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materials

검색결과 2,080건 처리시간 0.038초

Graphene의 물리적 분산과 화학적 표면 개질 연구 (A Study on Physical Dispersion and Chemical Modification of Graphene)

  • 임은채;김성준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3권6호
    • /
    • pp.792-797
    • /
    • 2015
  • 그래핀은 다양하고 뛰어난 물성으로 그 적용 분야가 넓다. 그러나 반델반스 상호 작용으로 유기용매 내에서 쉽게 분산되지 않고 뭉쳐 있거나 포개진 상태로 존재한다. 게다가 그래핀은 화학적으로 비활성이며 크기나 모양이 넓은 분포도를 가지므로 균일한 상태 유지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덩어리로 구성된 그래핀을 용매에 분산시키고 개질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분산방법으로서 i) 유리비드를 이용한 물리적 분쇄. ii) 유리비드와 초음파를 이용한 처리 iii)유기용매에서의 분산 iv)드라이아이스를 이용한 개질법이 포함된다. 2.5 mm 크기의 유리비드처리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36.4%의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유리비드(2.5 mm)와 초음파(225W, 10분) 병용 처리구가 76%로 입자 크기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래핀 입자 크기감소는 유리비드의 크기와 초음파 처리강도와 처리시간에 의존되었다. Ethyl acetate(EA)와 Isoprophyl alcohol(IPA)의 용매로 그래핀 표면을 개질시켰다. IPA용매에서 FT-IR 분석결과 CO 작용기가 높게 나타남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드라이아이스로 그래핀 표면을 개질시킨 결과 처리 전 산소함량이 0.80%에서 처리 후 4.90%로 산소 함량 크게 증가되었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IPA용매에 그래핀을 분산시킬 때 CO 작용기가 증가하여 장시간 분산상태 유지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온도감응성 수화젤을 이용한 골수간엽줄기세포의 골분화 유도 (Osteogenic Differentiation of Bone Marrow Stem Cells Using Thermo-Sensitive Hydrogels)

  • 김선경;현훈;김순희;윤선중;김문석;이종문;강길선;이해방
    • 폴리머
    • /
    • 제30권3호
    • /
    • pp.196-201
    • /
    • 2006
  • 온도감응성 고분자인 폴리 (에틸렌 글리콜)을 기본으로 하는 다이블록 및 트리블록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들은 비독성과 생체적합성 그리고 생분해성 특징 때문에 조직공학 분야 및 주사제형의 약물전달체에서 많은 응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이블록 공중합체를 이용한 솔-젤 전이 현상을 갖는 고분자를 평균분자량 750 g/mole의 메톡시 폴리 (에틸렌 글리콜)과 카프로락톤을 실온에서 HCl $Et_2O$ 존재 하에서 개환중합을 통하여 합성하였다. 이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in vivo상에서 골수간엽줄기세포와 골유도물질인 덱사메타손의 존재 여부에 따라 골분화의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조직을 파라핀으로 고정시켜 슬라이드를 제조한 후 hematoxylin & eosin, 본쿠사 및 오스테오칼신 염색을 통하여 골형성 정도를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덱사메타손이 함유된 젤이 골형성에 도움을 주지만 젤만으로는 강한 골형성을 유도할 수 없으므로 줄기세포나 다른 골형성 유도재료를 사용하면 우수하게 골형성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판단되었다.

치위생과 학생의 임상실습에 따른 만족도와 스트레스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tisfaction and Stress Factor of Clinical Practice fo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 박미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43-249
    • /
    • 2006
  • 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이 현장임상실습에 따른 만족도와 스트레스요인에 관한 것을 알아보고자 경기도와 인천지역에 위치한 3개 대학의 치위생과 3학년 183명을 대상으로 2006년 9월 12일부터 10월 19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SPSSWIN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위생과 학생의 전공만족도는 보통이상이 86.3%, 실습만족도는 보통이상이 75.9%, 향 후 직업만족도는 보통이상이 91.8%로 나타났다. 2. 스트레스요인으로는 이상가치영역이 $3.54{\pm}1.2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대인관계영역이 $1.74{\pm}1.20$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만족도를 살펴보면, 전공만족도는 학과선택 동기(p = 0.003), 향후 직업만족도는 학과선택 동기(p = 0.03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4. 만족도들 간의 상관관계는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실습만족도가 높아지고 향후 직업만족도까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요인으로는 역할영역,이상과 가치영역이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 PDF

Primary implant stability in a bone model simulating clinical situations for the posterior maxilla: an in vitro study

  • Han, Ho-Chyul;Lim, Hyun-Chang;Hong, Ji-Youn;Ahn, Su-Jin;Han, Ji-Young;Shin, Seung-Il;Chung, Jong-Hyuk;Herr, Yeek;Shin, Seung-Yun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6권4호
    • /
    • pp.254-265
    • /
    • 2016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anatomical conditions on primary stability in the models simulating posterior maxilla. Methods: Polyurethane blocks were designed to simulate monocortical (M) and bicortical (B) conditions. Each condition had four subgroups measuring 3 mm (M3, B3), 5 mm (M5, B5), 8 mm (M8, B8), and 12 mm (M12, B12) in residual bone height (RBH). After implant placement, the implant stability quotient (ISQ), Periotest value (PTV), insertion torque (IT), and reverse torque (RT) were measured. Two-factor ANOVA (two cortical conditions${\times}$four RBHs) and additional analyses for simple main effects were performed. Result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cortical condition and RBH was demonstrated for all methods measuring stability with two-factor ANOVA. In the analyses for simple main effects, ISQ and PTV were statistically higher in the bicortical groups than the corresponding monocortical groups, respectively. In the monocortical group, ISQ and PTV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ise with increasing RBH. Measurements of IT and RT showed a similar tendency, measuring highest in the M3 group, followed by the M8, the M5, and the M12 groups. In the bicortical group, all variables showed a similar tendency, with different degrees of rise and decline. The B8 group showed the highest values, followed by the B12, the B5, and the B3 groups. The highest coefficient was demonstrated between ISQ and PTV. Conclusions: Primary stability was enhanced by the presence of bicortex and increased RBH, which may be better demonstrated by ISQ and PTV than by IT and RT.

항산화 활성이 높은 구기엽 추출물 제조 (Development of Extracts of Lycii folium Having High Antioxidant Activity)

  • 김태수;박원종;고상범;강명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0호
    • /
    • pp.1318-1322
    • /
    • 2008
  • 본 연구는 구기엽(Lycium chinesis Miller Lycii folium)의 항산화 활성이 높은 최적추출 용매를 설정하고자 100% MeOH, 80% MeOH, 80% EtOH 및 water로 혼합 용매를 제조하여 구기엽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각 추출물의 총 페놀 화합물은 80% MeOH 1.420 mg/mL> 80% EtOH 1.382 mg/mL> 100% MeOH 1.085 mg/mL> water 1.084 mg/mL 순으로 나타났고, 전자공여능 및 SOD 유사활성에서도 80% MeOH 추출물에서 83.85%, 88.46%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water 추출물에서 54.65%, 67.47%로 가장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Hydroxyl radical 소거능에서는 80% MeOH 추출물에서 73.58%로 가장 높았고, 100% MeOH 추출물에서 66.65%로 가장 낮은 활성이었다. Hydrogen radical 소거능 또한 80% MeOH에서 35.40%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100% MeOH 추출물에서 11.70%로 가장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실험 결과 아직 초기 단계에 불과하지만 구기엽의 항산화 활성 검토에서 80% MeOH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여 구기엽 추출물의 기능성 소재로 개발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각막 간질 대체물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가 결합된 콜라젠 스폰지의 생체 적합성 평가 (The Evaluation of Biocompatigbility of Collagen/Chondroitin Sulfate Sponge as a Scaffold for Corneal Stromal Layer)

  • 장인근;안재일;서영권;김재찬;송계용;박정극
    • KSBB Journal
    • /
    • 제21권6호
    • /
    • pp.439-443
    • /
    • 2006
  • 조직공학에서 생체재료의 생체적합성과 조직재생능력은 생체재료가 생체에 적합한지를 판단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콜라젠은 인체조직을 이루는 주된 단백질이고, GAGs은 조직의 미세환경을 결정짓는 주요한 요소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1형 콜라젠 스폰지를 탈수 열처리 (A군)하고 EDC로 가교결합한 것 (B군)과 CS를 첨가하여 EDC로 가교결합한 군 (C군)의 스폰지 형태의 콜라젠 지지체을 제조하였다. 제작된 콜라젠 스폰지를 3 mm의 디스크 형태로 토끼 각막의 실질부위에 주머니형태로 이식하였다. 8주 동안 각막의 신생혈관 생성, 혼탁, 지지체의 투명도 정도를 확인하고, 2주, 4주, 8주 후에 적출하여 염증과 각막 섬유모세포의 이동을 확인하였다. 모든 군에서 염증, 신생혈관 생성, 혼탁은 일어나지 않았다. 그러나 CS가 첨가된 콜라젠 스폰지에 섬유모세포의 이동이 많았고, 이식물의 투명도가 증가하였다. 1형 콜라젠 스폰지는 각막 간질에의 생체적합성이 뛰어나 각막 간질로의 대체 가능성이 크고, CS가 첨가된 1형 콜라젠 스폰지는 조직공학적 생인공각막의 재구성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3,3'-Diindolylmethane(DIM)이 Human Mammary Epithelial Cell에서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에 의해 유도된 COX-2 발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induced COX-2 Expression by 3,3'-Diindolylmethane (DIM) on Human Mammary Epithelial Cells)

  • 박소영;심재훈;김종대;윤정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1701-1707
    • /
    • 2012
  • 3,3'-Diindolylmethane(DIM)은 십자화과 채소에 포함되어 있는 indole-3-carbinol(I3C)이 동물의 산성 위액에서 중합되어 생성된 물질이다. 지금까지 DIM은 유방암, 전립선암 그리고 대장암 세포주에서 항암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그 기작에 대한 연구도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정상세포에서 암화과정 중 암의 촉진과 진행과정의 주요한 항암 표적인 항염증에 대한 연구는 보고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방상피세포인 MCF-10A 세포에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TPA)로 염증반응을 유도한 후 DIM이 염증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MCF-10A 세포에서 TPA에 의해 유도된 COX-2 단백질 및 mRNA 발현이 DIM 처리에 의해 현저히 감소하였다. 또한 TPA에 의해 유도된 $I{\kappa}B-{\alpha}$의 분해, p65의 핵으로의 이동, $NF-{\kappa}B$ DNA binding activity 역시 DIM의 처리에 의해 감소하였다. 이는 DIM이 인간의 유방상피세포인 MCF-10A 세포에서 TPA에 의해 유도된 $NF-{\kappa}B$ 신호전달체계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COX-2의 발현을 억제하여 염증반응을 조절함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이러한 결과들은 DIM을 염증성 질환 예방제 또는 치료제로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교정용 미니스크류의 형상에 따른 식립 토오크의 비교 (Comparison of insertion torque regarding changes in shape, diameter, and length of orthodontic miniscrews)

  • 임선아;차정열;황충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89-97
    • /
    • 2007
  • 교정용 스크류의 적절한 식립 토오크는 스크류와 골과의 경계에 적절히 작용하여 실패를 최소화 할 수 있는데, 너무 낮은 식립 토오크는 안정성이 없으며 반면에 너무 강한 식립 토오크는 열, 기계적 손상으로 골 괴사를 야기할 수도 있다. 본 연구에는 임상적으로 스크류의 길이와 직경 및 형태 등을 달리하여 식립 토오크를 측정해서 스크류의 각 부분에 대한 세분화된 토오크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1.5 mm 두께의 인공피질골 블록에서 cylindrical type 스크류와 taper type 스크류 두 형태 모두에서 스크류 길이가 길수록 최대 식립 토오크 값도 함께 증가하였다. 특히 cylindrical type 스크류에서 길이에 따른 토오크 변화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p<0.05). 미니스크류의 연속적인 식립 토오크 분석 결과 cylindrical type 스크류는 연속적인 그래프 형태를 보이면서 불완전 나사부에서 식립 토오크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taper type 스크류는 나사선의 마지막 경사진 부분에서 식립 토오크가 크게 증가하였다. 외경이 커질수록 최대 식립 토오크 값은 증가하였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형태와 외경, 길이는 모두 토오크 값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데, 식립 토오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외경, 형태, 길이 순서였다. 본 연구 결과 스크류의 식립 토오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스크류의 외경이며 각각의 해부학적 구조물에 대한 피질골의 두께를 고려하여 적합한 스크류의 두께 및 나사산의 형태를 선택하는 것이 스크류의 초기 고정력을 얻는데 유리하다고 판단된다.

전부도재수복물을 위한 수종의 코어 세라믹의 반투명도 및 색 안정성 (Translucency and Color Stability of Various Core Ceramics for All-Ceramic Restoration)

  • 오상천;이해형;신미란;박광수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3권2호
    • /
    • pp.157-170
    • /
    • 2007
  • Purpose: This investigation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translucency and color stability of various core ceramics for all-ceramic restoration using the CIE $L^*a^*b^*$ system. Material and Methods: IPS e.max Press ceramic(Ivoclar-Vivadent, Liechtenstein), $LAVA^{TM}$ All Ceramic(3M-Espe, Germany), Cercon Smart Ceramic(Dentsply, Germany), and Z-match Ceramic(DentAim, Korea) were used for this study. For the specimens of zirconia oxide ceramics, the as-sintered cylindrical blanks($11.0{\times}25.0mm$) were machined into the shape of a disk(0.4, 0.8, 1.5 mm in thickness, 10 mm in diameters) with a diamond grind machine. The IPS e.max Press specimens ($0.8{\times}10mm$) were fabricated using the "lost wax" technique. CIE $L^*a^*b^*$ coordinates and light transmission were recorded for each specimen with a spectrophotometer(CM-2600d, Minolta, Japan). Color differences were calculated using the equation, ${\Delta}E^*ab=[({\Delta}L^*)2+({\Delta}a^*)2+({\Delta}b^*)2]1/2$. Results: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The most translucent group was IPS e.max Press ceramic that is a glass-ceramic, and $Lava^{TM}$ and Z-match ceramic were more translucent than Cercon Smart ceramic in zirconia ceramic group. 2. In the all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translucent change after 6 times heat-treatments required to make a final restoration. 3. Colored zirconia was showed more yellowish and dark than uncolored zirconia. 4. After heat-pressing, IPS e.max Press ceramic was showed high ${\Delta}E^*ab$ value(4.1 of eM1, 6.8 of eM2) that means to be more whiter than before heat-pressing. However, there was no color change after additive heat treatments for final restoration. 5. In the colored zirconia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color change after some heat-treatments required to make a final restoration.

황색 끈끈이트랩을 이용한 솔껍질깍지벌레(Homoptera: Margarodidae) 예찰 (Monitoring of Black Pine Bast Scale, Matsucoccus thunbergianae (Homoptera: Margarodidae) Using Yellow Sticky Trap)

  • 이창준;김동수;정영학;이상명;이석준;이동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143-149
    • /
    • 2018
  • 솔껍질깍지벌레(Matsucoccus thunbergianae)는 우리나라 곰솔(Pinus thunbergiane)림의 주요 해충중의 하나이다. 솔껍질깍지벌레는 단목(丹木)마다 밀도에 차이가 있고, 수관 내 가지별로도 밀도차이가 있어 예찰이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황색 끈끈이트랩을 이용하여 솔껍질깍지벌레의 분포나 발생을 예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곰솔림에서 끈끈이 트랩에 유인된 솔껍질깍지벌레 수컷 성충의 밀도와 가지 내 약충의 밀도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끈끈이트랩에 유인된 솔껍질깍지벌레 수컷성충의 밀도는 곰솔의 상층부가 하층부보다 높았으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곰솔 가지의 단위면적당 솔껍질깍지벌레 밀도는 흉고직경이 클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1~2.5 cm 사이의 굵기내에서는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곰솔 가지의 방향이 지면을 향하는 쪽이 반대 방향을 향하는 쪽에 비하여 솔껍질깍지벌레의 밀도가 높았다. 솔껍질깍지벌레의 예찰에 끈끈이 트랩의 사용을 제안하며, 가지에서의 밀도는 2~2.5 cm 굵기의 가지를 선택하여 지면쪽의 밀도 조사를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