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ncer cell lines MCF-7

검색결과 285건 처리시간 0.028초

유방암 세포와 간암세포에 있어서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전사조절기능에 대한 Xenobiotic 핵 수용체 (Constitutive Androstane Receptor, Steroid and Xenobiotic Receptor, Peroxisome-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의 영향 비교분석 (Comparison and Analysis between Human Breast Cancer Cells and Hepatoma Cells for the Effects of Xenobiotic Nuclear Receptors (Constitutive Androstane Receptor, Steroid and Xenobiotic Receptor, and Peroxisome-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 on the Transcriptional Activity of Estrogen Receptor)

  • 민계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14-323
    • /
    • 2003
  • 지금까지 estrogen 호르몬이 유방암의 발생과 진전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뒷받침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증거가 제시되어 왔지만, 암화에 관여하고 있는 estrogen의 분자생물학적 작용기전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유방암 세포의 발암현상은 다양한 핵 수용체들과 이들 각각의 신호전달경로들 사이의 기능적 상호교류 (Functional Cross-talk)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그러므로, 유방암세포의 성장과 증식에 관여하는 신호전달경로중에서 estrogen의 작용을 조절할 수 있는 핵 수용체를 밝혀내고, 이러한 수용체와 estrogen receptor사이에 어떠한 기능적 상호교류가 일어나는지를 규명하는 것은 암화와 관련된 estrogen의 분자생물학적 작용기전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진전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암세포 내에서 estrogen의 작용이 xenobiotic nuclear receptor에 의해 조절되는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두 종류의 유방암세포인 estrogen receptor가 발현되는 MCF-7 세포와 ER의 발현이 일어나지 않는 MDA-MB-231세포를 배양하여, 에스트로겐에 의해 전사가 촉진되는 보고유전자의 발현이 CAR, SXR, 그리고 PPAR${\gamma}$에 의해서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간암세포에서의 반응과 비교 분석하였다. 최근에 보고된 연구결과와 일치하게, xenobiotic nuclear receptor가 간세포에서 일어나는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신호전달경로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PPAR${\gamma}$를 제외한 핵 수용체 CAR와 SXR은 ER의 전사활성 효과를 현저하게 또는 어느 정도 각각 감소시켰다. Hep G2세포에서와는 달리 유방암세포에서는 조사된 세가지의 xenobiotic 핵 수용체가 ER의 전사활성에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유방암세포의 종류와 각각의 수용체에 따라서 다소 촉진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MCF-7 세포에서는 CAR와 PPAR${\gamma}$을 제외한 SXR이 ER의 transactivation 효과를 약간 촉진한 반면 MDA-MB-231세포는 SXR을 제외한 CAR와 PPAR${\gamma}$에 의해 ER의 transactivation 효과가 약간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유방암세포에서는 CAR, SXR, PPAR${\gamma}$과 같은 xenobiotic nuclear receptor에 의한 ER transactivation 효과가 간암세포와는 다르게 나타나며, 유방암의 종류에 따라서 endogenous CAR, SXR, PPAR${\gamma}$수용체가 다르게 발현됨으로써 이들에 대한 반응이 서로 상이한 특징을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estrogen receptor에 의해 매개되는 estrogn의 전사활성조절기전이 표적세포에 따라 다른 경로를 포함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수종의 암세포에서 Verapamil이 Tc-99m MIBI와 Tetrofosmin의 섭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erapamil on Cellular Uptake of Tc-99m MIBI and Tetrofosmin on Several Cancer Cells)

  • 김대현;유정아;서명랑;배진호;정신영;안병철;이규보;이재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85-98
    • /
    • 2004
  • 목적: 다약제내성(MDR) 극복제 verapamil은 MDR이 발현된 암세포에서 Tc-99m MIBI(MIBI)와 tetrofosmin(TF)의 섭취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세포의 종류에 따라서는 MIBI와 TF의 섭취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본 연구는 암세포의 종류에 따라 verpamile이 MIBI와 TF의 섭취에 미치는 영향이 세포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러한 차이가 세포독성이나 PKC효소의 발현에 따른 차이인가를 알아보았다. 방법: 백혈병세포 K562세포와 유방암세포 MCF7, 난소암세포 SK-OV-3 세포 및 MDR이 유발된 K562(Adr)세포를 배양하였다. 시험관에서 $1{\times}10^6\;cells/ml$ 농도의 single-cell suspension 상태로 분주하고 verapamil을 1, 10, 50, 100, $200{\mu}M$의 농도로 처리한 후 MIBI와 TF를 배양한 후, $37^{\circ}C$에서 1, 15, 30, 45, 60분 동안 반응시킨 후 pellet과 supernatant의 방사능 치를 감마계수기로 측정하여 투여한 방사능 치에 대한 세포내 섭취백분율로 표시하였다. Verapamil의 세포독성은 MTT assay로 측정하였고, 세포내의 PKC isotypes의 변화는 western blotting analysis로 평가하였다. 결과: 4종류의 세포 모두에서 MIBI와 TF의 섭취는 1, 15, 30, 45, 60분 배양 시간에 따라 증가하였다. verapamil을 처리시 다약제 내성이 유발된 K562(Adr)세포에서 $100{\mu}M$의 농도까지는 MIBI와 TF 섭취가 증가하였고, 최대 $10{\mu}M$에서 10배 증가하였다. 그러나 K562세포를 verapamil $1{\mu}M$로 처리하였을 때는 기저치와 유사하였으나, verapamil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MIBI와 TF의 세포섭취는 모두 감소하였다. K562세포의 60분 MIBI 섭취율은 79%($10{\mu}M$), 47%($50{\mu}M$), 29%($100{\mu}M$), 1.5%($200{\mu}M$)로 verapamil의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TF 섭취율도 84% ($10{\mu}M$), 60%($50{\mu}M$), 42%($100{\mu}M$), 2.7%($200{\mu}M$)로 감소하였다. MCF7, SK-OV-3세포에서는 verapamil $10{\mu}M$까지는 MIBI와 TF의 섭취가 기저치와 유사하거나 소량 증가하였으나 $50{\mu}M$이상의 용량에서는 감소하여 $100{\mu}M$에서는 각각 40%와 5%만 섭취되었다. MTT assay상 K562(Adr)세포에서는 verapamil $100{\mu}M$ 이상에서는 유의하게 낮았으나 다른 세포는 $200{\mu}M$까지에도 차이가 없었다. PKC 아형의 분석상 PKC $\varepsilon$이 K562(Adr)세포에서 많이 발현되었으나, K562와 K562(Adr)세포에서는 verapamil처리에 따른 PKC 아형의 변화는 없었다. 결론: Verapamil은 암세포의 종류에 따라 MIBI와 TF의 섭취를 감소시켰고, 고용량에는 MDR세포의 섭취도 감소시켰으며 이러한 현상은 세포독성 이나 PKC효소 아형과는 관련이 없었다. 그러므로 MDR의 진단시 verapamil을 처치에 따른 MIBI와 TF의 섭취 정도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에는, verapamil의 농도와 세포의 종류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생각하여야 한다.

Methanolic Extract Isolated from Root of Lycoris aurea Inhibits Cancer Cell Growth and Endothelial Cell Tube Formation In Vitro

  • Kang, Moo-Rim;Lee, Chang-Woo;Yun, Ji-Eun;Oh, Soo-Jin;Park, Song-Kyu;Lee, Ki-Ho;Kim, Hwan-Mook;Han, Sang-Bae;Kim, Hyoung-Chin;Kang, Jong-Soon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8권1호
    • /
    • pp.33-38
    • /
    • 2012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methanolic extract isolated from the root of Lycoris aurea (LA) on the growth of cancer cells and the tube formation activity of endothelial cells. Various cancer cells were treated with LA at doses of 0.3, 1, 3, 10 or 30 ${\mu}g/ml$ and LA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growth of several cancer cell lines, including ACHN, HCT-15, K-562, MCF-7, PC-3 and SK-OV-3, in a dose-dependent manner. We also found that LA induced cell cycle arrest at G2/M phase in ACHN renal cell adenocarcinoma cells. Further study demonstrated that LA concentration-dependently inhibited the tube formation, which is a widely used in vitro model of reorganization stage of angiogenesis,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Collectively, these results show that LA inhibits the growth of cancer cells and tube formation of endothelial cells and the growth-inhibitory effect of LA might be mediated, at least in part, by blocking cell cycle progression.

Cytotoxic Triterpenoids from the Fruiting Bodies of Ganoderma lucidum

  • Tung, Nguyen The;Trang, Tran Thi Thu;Cuong, To Dao;Thu, Nguyen Van;Woo, Mi Hee;Min, Byung Su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0권1호
    • /
    • pp.7-12
    • /
    • 2014
  • Twelve triterpenoids (1 - 12) were isolated from $CHCl_3$-soluble fraction of fruiting bodies of Ganoderma lucidum. Extensive spectroscopic and chemical studies established the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as butyl lucidenate P (1), butyl lucidenate $E_2$ (2), butyl lucidenate $D_2$ (3), butyl lucidenate Q (4), ganoderiol F (5), methyl ganoderate H (6), methyl ganoderate J (7), lucidumol B (8), ganodermanondiol (9), methyl lucidenate N (10), methyl lucidenate A (11) and butyl lucidenate N (12). All of the compounds were examined for their cytotoxic activity against HL-60, HeLa, and MCF-7 cancer cell lines. Among them, compounds 4 and 8 showed cytotoxic activity with $IC_{50}$ values of 6.6 and 1.6 ${\mu}M$ against HL-60, respectively. In addition, compound 8 also showed cytotoxic activity with $IC_{50}$ values of 2.0 ${\mu}M$ against HeLa cancer cell line, other compounds were moderate or inactive.

Compounds from the Aerial Part of Saururus chinensis and Their Cytotoxic Activity

  • Min, Byung Sun;Tran, Thi Thu Trang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8권4호
    • /
    • pp.227-232
    • /
    • 2012
  • Ten known compounds, 7-hydroxysauchinone (1), sauchinone (2), di-O-methyltetrahydrofuriguaiacin B (3), henricine (4), saucerneol K (5), meso-dihydroguaiaretic acid (6), (-)-guaiacin (7), (3R,4S)-4-(4-hydroxy-3-methoxyphenyl)-4-methoxy-3-methylbutan-2-one (8), (E)-7-(4-hydroxy-3-methoxyphenyl)-7-methylbut-8-en-9-one (9), and licarin A (10), were isolated from aerial part of Sarurus chinensis. The chemical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were determined on the basis of spectroscopic analyses including 2D NMR. Compounds 1 - 10 were evaluated for their cytotoxic activity against the HL-60, MCF-7, and A549 cancer cell lines in in vitro.

산겨릅나무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과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nd Cytotoxic Effects of Acer tegmentosum Maxim. Extracts)

  • 신인철;사재훈;심태흠;이진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4호
    • /
    • pp.322-327
    • /
    • 2006
  • 우리나라 중부 이북 해발 500m 이상의 고산지대에서 주로 자생하는 산겨릅나무(Acer tegmentosum Maxim.)를 대상으로 식품학적인 성분 분석과 산겨릅나무 줄기의 EtOH추출물의 분획물을 제조하여 DPPH 유리기 대한 소거 기능, 그리고 사람 유래의 암세포들(위암세포(AGS), 간암세포(HepG2), 폐암세포(A549)와 유방암세포(MCF-7))에 대한 항암 효과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산겨릅나무 줄기 의 식품성분 함량은 탄수화물이 58.4%, 수분 27.5%, 조단백질 8.7%, 조지방 3.8%, 조회분 1.6%의 순으로 나타났고 무기질의 주요 무기성분은 K과 Ca이 302.4mg%와 116.0mg%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고 Mg, Na, Mn, Fe, Zn, P, Cu의 함량이 각각 57.8, 24.8, 9.5, 4.4, 1.6, 0.8, 0.2 mg% 순으로 나타났다. 2)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효능을 보기위하여 산겨릅나무 줄기의 수피부 및 줄기를 80% EtOH로 추출하고, 그 추출물들을 다시 n-hexane, chloroform, EtOAc, n-BuOH 및 aqueous층으로 분리하였다. 분획물들을 대상으로 DPPH 유리기의 소거능을 검증한 결과 전반적으로 줄기 보다는 수피부에서 높은 소거 효과를 나타냈으며 용매별로는 EtOAc>n-BuOH>aqueous>chloroform>n-hexane 순으로 활성을 보였다. 특히, EtOAc fr.($SC_{50}:2.8{\mu}g/ml$과 n-BuOH fr.($SC_{50}:3.2{\mu}g/ml$은 천연항산화제로 쓰이는 ascorbic acid($SC_{50}:4.5{\mu}g/ml$$\alpha$-tocopherol($SC_{50}:4.0{\mu}g/ml$ 및 합성 항산화제인 BHT($SC_{50}:6.5{\mu}g/ml$보다도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3) 유리기의 소거 기능과 분획물들의 성분과의 상호 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각 분획물들의 흡광도를 조사한 결과, 페놀성계 화합물계의 특성을 보이는 280nm부근에서 강한 흡광도를 나타내어 DPPH에 의한 높은 항산화 효능이 페놀성계 성분과 관계가 깊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4) 산겨릅나무 줄기의 80% EtOH 추출물의 암 세포주들에 대한 성장 저해와 정상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체기원 세포주인 간암세포(HepG2), 위암세포(AGS),폐암세포(A549), 유방암세포(MCF-7)와 정상 간세포(Chang)를 대상으로 추출농도 0.125, 0.25, 0.5, 1(mg/ml) 등 4단계로 나누어 실험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위암세포의 경우 0.125mg/ml의 저농도에서 50% 이상, 0.5mg/ml에서는 90% 이상의 암세포 생육 억제효과를 보여주었다. 간암세포를 포함한 나머지 폐암세포와 유방암세포의 경우 모두 0.5mg/ml에서 50%이상의 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암세포주에 대한 미더덕 추출물의 세포독성 효과 (Cytotoxic Effect of Extracts from Styela clava against Human Cancer Cell Lines)

  • 정은실;김주영;박은주;박해룡;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7호
    • /
    • pp.823-827
    • /
    • 2006
  • 신선한 미더덕을 동결건조하여 분말로 만들어 water, MeOH, EtOH 및 acetone의 용매로 추출하여 항암활성을 조사하였다. 대장암 세포주 HT-29에 대한 미더덕 추출물의 암세포증식 억제효과는 ethanol 추출물이 $500\;{\mu}g/mL$ 농도에서 45.0%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대조구와 다른 추출물에 비교하여 크게 세포의 응축과 세포수의 감소를 형태학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용매별 추출물 중 가장 강력한 항암활성을 가지는 ethanol 추출물을 이용하여 정제수율을 높여 암세포 성장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n-hexane, diethyl ether, ethyl acetate 및 water 순으로 극성을 높여 분획한 결과 diethyl ether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항암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diethyl ether 분획물을 인간대장암 유래의 세포주 SW620, 자궁경부암 세포 HeLa 및 유방암 세포 MCF-7에 처리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항암활성이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농도 $500\;{\mu}g/mL$ 처리 시 모두 10%이하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지금까지는 한약재를 비롯한 농산물 유래의 추출물이 항암효과를 보이는 연구가 보고된바 있으나 해양생물 유래의 추출물에서 항암효과를 보이는 결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보고된 바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결과는 생리활성 물질을 탐색함에 있어서 해양생물이 중요한 천연자원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릇에서 분리한 nortriterpenoid glycoside의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및 함량 분석 (Cytotoxicity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Nortriterpenoid glycoside from Scilla scilloides)

  • 이상명;전효곤;이충환;이호재;강진정;맹학영;고영희
    • 생약학회지
    • /
    • 제32권3호통권126호
    • /
    • pp.189-192
    • /
    • 2001
  • Scillascilloside E-3 (1) and E-1 (2) were isolated from the bulbs of Scilla scilloides. The cytotoxic activities of these compounds were tested against murine (B16/F-10, 3LL) and human cancer cell lines (MCF7, PC-3, HT29, LOX-IMVI, A549 and HT1080). These compounds exhibited a significant cytotoxic activities against all tested cancer cells. Futhermore, the contents of 1 and 2 in S. scilloides are 43.2 and 27.9 mg/kg, respectively.

  • PDF

Cytotoxcity Effects of Triphlorethol-A on Various Cancer Cells

  • Kang Kyoung-Ah;Zhang Rui;Piao Mei Jing;Lee Nam-Ho;Park So-Yoon;Hyun Jin-Won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13-115
    • /
    • 2006
  • Ecklonia cava is a brown alga(Laminariaceae) that is abundant in the subtidal regions of Jeju island in Korea. Phlorotannins were identified to be responsible for the biological activities in Ecklonia species. In the present study, triphlorethol-A, a phlorotannin, was isolated from Ecklonia cava and its anticancer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Triphlorethol-A was investigated whether it may show cytotoxicity effects against U937, HeLa, NCI-H460 and MCF-7 cancer cells by MTT test. As a result, triphlorethol-A did not show cytotoxic effects against tested four cell lines.

  • PDF

Modulation of Cytochrome P450 1B1 Expression by A Stilbene Analog and its Effect on the Sensitivity to Anticancer Agents in Human Cancer Cells.

  • Lee, Sang-Kwang;Park, Sung-Sik;Kim, Mie-Young;Chun, Young-Ji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1
    • /
    • pp.209.1-209.1
    • /
    • 2003
  • We have previously shown that 2, 3', 4, 5' -tetramethoxystilbene(TMS) from synthetic trans-stilbene analogues, is one of the most potently selective inhibitor of recombinant human cytochrome P450 1B1 in vitro. In the present studies. the effects of TMS on the expression of cytochrome P450 1B1 were investigated in human cancer cell lines such as MCF-7 and HL -60. TCDD-stimulated P450 1B1 protein and mRNA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suppressed by TMS in a dose-dependent manner. (omit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