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nge of coastal area

검색결과 486건 처리시간 0.026초

Functioning of the Geoecosystem for the West Side of Admiralty Bay (King George Island, Antarctica): Outline of Research at Arctowski Station

  • Rakusa-Suszczewski, Stanislaw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5권4호
    • /
    • pp.653-662
    • /
    • 2003
  • Changes in the area of geo-ecosystem $(62^{\circ}09'S,\;58^{\circ}31'w)$ reflect climatic changes in the South Shetland Islands. Air temperature and deglaciation will increase. The ice-free space area at the SSSS 8- (ASPA 121) site has enlarged threefold during the last 21 years, thus creating conditions for inhabitation and succession. Wind, water and snow play important roles in transportation of geochemical components. They distribute nutrients, mineral substances, seeds, fragments of plants and animals, etc. Plant and animal colonization is patchy and it happens at random in an 'island' - like manner. The colonization pattern is dependant, to a high degree on physical factors. The newly uncovered ice-free areas are at first inhabited by a vascular plant known as the Deschampsia antarctica. The border of the land-oasis with Admiralty Bay is the place where the processes related to animal feeding at the sea and reproduction on the land take place. Bird colonies and pinniped lairs form centers of fertilization surrounded by high chemical gradients dependent on the direction of the flow of nutrients $(e.g.\;NH_4)$. During the last 25 years, the numbers of penguins in this region have decreased, and thus the amount of materials excreted on land has diminished. The numbers of fur seals change in multi-annual cycles, and their migration into this area is related to the E1 $Ni\~{n}o$ phenomenon. The numbers of elephant seals in the area did not change. Organic matter deposited by the sea onto the shore are a source of nutrients and deficient chemical elements on land. Mineral matter is washed out into the waters of Admiralty Bay. These processes change seasonally, and multi annually. Negative effects on the environment at Arctowski Station induced by man are slight, but noticeable nevertheless. Physical processes have the largest influence on the living conditions and distribution of plants and animals, and as a consequence, on the functioning of the geo-ecosystem in the coastal-shore zone of the Maritime Antarctic.

서아프리카 기니만에 있는 베냉 코토누의 해안선 변화와 대응에 대한 고찰 (Review on Coastline Change and Its Response Along the Cotonou Coast, Benin in the Gulf of Guinea, West Africa)

  • 양찬수;홍혜연;신대운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691-699
    • /
    • 2021
  • 지난 한 세기 동안, 지구 표면 온도는 급격히 상승했다. 급격한 기온 상승은 심각한 지구 기후 변화를 초래한다. 2014년 IPCC 5차 평가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추세대로 기온이 계속 상승하면 해수면 상승 현상처럼 자연 및 인간 체계에 위험이 가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해안 침식의 위험이 있는 모든 해안 지역들 중에서 기니만에 위치한 베냉은 매우 높은 취약 지역으로 나타났다. 이 보고서에서는 선행 연구들을 참고하여 코토누의 해안선 변화의 진행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이와 같은 변화의 영향을 조사하고, 연안 침식 방지 조치들의 적용 결과를 요약하였다. 베냉의 코토누에 있는 해안 침식의 징후는 1963년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코토누 동쪽의 해안선은 39년간 약 885 m 후퇴했고, 토지 손실과 함께 800여 채의 가옥이 없어졌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베냉 당국은 2013년에 7개의 돌제를 건설했고, 이후 추가 설치를 진행하였다. 설치 지역의 해안선은 해변 보호가 되고 있었다. 반면 돌제가 설치되지 않은 돌제 동쪽 지역은 연간 49 m의 집중 침식을 겪고 있다. 따라서 다음 단계로 돌제의 효과는 국지적 관점뿐만 아니라 더 넓은 관점에서 연구되어야 한다.

지상 라이다를 이용한 단기간 해빈과 해안사구의 지형변화 연구 (The short-term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beach and dune using by terrestrial LIDAR)

  • 신대섭;서종철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83-296
    • /
    • 2011
  • 경북 포항시 북구 송라면의 화진 해빈을 대상으로 지상 라이다를 이용하여 두 차례 측량한 후 단기간의 해빈과 해안사구 지형 변화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해빈의 역동성과 일반 이론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2010년 9월과 10월에 2회에 걸쳐 측량된 자료를 통해 10cm 간격의 고해상도 DEM과 음영기복도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수 cm 단위의 해안 미지형을 파악할 수 있었고, 측정 시기에 따른 해안선의 위치와 해안지역의 면적 변화가 정확하게 확인되었다. DEM을 이용한 단면 분석에서는 북쪽 해빈의 비치페이스(beach face)가 침식 현상이 확인되었고, 남쪽 해빈에서는 중간 부분의 비치페이스(beach face)에서 퇴적 현상이 확인되었다. 또한 두 시기의 지형 단면은 파랑의 에너지 상태를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 동삼동 지역의 지표오존농도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urface Ozone Concentration at Dongsamdong, Pusan)

  • 전병일
    • 환경영향평가
    • /
    • 제8권2호
    • /
    • pp.21-29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urface ozone concentration and occurrence of high ozone concentration using hourly ozone and meteorological data of 1997~1998 in Pusan coastal area. Monthly mean ozone concentration was highest in Spring(35.4ppb) and lowest in Winter(22.2ppb). Relative standard deviation indicating clearness of observation site was 0.42 that is similar to urban area. The diurnal variation of ozone concentration of Dongsamdong showed maximum at 15~16LST and minimum 07~08LST that typical pattern of ozone concentration. In ozone episode period(May 18~23, 1998), diurnal change of ozone concentration was very high, and ozone concentration was related to meteorological parameters such as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wind speed, cloud amount and radiation on a horizontal surface.

  • PDF

공릉2보 철거에 따른 하천형태학적 변화 (Change in Stream Morphology after Gongneung Weir 2 Removal)

  • 최성욱;이혜은;윤병만;우효섭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2권5호
    • /
    • pp.425-432
    • /
    • 2009
  • 공릉2보는 농업용수의 공급을 위하여 1970년대에 설치되었다. 그러나 인근 지역의 토지 이용의 변화로 용도를 다하여 사용되지 않고 방치되어 있었다. 공릉2보는 높이 1.5 m의 소형 보 이며, 공릉천의 하상재료는 가는 모래에서 가는 자갈로 구성되어있다. 지자체와 지역 주민들과의 협의를 통하여 공릉2보는 2006년 4월 14일 완전히 철거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공릉2보 철거에 따른 하천형태학적인 변화를 조사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보 철거 전 후의 하상재료의 입도분포, 종단 하상고, 그리고 단면형의 변화가 고찰되었다. 보를 포함한 1 km 구간에서 순 퇴적량이 산정되었으며, 결과로부터 평형하상을 유도하는 유사이동 과정이 초반 45일동안 무척 빠르게 진행되었음을 보였다.

한국 남동해안 외해 표층 200m 수온의 년변동 (Annual Variation of Water Temperatures in the Upper 200m Off)

  • 강용균;강옥규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71-79
    • /
    • 1987
  • 동해안 외해역 51개 정점의 표층 200m내 10개 표준 수심의 누년평균 수온자 료에 대한 조화분석을 통하여 수온의 연변동을 구명하였다. 연안에 인접한 해역에 서 연평균 수온의 등온선은 해안선에 거의 평행한 반면에, 외해에서는 등온선이 위 도선에 거의 평행한다. 수심이 증가함에 따라 수온의 연진폭은 지수함수적으로 감 소하고, 연위상은 거의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동해 남동해역에서의 평균적인 지수적 진폭 감소 수심 (e-folding depth)은 65 이고, 수심증가 200m에 따른 연위상의 변동 은 180 이며, 연직방향의 난류적 전도계수는 $4\textrm{cm}^2/sec$해안으로부터 수십해리 이내인 연안역의 수온 연변동은 외해의 수온 연변동과 상당히 다르다. 연안역 진폭의 지수 적 감소 수심은 외해에서 보다 얕으며, 수심에 따른 수온 연변동 상의 증가는 연안 쪽이 외해쪽보다 완만하다.

  • PDF

RTK-GPS와 항공사진을 이용한 해안선 변화량 분석 (Coastline Change Analysis Using RTK-GPS and Aerial Photo)

  • 이재원;김용석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91-198
    • /
    • 2007
  • 현재 남한의 해안선 길이는 일제시대 측량한 자료에 의하면 육지해안과 도서해안을 합하여 총연장이 약 11,542km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안선에 대한 정확한 자료를 얻기 위해 현지측량으로 이를 수정 갱신하게 되면 엄청난 예산과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아울러, 공유수면 매립과 간척사업 및 신항만 건설 등 크고 작은 각종 개발사업으로 인해 연안해역과 해안선이 수시로 변화되어 연안해역도의 갱신작업이 빈번해지고 있어 현지측량에 대한 대안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대상의 지역적 범위를 부산근교로 한정하여 일정 간격의 항공사진, 위성영상 자료 및 CPS 측량결과를 이용하여 이 일대의 송정 해운대 광안리 송도 다대포 연안해역에 대한 변화량을 분석하였다. 연구내용으로는 연안지역에 대하여 항공사진과 위성영상, 그리고 RTK-GPS 측량을 통한 정성적 분석과 시계열적 변화량을 분석하고자 한다.

순천만 자연생태공원 관리를 위한 중요도.만족도 분석 (Important-Satisfaction Analysis as a Management Strategy of Suncheon Bay Ecological Park)

  • 이동근;김보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39-47
    • /
    • 2010
  • 해안생태계 지역은 휴양이나 관광을 위한 기회 제공과 더불어 자연자원의 보전이라는 두 가지 가치가 상충하는 공간이다. 하지만 대부분 이러한 지역에서는 자연자원의 중요도를 높이 평가하여 관리전략을 세우다 보니 방문객의 만족도 면이 간과되고 있는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방문객들의 지속적인 증가로 1970년대 이후부터 이를 보완하기 위한 수단으로 중요도 만족도 분석이 실시되고 있다. 본 논문은 현재 기조성되어 있는 순천만 자연생태공원의 방문객을 대상으로 관리전략이 상충되는 주요 관리요소에 대한 중요도와 실제 방문객들이 느끼는 만족도 사이의 차이를 주중과 주말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자연생태공원이나 시 차원에서 많은 관심과 투자를 기울이고 있었지만 홍보효과 측면에서 그 효용성이 떨어졌다. 따라서 안내시설이나 홍보교육을 위한 시설과 인력구축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주말과 주중의 방문객의 동반형태가 달라지기 때문에 차별화된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연령대에 따른 정보 교육 통제를 위한 가이드투어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시공간별 이용객 통제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조류출현에 대한 만족도 부분에서는 조류 출현에 대한 사람들의 기대심리를 충족시켜줄 수 있도록 관찰 교육 전시를 위한 사육종 공간이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방문객의 긍정적인 만족도는 제한된 지역에서의 관리전략 수립시 매우 중요한 결과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중요도 만족도가 상충하는 해안생태계지역의 관리우선순위를 통한 관리 전략의 필요성과 연관된 지침을 세우는데 기초 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낙동강 유역의 연안 해저지하수 유출특성에 관한 연구 (The Characteristics of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in the Coastal Area of Nakdong River Basin)

  • 김대선;정한철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6_1호
    • /
    • pp.1589-1597
    • /
    • 2021
  • 연안지역의 해저지하수 유출(SGD)은 하천과 함께 영양염류와 미량금속 등을 해양으로 유입시키는 주요 수송로 역할로써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 육상의 연안지역인 낙동강 대권역 유역에 대해 1986년부터 2020년까지 35개년의 월별 SGD를 추정하고 계절적 변화와 시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SGD 산출지점인 낙동강 연안유역은 SRTM(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DEM(Digital Elevation Model) 자료를 이용하여 210개의 유역을 추출하였으며, 우리나라에 적용가능한 가장 높은 해상도의 전지구 모델인 FLDAS(Famine Early Warning Systems Network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 10 km recharge를 통해 추정한 낙동강 연안유역의 연평균 SGD는 466.7 m2/yr 로 나타났다. 낙동강 연안유역 SGD는 시계열적으로 큰 변동성은 없었으나 여름에 집중되던 SGD유출이 가을철로 주요유출 시기가 확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공간적으로는 큰 수계와 인접한 연안지역에서 계절에 관계없이 SGD 유출이 많고 1980년대 이후로 시간적 변화에 따라 다소 증가하고 있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낙동강 지역의 강수패턴의 시기가 확대되며, 기저유량이 많은 지역의 집수량이 높은 데에 따른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SGD 특성을 탐구하기 위한 모델링 기법을 제시한 선행적 연구이며 우리나라 해저지하수 유출이 해양에 미치는 영향과 연안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성이 기대된다.

동계 서해의 해황과 기상인자와의 관계 (A Relationship between Oceanic Conditions and Meteorological Factors in the Western Sea of Korea in Winter)

  • 고우진;김상우;김동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3-32
    • /
    • 2006
  • 동계 서해에서 해황과 기상인자와의 상호 관련성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수온의 수평분포는 수심이 얕은 연악역이 외해역보다 저수온으로 12월과 2월사이에 외해역에서 $3^{\circ}C$, 연안역에서는 $6^{\circ}C$ 정도의 큰 수온 하강을 보였다. 염분의 분포는 북쪽해역이 연안역과 남쪽해역보다 저농도를 보였다. 또한, 하계에 남북방향으로 형성되었던 등염선이 동계에는 북서에서 남동 방향으로 형성한다. 한국 서해연안의 기온과 연안의 표층수온 사이에는 기온이 상승하면 수온이 상승하고 기온이 하강하면 수온도 하강하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인다. 서해 외해의 표층수온은 잠열속과 현열속에 의한 해양에서의 방출열량과 역의 상관관계를 보인다. 동계 서해 연안지역 기온과 연안역 표층염분과의 관계는 기온이 상승하면 연안역의 염분이 증가하고, 수온이 하강하면 염분이 낮아지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인다. 또한 서해의 하계($6{\sim}9$월) 강수량은 10월과 12월보다 다음해 동계 2월의 염분분포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