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계 서해의 해황과 기상인자와의 관계

A Relationship between Oceanic Conditions and Meteorological Factors in the Western Sea of Korea in Winter

  • 고우진 (국립수산과학원 해양연구팀) ;
  • 김상우 (국립수산과학원 해양연구팀) ;
  • 김동선 (부경대학교 해양산업개발연구소)
  • Go Woo-Jin (Ocean Research Team,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Kim Sang-Woo (Ocean Research Team,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Kim Dong-Sun (Research Center for Ocean Industrial and Development(RCOID),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6.03.01

초록

동계 서해에서 해황과 기상인자와의 상호 관련성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수온의 수평분포는 수심이 얕은 연악역이 외해역보다 저수온으로 12월과 2월사이에 외해역에서 $3^{\circ}C$, 연안역에서는 $6^{\circ}C$ 정도의 큰 수온 하강을 보였다. 염분의 분포는 북쪽해역이 연안역과 남쪽해역보다 저농도를 보였다. 또한, 하계에 남북방향으로 형성되었던 등염선이 동계에는 북서에서 남동 방향으로 형성한다. 한국 서해연안의 기온과 연안의 표층수온 사이에는 기온이 상승하면 수온이 상승하고 기온이 하강하면 수온도 하강하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인다. 서해 외해의 표층수온은 잠열속과 현열속에 의한 해양에서의 방출열량과 역의 상관관계를 보인다. 동계 서해 연안지역 기온과 연안역 표층염분과의 관계는 기온이 상승하면 연안역의 염분이 증가하고, 수온이 하강하면 염분이 낮아지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인다. 또한 서해의 하계($6{\sim}9$월) 강수량은 10월과 12월보다 다음해 동계 2월의 염분분포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meterological factors on oceanic conditions when cold and dry continental air mass passes through the western sea of Korea The change of ocean conditions during the winter season were more obvious in coastal area than open sea And sea surface temperature (SST) during February is lower by $3^{\circ}C$ than December but in coastal area SST dropped by $3^{\circ}C$. As for the salinity,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between areas except southern area of Mokpo. In the coastal regions, air temperature(AT) and SS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s the air temperature goes up with the increase of SST and when the former goes down the latter decrease. SST of open sea seems to be changed by latent (Qe) and sensible heat (Qs), when the open sea lose its heat by Qe and Qs then SST goes down And when they get the heat then the SST goes up. 1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T of the coastal region and sea surface salinity (SSS), when the AT goes up then SSS increase and when the former goes down the latter decrease. Precipitation during the summer seasons (June$\sim$September) appeared to the more closely related with salinity of February of the following year than those of October and Decembe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