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ck garlic extract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32초

병원성 세균에 대한 마늘추출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Garlic Extract against Pathogenic Bacteria)

  • 문원희;육근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0호
    • /
    • pp.477-484
    • /
    • 2014
  • 본 연구는 마늘추출물의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된 실험연구이다. 항균효과의 대조 항생제로서 Ampicillin $10{\mu}g$(BBL)을 사용하였다. 실험은 2013년 11월과 2014년 1월로 두 차례에 걸쳐 진행하였다. Kirby-Bauer의 disc diffusion method에 따라 감수성을 측정하였고 CLSI에서 제시한 판독기준에 따라 감수성 여부를 판독하였다. 연구결과, 생마늘은 추출법과 관계없이 Ampicillin $10{\mu}g$에 비해 항균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흑마늘은 제조법과 추출방법과 관계없이 4종의 균주에서 저항성을 발현하였다. CLSI의 감수성 판독기준에 따르면 S. aureus와 E. coli에 Ampicillin $10{\mu}g$은 강력한 항균효과를 발현한 반면, 모든 균주들이 흑마늘 추출물에는 저항성을 발현하였다. 다만, 15일의 자연숙성발효한 흑마늘의 에탄올 추출물은 S. aureus와 E. coli에서 성장저지환이 각각 8 mm와 7 mm로 나타나 항균효과의 가능성을 발견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하겠다. 향후 마늘의 천연식품보존제 개발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흑마늘의 다양한 추출법을 활용한 항균효과에 대한 반복 연구를 제언한다.

흑마늘 추출액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Added Black Garlic Extract)

  • 양승미;신정혜;강민정;김성현;성낙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03-510
    • /
    • 2010
  • 흑마늘 추출액을 총 재료 중량에 대해 0, 1, 3, 6, 9 및 12%(W/W)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의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반죽의 pH는 흑마늘 추출액 첨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낮아져, 흑마늘 추출액을 12% 첨가한 시료에서 $5.46{\pm}0.02$로 가장 낮았으며, 반죽의 밀도도 유사한 경향을 보여 12% 첨가시 $0.95{\pm}0.03\;g/mL$로 가장 낮았다. 반죽의 발효 팽창력은 흑마늘 추출액 첨가군에서 $143.08{\pm}0.61{\sim}143.63{\pm}0.25%$의 범위로 대조군과 유의차가 없었다. 소성 후 식빵의 pH는 $6.87{\pm}0.01{\sim}7.75{\pm}0.02$로 흑마늘 추출액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식빵의 비용적은 $2.33{\pm}0.27{\sim}2.74{\pm}0.51\;mL/g$의 범위로 대조구와 실험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식빵 겉껍질과 내부색 모두 명도값은 흑마늘 추출액을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적색도와 황색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텍스쳐를 측정한 결과 견고성은 흑마늘 추출액 1% 첨가구에서 가장 높은 $277.82{\pm}32.55$였으며, 씹힘성과 검성은 흑마늘 추출액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응집성은 흑마늘 추출액 12% 첨가구에서 가장 높아 $0.33{\pm}0.07$ 이였고, 복원성은 흑마늘 추출액 3% 이상 첨가시 $0.12{\pm}0.04{\sim}0.16{\pm}0.04$의 범위로 대조구 및 1% 첨가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관능검사 결과 색과 전체적인 기호도는 대조구와 실험구간에 유의차가 없었으나, 맛은 흑마늘 추출액 6%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흑마늘 추출액을 첨가하여 식빵을 제조할 경우 제빵 적성, 빵의 품질 개선 및 기호성과 기능성이 향상된 식빵을 제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effects of black garlic (Allium satvium) extracts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a high fat diet

  • Ha, Ae Wha;Ying, Tian;Kim, Woo Kyo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9권1호
    • /
    • pp.30-36
    • /
    • 2015
  • BACKGROUD/OBEJECTIVES: The mechanism of how black garlic effects lipid metabolism remains unsolved. Therefor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effects of black garlic on lipid profiles and the expression of related genes in rats fed a high fat diet. MATERIALS/METHODS: Thirty-two male Sqrague-Dawley rats aged 4 week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n=8) and fed the following diets for 5 weeks: normal food diet, (NF); a high-fat diet (HF); and a high-fat diet + 0.5% or 1.5% black garlic extract (HFBG0.5 or HFBG1.5). Body weights and blood biochemical parameters, including lipid profiles, and expressions of genes related to lipid metabolism were determined.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final weights between the HFBG1.5 and HF groups. All blood biochemical parameters measured in the HFBG1.5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values than those in the HF group. Significant improvements of the plasama lipid profiles as well as fecal excretions of total lipids and triglyceride (TG) were also observed in the HFBG1.5 group, when compared to the HF diet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mRNA of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1c (SREBP-1c), acetyl-CoA carboxylase (ACC), fatty acid synthase (FAS), and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G6PDH) in the HFBG1.5 group compared to the HF group. In addition, the hepatic expression of (HMG-CoA) reductase and Acyl-CoA cholesterol acyltransferase (ACAT) mRNA was also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HF group. CONCLUSIONS: Consumption of black garlic extract lowers SREBP-1C mRNA expression, which causes downregulation of lipid and cholestrol metahbolism. As a result, the blood levels of total lipids, TG, and cholesterol were decreased.

Anti-inflammatory effect of aged black garlic on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induced dermatitis in mice

  • You, Bo Ram;Yoo, Jae-Myung;Baek, Seong Yeon;Kim, Mee Ree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3권3호
    • /
    • pp.189-195
    • /
    • 2019
  • BACKGROUND/OBJECTIVES: Although aged black garlic has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allergy, anti-inflammation and neuroprotection, effect of aged black garlic on chemically contact dermatitis is unclarified. MATERIALS/METHODS: To evaluate anti-dermatitic activity of aged black garlic extract, we investigated effects of a fraction of aged black garlic extract (BG10) on both in vivo and in vitro. RESULTS: BG10 almost inhibited formation of nitric monoxide and interleukin-6 (IL-6; $IC_{50}$, $7.07{\mu}g/mL$) at $25{\mu}g/mL$, and dose-dependently reduced production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IC_{50}$, $52.07{\mu}g/mL$) and prostaglandin $E_2$ ($IC_{50}$, $38.46{\mu}g/mL$)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264.7 cells. In addition, BG10 significantly inhibited the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cyclooxygenase-2 and nuclear $NF-{\kappa}B$, and improved that of cytosolic levels of $NF-{\kappa}B$ and $I{\kappa}B{\alpha}$ in the cells. Consistent with in vitro studies, BG10 (0.5 mg/mL) not only reduced ear edema but also suppressed the formation of IL-6 and $TNF-{\alpha}$ induced by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in ear tissues of mice.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BG10 has anti-dermatitic activity through inhibiting activation of macrophages. Therefore, such effects of BG10 may provide information for the application of aged black garlic for prevention and therapy of contact dermatitis.

흑마늘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Black Garlic (Allium sativum L.))

  • 신정혜;최덕주;이수정;차지영;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8호
    • /
    • pp.965-971
    • /
    • 2008
  • 마늘의 매운 맛과 향을 감소시켜 섭취가 용이하도록 가열 숙성하여 제조된 흑마늘의 항산화 활성을 생마늘 및 찐마늘과 비교 평가함으로써 마늘의 전처리 방법에 따른 항산화 효능을 확인하고자 각각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생마늘, 찐마늘 및 흑마늘의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 총 페놀의 함량은 $0.81{\sim}0.99\;mg$/100 g의 범위였으나 시료간 및 추출 용매간에 유의적인 함량 차이는 없었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0.96{\pm}0.05{\sim}1.06{\pm}0.09\;mg$/100 g으로 더 높게 정량되었다. 전자공여능은 생마늘과 찐마늘 추출물의 경우 열수 추출물에 비하여 에탄올 추출물에서 활성이 더 높았고, 활성이 가장 높았던 흑마늘의 경우 열수 추출물 10 mg/mL 농도에서 $69.40{\pm}0.13%$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에탄올 추출물은 15 mg/mL 농도에서도 $50.55{\pm}1.40%$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흑마늘 추출물에서만 유의적으로 높은 환원력을 나타내었고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흑마늘>생마늘>찐마늘 순으로 환원력이 높았다.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은 물추출물에 비하여 에탄올 추출물에서 월등히 높아 5 m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60% 이상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Oil emulsion 상에서 TBA 생성량은 열수추출물의 경우 흑마늘 추출물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에탄올 추출물은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미미하였다. 찐마늘과 흑마늘 에탄올 추출물에서 TBA 생성량은 각각 $1.49{\pm}0.08{\sim}2.11{\pm}0.16\;MA\;mg/kg$$1.33{\pm}0.18{\sim}1.62{\pm}0.19\;MA\;mg/kg$으로 시료의 첨가농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능은 저장 1일의 $72.71{\pm}2.17{\sim}88.74{\pm}3.70%$에 비하여 저장 4일에는 $86.67{\pm}3.76{\sim}92.50{\pm}0.87%$로 항산화 활성이 오히려 더 증가하였다.

숙성 흑마늘 추출액 첨가가 빵용 밀가루 반죽의 레올로지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ged Black Garlic Extracts on the Rheology of Flour Dough)

  • 왕숙자;이정훈;최미정;이시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430-435
    • /
    • 2012
  • 제빵용 밀가루인 강력분에 흑마늘 추출액을 0, 5, 10, 15% 첨가하여 반죽의 레올로지 특성으로 Falling number, RVA에 의한 호화 특성, Farinograph, Alveograph 등을 분석하였다. Falling number는 흑마늘 추출액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대조구에 비하여 낮아졌으나 제빵적성의 범위에 있었다. 호화도 특성에서 흑마늘 추출액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호화개시 온도, 최고점도, 유지강도, 최종점도, break down, set back 등 모두가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다. Farinograph 측정에서 흑마늘 추출액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반죽의 강도와 흡수율은 증가하였고, 반죽형성시간은 감소하였으며 안정도와 약화도는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반죽의 내성(MTI)은 대조구에 비해 흑마늘 추출액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FQN은 대조구가 가장 높았다. Alveograph 측정에서 $P_{max}$는 대조구가 가장 높았고 L, G 값은 흑마늘 추출액 15% 첨가구가 가장 높았으며 W값은 15% 첨가구에서 가장 낮았다. 이상의 실험 결과 흑마늘 추출액 5%까지는 첨가가 가능하나 그 이상은 반죽의 레올로지 특성을 저하시켜 제빵 적성이 나빠질 것으로 생각된다.

The Effect of Pre-Treated Black Garlic Extracts on the Antioxidative Statu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Ginseng Chicken Soup (Samgyetang)

  • Barido, Farouq Heidar;Jang, Aera;Pak, Jae In;Kim, Yeong Jong;Lee, Sung K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1036-1048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ssible improvement in the antioxidative statu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ady-to-eat (RTE) Samgyetang after adding various black garlic (BG) extracts. The antioxidant activity, total phenolic content (TPC), total flavonoid content (TFC), meat quality indexes, and lipid oxidation rates were measured after receiving one of five different treatments consisting of conventional Samgyetang broth as a negative control, raw garlic (RG) extract as a positive control, BG, oven-dried BG, and maltodextrin-encapsulated BG extract as treatments. Employing retort cooking, fat trimmed carcasses were added to the initially prepared broth together with a phenolic extract that was set at 5% (w/w). A significant intensification of red and yellow color was observed in breast and thigh meat treated with BG extracts, regardless of pretreatment, compared to the negative control and RG. The moisture percentage was affected by the addition of BG extracts, where the encapsulation group retained the highest water content after retorting. In terms of antioxidative status, maltodextrin-encapsulated BG extract was as effective as an oven-dried extract to scavenge free radicals and showed the highest score among samples (p<0.01). The concentration of TFC was found to be the highest and did not differ between encapsulation and oven-dried groups, followed by BG, RG, and the negative control. However, the addition of encapsulated BG extract was the most effective in delaying the formation of malondialdehyde among the samples. Therefore, pre-treatment of BG extract through encapsulation is recommended to develop a higher antioxidative statu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mgyetang.

흑마늘 추출물 첨가 두부의 품질특성 (The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ofu with various levels of black garlic extract)

  • 심혜진;황초롱;강민정;김경민;신정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88-693
    • /
    • 2014
  • 영양성과 기능성이 개선된 두부의 제조 조건을 확립하고 자 시판 응고제($MgCl_2$)와 해양 암반 심층수를 각각 응고제로 사용하고 흑마늘 추출물을 0, 1, 3, 5, 7%씩 첨가하여 제조한 두부의 품질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전체적인 선호도는 해양 암반 심층수를 응고제로 사용하고 흑마늘 추출물이 첨가되지 않은 두부, 해양 암반 심층수를 응고제로 사용하고 흑마늘 추출물을 1% 첨가한 두부, 시판 응고제를 사용하고 흑마늘 추출물을 1% 첨가한 두부 순으로 높았으며 두부 제조 시 흑마늘 추출물의 첨가는 색, 향과 맛에 영향을 미쳤으며 흑마늘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두부의 질감이 단단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두부의 제조 수율은 시판 응고제를 사용하고 흑마늘 추출물을 7% 첨가한 두부에서 26.66%로 가장 높았으나 타 실험군들과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순물의 탁도는 시판 응고제를 사용한 두부에 비해 해양 암반 심층수를 응고제로 사용한 두부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흑마늘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았다. 두부의 pH는 5.61~6.15의 범위로 흑마늘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색도에서 흑마늘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두부의 명도는 낮아졌고 녹색도는 높아졌으며 황색도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흑마늘 추출물의 첨가량 증가는 두부의 물성 중 경도, 씹힘성, 검성을 증가시키는 반면 탄력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시판 응고제 보다는 해양 암반 심층수의 사용하고, 1% 정도의 흑마늘 추출물을 첨가함으로써 두부의 관능적 특성과 물성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황마늘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Yellow Garlic Extract)

  • 강재란;황초롱;심혜진;강민정;강상태;신정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7호
    • /
    • pp.983-99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새로이 개발한 마늘 가공품인 황마늘의 품질 특성과 물, 30, 50, 70 및 10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미백, 항당뇨 및 항염증 활성을 검증하였다. 황마늘은 생마늘에 비해 alliin 함량은 차이가 없었으나, S-allyl cysteine(SAC)의 함량이 월등히 높아 2.6 mg/g이었다. 용매별 추출물을 제조하였을 때 alliin과 SAC 함량은 추출용매 중의 에탄올 비율이 높아질수록 더 증가하였다.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함량도 동일한 경향으로 10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많이 함유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10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는데, 10 mg/mL로 농도를 동일하게 하여 추출물 간의 활성을 비교할 때 0~70%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시료 간의 유의차가 없었으나 100%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각각 93.45%와 91.46%로 가장 높았다. 미백 및 항당뇨 효과를 확인하고자 tyrosinase 저해 활성과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을 비교한 결과 추출용매에 따른 일정한 경향은 없었으며, 100%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각각 36.52%와 48.55%로 유의적으로 높았다. RAW 264.7 대식세포를 대상으로 항염증 효과를 확인한 결과 황마늘 추출물은 $100{\mu}g/mL$ 처리시 LPS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 인자인 NO 및 cytokine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하였다. 황마늘 추출물은 항산화, 미백, 항당뇨 및 항염증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물 추출물보다는 에탄올 추출물에서 더 활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흑마늘 못지않은 건강기능성 소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한 고등어 절임용 흑마늘 추출액 절임조건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Black Garlic Extract Curing Conditions for Mackerel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신정혜;강민정;김라정;윤환식;성낙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93-801
    • /
    • 2011
  • We examin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obtaining the optimal curing conditions for black garlic extract (BGE) added mackerel by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The condition of RSM was included in 13 experimental points using two dependent variables: concentration of BGE (2.6~12.5 brix, X1) and curing time of BGE (17.58~102.42 min, X2). An assessment was conducted with four replicates on three independent variables: volatile basic amine (VBN, Y1), thiobarbituric acid (TBA, Y2), and shear force (Y3). The minimum content of VBN was 1.625 mg% at 3.17 brix, for 80.5 min. This was obtained when the BGE concentration was lower and the curing time was longer. The content of the TBA was 3.13~12.24 MA mg/kg at experiment range and the stationary point was at saddle point. Therefore, by using ridge analysis, the minimum point of TBA was 2.414 MA mg/kg at 3.5 brix for 84.4 min. The truth coefficient of the BGE concentration and curing time were 2.9 brix and 75.1 min, respectively, with a shear force ($120.764cm/kg^2$) shown at maximum point. The optimum Hunter color range was estimated from the lowest TBA value. The optimum range of the L color was 39.16~40.26, a and b color were 4.40~4.88 and 12.35~13.20,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