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ne calcium

검색결과 946건 처리시간 0.036초

이물 주입에 의한 수배부의 이영양성 석회화 (Dystrophic Calcification after a Local Injection of a Foreign Body into the Dorsum of the Hand)

  • 황재하;김정민;유성인;노복균;김의식;김광석;이삼용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4권1호
    • /
    • pp.111-114
    • /
    • 2007
  • Purpose: Dystrophic calcification occurs in damaged or devitalized tissues in the presence of a normal calcium and phosphorus metabolism. There are many reports on dystrophic calcification caused by injections of various types of drugs. The aim of this report is to highlight the fact that dystrophic calcification can be caused by the injection of a foreign body for aesthetic augmentation. Methods: This case report describes a patient presenting with dystrophic calcification caused by an injection of an unknown foreign body approximately 50 years ago. An 80-year-old man had localized cellulitis with swelling and ulceration on the dorsum of the left hand. The radiographs demonstrated a $5{\times}3.5{\times}1.7cm$ les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etacarpal bones and a $5{\times}2.5{\times}1.5cm$ lesion in the hypothenar region. The laboratory data and physical examinations were generally within the normal limits. The microscopic examination revealed dead bone fragments and dense collagenous tissue with dystrophic calcification. Results: After surgically removing the masses, the resulting defects were treated with an abdominal flap. The result was satisfactory in terms of symptoms and appearance. Conclusion: This case suggests that dystrophic calcification can be caused by an injection of a foreign body for aesthetic augmentation.

Hydrothermal Synthesis of $TiO_2$ Nanowire Array for Osteoblast Adhesion

  • Yun, Young-Sik;Kang, Eun-Hye;Hong, Min-Eui;Yun, In-Sik;Kim, Yong-Oock;Yeo, Jong-Souk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5회 하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275-275
    • /
    • 2013
  • Osteoblast is one of cells related with osseointegration and many research have conducted the adhesion of osteoblast onto the surface of implant. In the osseointegration, biocompatibility of the implant and cell adhesion to the surface are important factors. The researches related to cell adhesion have a direction from micro-scaled surface roughness to nano-scaled surface roughness with advancing nanotechnology. A cell reacts and sense to stimuli from extracellular matrix (ECM) and topography of the ECM [1]. Thus, for better osseointegration, we should provide an environment similar to ECM. In this study, we synthesize TiO2 nanowires using hydrothermal reaction because TiO2 provides inertness to titanium on its surface and enables it used as an implant material for the orthopedic treatment such as fixation of the bone fracture [2]. Ti substrate is immersed into NaOH aqueous solution. The solution are heated at $140{\sim}200^{\circ}C$ for various time (10~720 minutes). After heat treatment, we take out the sample and immerse it into HCl aqueous solution for 1 hour. The acid treated sample is heated again at $500^{\circ}C$ for 3 hours [3]. Then, we culture osteoblast on the TiO2 nanowires. For investigating cell adhesion onto nanostructured surface, we conduct several tests such as MTT assay, ALP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ssay, measuring calcium expression, and so on. These preliminary results of the cell culture on the nanowires are foundation for investigating cell-material interaction especially with nanostructure interaction.

  • PDF

급성세기관지염과 혈청 비타민 D와의 상관관계 (Relationship between serum vitamin D levels and clinical features of acute bronchiolitis)

  • 정영권;우병우;이동원
    •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 /
    • 제6권6호
    • /
    • pp.284-289
    • /
    • 2018
  • Purpose: Vitamin D plays an important role in calcium homeostasis and bone metabolism. It is associated with various diseases such as cardiovascular, immune, allergic and infectious disea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clinical manifestation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vitamin D in mild bronchiolitis.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review of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mild bronchiolitis from November 2016 to April 2017 in Daegu Fatima Hospital. Mild bronchiolitis was classified by the modified Tal's score method.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according to a 25-hydroxyvitamin D level of 20 ng/mL. We analyz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laboratory data from the 2 groups. Results: Of the 64 patients, 19 were included in the deficiency group and 45 in the normal group. Vitamin D levels were $11.7{\pm}4.9ng/mL$ in the deficiency group and $28.8{\pm}5.0ng/mL$ in the normal group.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clinical features between both groups. However, the vitamin D deficiency group had significantly longer hospitalization than the normal group ($6.78{\pm}2.74$ days vs. $5.3{\pm}1.7$ days, P=0.045). In the deficiency group, the incidence of previous respiratory diseases was significantly higher (P=0.001).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lood and respiratory virus tests was observed. Conclusion: Low vitamin D levels in mild bronchiolitis were associated with longer hospitalization and prior respiratory disease. Vitamin D may affect the course of mild bronchiolitis.

Clinical and radiographic features of facial cosmetic materials: A systematic review

  • Alsufyani, Noura;Aldosary, Reem;Alrasheed, Rasha;Alsufyani, Mohammed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52권2호
    • /
    • pp.155-164
    • /
    • 2022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screen the literature for studies reporting cosmetic material in the oral and maxillofacial complex to shed light on the types of cosmetic materials, their radiographic appearance, and possible complications. Materials and Methods: Five electronic databases were reviewed for eligible studies. The general search terms were "cosmetic," "filler," "face," and "radiograph." Demographics, material types, clinical and radiographic presentation, and complications were recorded. Results: Thirty-one studies with 53 cas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The mean age was 52.6±15.4 years with a 4 : 3 female-to-male ratio. The most common material was calcium hydroxyapatite (CaHa) (n=14, 26.4%), found incidentally. The materials were generally located within the upper cheek and zygoma (n=35, 66.0%), radiographically well-defined (n=44, 83%), and had no effects on the surrounding structures (n=27, 50.9%). The internal structure was radiopaque (calcification, hyperdensity) for gold wires, CaHa, bone implants, and secondary calcification or ossification. Outdated cosmetic materials or non-conservative techniques were infiltrative, had effects on the surrounding structures, and presented with clinical signs, symptoms, or complications. Conclusion: Conventional radiography,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and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are useful to differentiate several cosmetic materials. Their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earance was highly variable. The infrequent inclusion of cosmetic materials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implies that medical and dental specialists may be unfamiliar with the radiographic appearance of these materials in the face.

성견 1면 골 결손부에서 Polylactic/polyglycolic acid copolymer (PLA/PGA) 흡수성 차단막의 치주 조직 재생에 대한 연구 (The effects of polylactic/polyglycolic copolymer (PLA/PGA) membrane on the healing of 1-wall intrabony defects in beagle dogs)

  • 김성구;황성준;김민경;김창성;이덕연;이용근;조규성;채중규;김종관;최성호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3권4호
    • /
    • pp.599-613
    • /
    • 2003
  • The goal of periodontal treatment is regeneration of the periodontium. Bone graft and absorbable PLA/PGA membrane have been used for this purpose. In this study, 4${\times}$4mm 1-wall intrabony defects were surgically created bilaterally in the mandible of five male beagles. The control group went through a conventional flap operation, while the experimental group I was treated with absorbable PLA/PGA membranes only, group II was treated with absorbable membrane and calcium phosphate.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 : 1. The defect height was 4.82${\pm}$0.45mm in the control group, 4.93${\pm}$0.79mm in the experimental I group, and 4.92${\pm}$0.62mm in the experimental II group.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3 groups(P <0.05). 2. The amount of junctional epithelium migration was 30.90${\pm}$9.92% of the defect height in the control group, 39.16${\pm}$7.51% in the experimental I group, and 38.68${\pm}$12.22% in the experimental II group.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3 groups(P <0.05). 3. The amount of connective tissue adhesion was 36.38${\pm}$9.03% in the control group, 14.73${\pm}$3.93% in experimental I group, and 27.87${\pm}$9.70% experimental II group. Experimental group I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ontrol group(P <0.05). 4. The amount of new cementum regeneration was 32.92${\pm}$10.51%, 50.04${\pm}$7.61%, and 39.62${\pm}$12.14% for the control, experimental I, and experimental II group respectively. Experimental group I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ontrol group(P<0.05). 5. The amount of new alveolar bone regeneration was 27.24${\pm}$7.49%, 40.75${\pm}$8.03%, and 36.47${\pm}$15.11% for the control, experimental I, and experimental II group respectively. Experimental group I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ontrol group(P <0.05).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use of PLA/PGA membrane in 1-wall intrabony defect of beagle dogs may promote periodontal regeneration.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determine their regeneration effects.

성견의 2급 치근 분지부 결손에서 자가골막 이식에 의한 치주조직 재생 (The Use of Autogenous Periosteal Grafts for the Periodontal Regeneration in Mandibular Class II Furcation Defects in the Dog)

  • 남승지;정현주;김영준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0권2호
    • /
    • pp.241-257
    • /
    • 2000
  • 자가골막은 골결손부에서 골형성을 자극할 수 있는 능력과 조직유도재생술의 이상적인 차폐막이 갖추어야 할 여러 조건들을 만족하고 있다. 치주조직의 재생 술식에 적용시 임상적으로 다른 차폐막을 사용한 정도의 치주낭 감소와 임상적인 부착증진을 얻었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이러한 임상적인 긍정적인 결과가 치주조직의 재생을 반드시 의미하는 것이 아니므로 조직학적 평가가 필요하다. 이에 본 실험은 성견의 하악 소구치에 2급 분지부 골결손을 형성하고 상악 견치의 협측 변연치은 정상 3 mm 하방에서 채취한 자가골막을 이식한 경우와 자가골막에 Calcium carbonate 이식을 병용하였을 때 치주조직의 재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잡종 성 견 6마리를 이용하였다. 실험군은 모두 3개 군으로 나누었다. 대조군은 골결손부의 외과적 처치 후 치주판막으로 봉합한 군, 실험 I군은 골결손부에 외과적 처치 후 자가골막만 이식한 군, 실험 II군은 골결손부에 자가골막과 Calcium carbonate 이식을 병용한 군으로 하였다. 희생은 각각 술후 2, 4, 12주에 시행하였고 광학 현미경적 관찰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임상적으로 잘 치유된 소견을 보였다. 광학현미경적으로 관찰시 2주째에 대조군은 상피의 근단이동이 심하였고 홈하방 부위에서만 골조직의 개조현상이 관찰되었으나 자가골막을 이식한 실험 I, II군에서는 상피의 하방이동은 미약하였고 홈상방으로 많은 골양조직이 관찰되었다. 조직계측학적으로 상피대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4주와 1 2주째에 큰 변화가 없었다. 치주조직의 신부착 양은 실험군 대조군 모두 1 2주에 4주보다 더 증가하였으며 실험 I, II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많은 경향을 보였으나 실험 I, II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이식된 자가골막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골막이 주위조직과 생착되어 4주이후에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이식된 자가골막에 의한 치주조직 재생은 비교적 양호하였으며 상피의 하방증식을 억제할 수 있어 흡수성 차폐막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폐암환자에서 인체 부갑상선 호르몬 관련 단백에 대한 연구 (Human Parathyroid Hormone-Related Peptide Measurement in the Lung Cancer Patients)

  • 장준;김세규;임승길;이홍렬;김성규;이원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6호
    • /
    • pp.855-861
    • /
    • 1995
  • 연구배경: 악성 종양 환자에서 PTHrp가 고칼슘혈증을 유발시킬 수 있음이 밝혀졌으며, 악성 종양 특히 편평상피세포 폐암에서 골 전이 없이 고칼슘혈증이 종종 관찰되므로 PTHrp가 암의 진행정도 및 예후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정상 칼슘혈증인 폐암환자에서도 혈중 PTHrp를 측정하는 예민한 검사법을 이용하면 편평상피 폐암의 조기진단, 치료반응의 추적, 재발의 발견등에 도움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방법: 조직학적으로 진단된 폐암 환자군 및 대조군의 혈중 PTHrp를 방사면역학 검사로 측정하여 폐암환자에서 각 세포형, 병기, 골 전이 유무에 따른 PTHrp의 혈중치와 혈청 칼슘 및 인, 24시간 요중 칼슘 및 인의 배설량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결과: 혈청 PTHrp(평균$\pm$S.E.)는 대조군(n=22) $158{\pm}38.2pg/ml$, 전체 폐암군(n=63) $312{\pm}68.9pg/ml$으로 폐암군에서 높은 경향이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각 세포형에 따라서는 편평상피세포암군(n=34) $356{\pm}103.9pg/ml$, 선암군(n=15) $281{\pm}148.7pg/ml$, 소세포암군(n=9) $316{\pm}140.8pg/ml$, 대세포암(n=1) 65.0pg/ml, 미분화 미분류 세포암군(n=4) $114{\pm}77.9pg/ml$로 편평상피세포암군에서 높은 경향이나 각 군 및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편평상피암의 병기에 따른 혈청 PTHrp(평균$\pm$S.E.)는 제 I병기(n=1) 143pg/ml, 제 II병기(n=3) $570{\pm}472.3pg/ml$, 제 IIIa 병기(n=9) $166{\pm}22.4pg/ml$, 제 IIIb 병기(n=12) $282{\pm}113.3pg/ml$, 제 IV 병기(n=9) $668{\pm}367.9pg/ml$로 제 II 병기와 제 IV 병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골 전이가 있는 편평상피암(n=8)의 경우 혈청 PTHrp $1526{\pm}811.2\;pg/ml$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나(p<0.0005), 골 전이가 없는 군은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고, 혈청 및 24 시간 뇨중 calcium, phosphorus의 차이도 관찰되지 않았다. 고칼슘혈증은 편평상피암 1예에서 관찰되었으며, 이 예에서 PTHrp는 244pg/ml로 높지 않았다. 대조군, 폐암군, 폐암의 세포형 및 폐암의 병기에 따른 군간에 혈청 calcium, phosphorus, 24시간 뇨중 calcium, phosphorus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혈중 PTH게는 대조군에서도 상당량 검출이 되며, 정상 칼슘혈증인 폐암환자에서 다수 검출되고, PTHrp가 높아도 고칼슘혈증이 동반되지 않는 등 PTHrp로 종양의 체액성 고칼슘혈증 기전을 모두 설명할 수는 없으며, 폐암 조기발견의 표지자, 병기 및 예후 예측 인자로는 PTHrp 1-34 측정이 부적합하다고 판단 되지만 골 전이가 있는 진행된 예에서 증가하는 경향이므로 병기와 예후 예측인자, 치료 반응 및 재발 등에서의 응용 가능성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검토할 가치가 있다. 앞으로 고캄슘혈증 환자에서 보다 많은 예를 시행하고 특이성이 높은 검사법을 개발하는 등의 추후 연구도 필요하다.

  • PDF

Prevotella nigrescens lipopolysaccharides로 자극된 MG63 세포에서 분비되는 기질금속단백질 MMP-1과 TIMP-1의 수준에 관한 연구 (MMP-1 and TIMP-1 production in MG-63 cells stimulated with Prevotella nigrescens Lipopolysaccharide)

  • 양원경;김미리;손원준;이인복;조병훈;엄정문;손호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9권5호
    • /
    • pp.470-478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Prevotella nigrescens lipopolysaccharides (LPS)로 자극된 MG63 osteosarcoma 세포에서 생성, 분비되는 기질금속단백효소인 MMP-1과 그 억제제인 TIMP-1을 측정할 뿐아니라 수산화칼슘으로 처리한 P. nigrescens LPS에 의한 기질금속단백효소와 그 억제제의 분비수준의 변화를 알아보는데 있다. 혐기성 조건에서 배양한 P. nigrescens로부터 LPS를 추출하여 순수정제한 다음 0, 1 그리고 $10{\;}\mu\textrm{g}/ml$의 LPS 농도로 MG63 세포를 자극하거나 또는 수산화칼슘으로 처리한 $10{\;}\mu\textrm{g}/ml$의 LPS로 세포를 다양한 자극하여 다양한 시간이 경과한 다음 세포로부터 분비되는 MMP-1과 TIMP-1의 RNA 수준을 real time-PCR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MMP-1의 mRNA수준은 48시간에서 최고에 달하였고 그 분비정도는 LPS의 농도에 비례하였다. TIMP-1 mRNA는 $1{\;}\mu\textrm{g}/ml$의 세균성 LPS 자극시 24시간 및 48시간에서 높은 증가를 보였으나 고농도인 $10{\;}\mu\textrm{g}/ml$의 LPS로 자극한 경우 오히려 그 발현이 억제되었다. 또한 수산화칼슘으로 전처리한 P. nigrescens LPS로 자극한 MG 63 세포에서는 MMP-1과 TIMP-1의 분비가 억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볼 때 P. nigrescens LPS에 의한 MMP-1과 TIMP-1의 발현조절이 치근단 질환에서 발생하는 치조골 흡수 기전중 하나로 사료된다. 뿐만 아니라 P. nigrescens에 의해 분비되는 기질금속단백효소를 매개로 하는 염증반응 감소에 수산화칼슘이 효과적으로 작용하는것으로 확인되어 치근단 질환에 관여하는 세균성 LPS를 제거하기 위해 임상적으로 사용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자혈양근탕 및 양혈장근건보환이 인체 소장 상피세포주 (Caco-2) 모델에서 칼슘 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Oriental Medicinal Prescriptions, Jahyulyangeuntang and Yanghyuljangeunkeonbohwan, on Calcium Absorption in the Human Colon Carcinoma Cell Line (Caco-2 Cells))

  • 박태선;임현정;황귀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4호
    • /
    • pp.446-453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자혈양근탕 (滋血養筋湯, JH) 및 양혈장 근건보환 (養血壯筋健步丸, YH) 처방제가 장내 칼슘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인체 소장상피세포주 모델인 Caco-2 세포를 이용하여 칼슘 uptake와 net transport를 각기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Caco-2 세포를 분주 후 4, 8, 16. 그리고 24일간 배양하면서 칼슘 uptake 활성을 측정 한 결과 분화가 진행될수록 uptake 활성이 증가하였다. 둘째. Caco-2 세포에 한약처방제를 50 $\mu\textrm{g}$/ml 농도로 일정시간 동안 전처리하여 칼슘 uptake 활성을 측정한 결과, YH 처방제는 24시간 전처리 시 (29.9% 증가), 그리고 JH처방제는 6시간 전처리 시 (23.9%증가) 한약처방으로 전처리하지 않은 대조세포에 비해 칼슘 uptake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셋째. 한약처방의 농도를 달리하면서 6시간 동안 전처리한 후 칼슘 Uptake활성을 측정한 결과, 대조세포에 비해 YH 또는 JH 처방제는 100 $\mu\textrm{g}$/ml (23% 증가) 및 50 $\mu\textrm{g}$/ml 농도 (28.3% 증가)에서 칼슘 uptake 활성을 각기 최대로 증가시켰다. 넷째, YH 또는 JH 처방제가 Caco-2 세포에 의한 칼슘 net transport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5, 50, 100 $\mu\textrm{g}$/ml농도의 한약처방제로 6시간동안 Caco-2세포에 전처리한 결과, 두가지 한약처방제 모두 칼슘 net transport에 유의적인 변화를 초래하지 않았다. 이상의 in vitro연구결과는 양혈 및 양근작용에 관여하는 자혈양근탕 및 양혈장근건보환 처방제가 소장상피세포를 통한 칼슘 uptake 활성은 증가시킨 한편 칼슘 net transport 활성에 변화를 초래하지 않았고. 결과적으로 장내 칼슘 흡수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제시하는 것이다

콜로이드 은과 희토류 원소의 첨가가 육계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Colloidal Silver and Rare Earth Elements on Growth Performance in Broilers)

  • 조종관;김진수;윤구;김영우;김광현;권일경;채병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8
    • /
    • 2010
  • 본 연구는 사료 중 콜로이드 은(colloidal silver) 또는 희토류 원소(rare earth elements, REE)의 첨가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도체성상, 골격 성분 함량 및 강도와 면역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이다. 1일령 Ross종 육계 병아리(체중 39~40 g) 3,872수를 공시하여 무첨가 대조구, 콜로이드 은 20 ppb 첨가구, 희토류 원소 500 ppm 첨가구와 콜로이드 은 20 ppb+희토류 원소 500 ppm 혼합 첨가구의 4처리구에 4반복으로 반복당 242수씩 완전 임의 배치 급여하여 5주간 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전체 시험 기간(5주)동안의 증체량에서는 희토류 원소를 함유한 두 처리구에서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1) 사료 섭취량과 사료 효율에서는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건물 소화율과 조단백질 소화율에서는 콜로이드 은 20 ppb+희토류 원소 500 ppm 혼합 첨가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p<0.05), 조지방과칼슘의소화율에서도콜로이드은20 ppb+희토류 원소 500 ppm 혼합 첨가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인의 소화율에서는 콜로이드 은 첨가구에서 다른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뼈의 강도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뼈의 건물 함량은 콜로이드 은 20 ppb+희토류 원소 500 ppm 혼합 첨가구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p<0.05), 인의 함량은 희토류 원소 단독 급여시에 높게 나타났다(p<0.05). 도체성상과 면역 반응 조사에서는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희토류 원소의 단독 첨가와 콜로이드 은과 희토류 원소의 혼합 첨가는 육계의 생산성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