핍에서 자유로워짐'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도박이 가지는 의미는 실존적 공허를 달래주는 위안거리, 삶을 피폐하게 만드는 걱정거리, 일상의 무료함을 달래주는 소일거리로 변형되었다. '실존적 자기이해를 통해 도박충동을 조절하는 생애 사건은 두 번째와 세 번째 단계에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여성노인도박자를 위한 자서전 쓰기나 성찰 프로그램의 도입을 제시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