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Use of Autogenous Periosteal Grafts for the Periodontal Regeneration in Mandibular Class II Furcation Defects in the Dog

성견의 2급 치근 분지부 결손에서 자가골막 이식에 의한 치주조직 재생

  • Nam, Seung-Ji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College of Dentistry Institute of Dental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Chung, Hyun-Ju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College of Dentistry Institute of Dental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Young-Jun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College of Dentistry Institute of Dental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남승지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 교실, 전남대학교 치의학 연구소) ;
  • 정현주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 교실, 전남대학교 치의학 연구소) ;
  • 김영준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 교실, 전남대학교 치의학 연구소)
  • Published : 2000.06.30

Abstract

Autogenous periosteal grafts are an attractive alternative to existing barrier membrane materials since they meet the reqiurements of an ideal material. But no histological data are available on the effectiveness of periosteal membranes in the treatment of periodontal def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effect of autogenous periosteal graft on periodontal regeneration histologically. Class II furcation defects were surgically created on the second, third and the fourth premolars bilaterally in the mandibules of six mongrel dogs. The experimental sit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treatment modalities; control group - surgical debridement only; Group I- autogenous periosteal membrane placement after surgical debridement; Group II-autogenous periosteal membrane placement after surgical debridement and bone grafting.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t 2, 4 and 12 weeks after periodontal surgery and the decalcified and undecalcified specimens were prepared for histological and histometrical analysis. Clinically all treated groups healed without significant problems. Under light microscope, at 2 weeks,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apical epithelial migration and bone remodelling only below the notch area. But for the group I, II with autogenous periosteal graft, less apical migration of epithelium appeared and large amount of osteoid tissue showed above the notch area. Grafted periosteal membrane was indiscernable at 4 weeks, so periosteal membrane might be organized to surrounding tissues. Histometrically, at 4 and 12 weeks, all the test and control groups didn't show significant change of epithelial zone but new attachment level tended to be gained in the test groups than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autogenous periosteal grafts should be a good alternative for guided tissue regeneration.

자가골막은 골결손부에서 골형성을 자극할 수 있는 능력과 조직유도재생술의 이상적인 차폐막이 갖추어야 할 여러 조건들을 만족하고 있다. 치주조직의 재생 술식에 적용시 임상적으로 다른 차폐막을 사용한 정도의 치주낭 감소와 임상적인 부착증진을 얻었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이러한 임상적인 긍정적인 결과가 치주조직의 재생을 반드시 의미하는 것이 아니므로 조직학적 평가가 필요하다. 이에 본 실험은 성견의 하악 소구치에 2급 분지부 골결손을 형성하고 상악 견치의 협측 변연치은 정상 3 mm 하방에서 채취한 자가골막을 이식한 경우와 자가골막에 Calcium carbonate 이식을 병용하였을 때 치주조직의 재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잡종 성 견 6마리를 이용하였다. 실험군은 모두 3개 군으로 나누었다. 대조군은 골결손부의 외과적 처치 후 치주판막으로 봉합한 군, 실험 I군은 골결손부에 외과적 처치 후 자가골막만 이식한 군, 실험 II군은 골결손부에 자가골막과 Calcium carbonate 이식을 병용한 군으로 하였다. 희생은 각각 술후 2, 4, 12주에 시행하였고 광학 현미경적 관찰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임상적으로 잘 치유된 소견을 보였다. 광학현미경적으로 관찰시 2주째에 대조군은 상피의 근단이동이 심하였고 홈하방 부위에서만 골조직의 개조현상이 관찰되었으나 자가골막을 이식한 실험 I, II군에서는 상피의 하방이동은 미약하였고 홈상방으로 많은 골양조직이 관찰되었다. 조직계측학적으로 상피대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4주와 1 2주째에 큰 변화가 없었다. 치주조직의 신부착 양은 실험군 대조군 모두 1 2주에 4주보다 더 증가하였으며 실험 I, II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많은 경향을 보였으나 실험 I, II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이식된 자가골막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골막이 주위조직과 생착되어 4주이후에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이식된 자가골막에 의한 치주조직 재생은 비교적 양호하였으며 상피의 하방증식을 억제할 수 있어 흡수성 차폐막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