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ginning teacher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28초

창의력 향상을 위한 로봇활용 교수 - 학습모형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Robot - based Teaching-Learning Model for Improving Creativity)

  • 전우천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99-105
    • /
    • 2015
  • 현재 로봇은 교육적 목적으로 학교에서 점차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로봇활용교육의 확산과 더불어, 로봇활용교육의 장점은 학생들에게 창의력과 논리적 사고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록 로봇이 학생들의 수업활동을 위해 매우 유용한 도구임에도 불구하고, 로봇활용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모형은 많지 않은 실정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로봇활용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교수-학습 모형은 구성주의 교육철학에 기반을 두어 고안되었고, 6단계(준비, 디자인, 조립, 시범작동, 평가 및 적용 및 확장)로 구성되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모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니고 있다. 첫째, 제안하는 모형은 학생들의 창의성과 논리적 사고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디자인되었다. 학생들은 자기주도활동을 해야 하며, 자신의 아이디어에 기초하여 결과물을 제작해야 한다. 교사들은 필요한 경우 학생들을 중재해야 한다. 둘째, 학생들은 본 모형을 통해서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에 참여할 수 있다. 본 모형에서 제공하는 상호작용은 학생-학생, 학생-교사 및 학생-전문가 상호작용을 제공한다. 본 모형은 협력학습을 통한 문제해결을 권장한다. 교사는 필요한 경우 학생들을 안내하고 학생들의 활동을 모두 주시해야 한다. 셋째, 제안 모형은 학생들에게 동기부여를 학습 활동초기에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모형에서는 학습 결과뿐만 아니라 학습 과정까지 투명하게 볼 수 있어 학생들의 수업단계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학습과정은 최종단계에서 검증할 수 있다.

일부 남자 고등학생의 흡연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Male High School Students' Smoking Patterns)

  • 이기영
    • 대한간호
    • /
    • 제36권5호
    • /
    • pp.91-100
    • /
    • 1998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smoking patterns in high school student and to give student smoker effective information. The sample of 250 male highschool students out of two different schools in Tae-Jon was questioned from July 10th to 15th. 1995. In analyzing these date. the statistics shows the realities by means of number of students. The results are summarized into 17 items as follows. Regarding the level of smoking. 140 students out of 250 admit that they have ever smoked. 52.1% of smoking students say that the motivation of beginning smoking is mainly curiosity. The survey shows that 22.9% of smoking students feel very good when smoking. It also shows that 30.0% of smoking students began smoking in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With regard to the volume of smoking per day. 41.4% of smoking students smoke variably. 42.1% drink when smoking. 15.0% spend more than W 70.000 a month. About the question who knows the fact of their smoking. 51.5% answer that their friends know the fact of their smoking. In regard to the resaltionship between smoking and school per-formance. 18.2% of non smoking students make poor grades as compared with 40% of smoking students. 9.3% of smoking students say that they are satisfied with the school life. but 35.7% of them are not satisfied. Regarding the attitude to smoking teachers. 35% of smoking students state that they are affected by them. 69.3% of smoking students say that they will stop smoking. while the remaining 30.7% say that they will keep smoking. The reason of 63.9% to stop smoking is that smoking is bad for the health. The reason of 46. 5% to keep smoking is the acquired habit of smoking. 97.2% know the fact that the major element of cigarettes is nicotine and it is very harmful to the health. 40.8% recognize the harmful effect of smoking by TV and radio programs. 97.2% know that smoking could cause lung cancer. From the above results. I propose as follows We should make specific plan to keep smoking by simple curiosity from being developed into habitual smoking. We should teach them how harmful smoking is and make them stop smoking by themselves. It is very essential for family members and teachers to give continuous interest since childhood. As the teacher affect the students very much, they should give up smoking first. The incidence of smoking should be identified in each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s. smoking prohibition programs relevant to each school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The local community should ban cigarette vending machines. Cigarettes should not be sold to adolescents. By setting every place where adolescents gather including schools nonsmoking area. we should decrease their impulse to smoke. then smoking opportunities. and harmful effects to them caused by passive smoking.

  • PDF

초등 예비교사의 응결 차시에 대한 과학 수업 설계 분석 (Analysis of Science Lesson Plan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bout Condensation)

  • 성승민;여상인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5권2호
    • /
    • pp.172-18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의 초등 4학년 물의 상태 변화 단원 속 응결 차시에 대한 과학 수업 설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A교육대학교 2학년 초등 예비교사 29명이고, 선행연구 분석과 전문가 검토를 통해 초등 예비교사의 응결 차시에 대한 과학 수업 설계 분석틀을 도출하였다. 분석틀을 활용해서 과학 수업 지도안 및 서술 문항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예비교사의 응결 차시에 대한 과학 수업 설계에서 수업 모형 적용 능력은 편차가 있으므로 신장할 필요가 있고, 초등 예비교사의 응결 관련 개념의 정확한 이해 부분에 대한 지도가 필요하다. 둘째, 수업 과정 하위범주 속 수업 시작, 전개, 마무리 구성에서도 초등 예비교사의 편차가 있으므로 피드백을 통해 보완해야 한다. 셋째, 수업 환경 하위범주에서는 구체적인 수업 환경에 대한 노하우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그러므로 관련 PCK 신장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수업 평가 하위범주에서는 시기 및 주체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가지고 있고, 평가 내용 구성에서 학습 목표를 일부 누락한 경우가 있는 점은 보완 지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교원양성과정 속 과학교육 지도 방법과 편제에 대한 면밀한 논의를 통해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수업 전문성이 신장될 수 있는 여건 마련이 필요하다.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예비 수학교사들의 탐구 질문 분석 (Analyzing research questions from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in statistical problem solving process)

  • 김소형;한선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0권3호
    • /
    • pp.363-386
    • /
    • 2021
  • 통계를 의미 있게 학습하기 위해서는 실제 데이터로 통계적 문제해결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특히 문제 설정 단계에서의 탐구 질문은 학생들이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의 시작부터 결론까지 성공적으로 안내하는 데에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문제 설정 단계에서 예비 수학교사들의 탐구 질문에 대해 혼합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일부 예비 수학교사들은 통계적 질문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질문의 의미나 변수가 명확하지 않거나 통계 지식에 대한 오개념으로 인하여 통계적으로 해결할 수 없는 질문을 분류하였다. 또한 예비 수학교사들의 50%만이 통계적 문제해결에 적합한 6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시켰으며, 나머지 50%는 일부 조건만 충족시켰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예비 수학교사들에게 교사 교육을 통해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하며, 그 중 문제 설정 단계는 매우 중요하므로 문제 설정 단계도 일련의 세분화된 과정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할 수 있다.

대학 창업교육 프로그램 개발 실행연구: 학습자 교육 요구를 중심으로 (An Action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he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Learner's)

  • 김다혜;성창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4호
    • /
    • pp.127-142
    • /
    • 2022
  • 사회 변화에 따라 시대가 요구하는 융합형 창의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대학 창업교육이 주목받고 있다. 창업교육의 수는 매년 증가하여 양적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교육의 질적 고도화는 과제로 남아 있다. 본 연구는 창업교육 활성화와 질적 고도화를 위해 대학에서 운영되고 있는 창업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실행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과정은 먼저, 관련 문헌분석을 통해 창업교육에 포함되어야할 교육콘텐츠와 교수법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학생들의 창업교육콘텐츠에 대한 니즈를 IPA 분석을 통해 도출하여 이를 반영한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A대학 창업강좌에 프로그램을 적용, 실행 과정에서 나타난 학습자 의견을 분석하여 프로그램을 개선하였다. 개발된 창업교육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강의 초반부 창업교육의 필요성을 충분히 제시하고, 전반부에 아이디어 발굴과 비즈니스모델 설계를 포함하여 창업에 필요한 지식을 교수자 중심의 이론 강의를 통해 전달한다. 강의 후반부에서는 전반부 학습내용을 바탕으로 관심사 기반의 팀을 구성하여 학습자 중심의 실습활동을 운영한다. 실습 내용은 아이디어 선정, 비즈니스모델 분석, 사업계획서 작성 및 피칭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팀별 실습 활동은 수업시간 동안 이루어지고 교수자는 각 팀별로 애로사항에 대한 조언을 제공한다.

오디에이션 음악활동이 유치원 아동의 음악소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sic activitics using audition on Music Aptitude development for Kindergarten Children)

  • 노주희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권1호
    • /
    • pp.11-32
    • /
    • 2004
  • 에드윈 고든(Edwin E. Gordon)에 의하면 음악소질은 선천적인 자질과 후천적인 환경이라는 두 가지 요인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결정되며 만 9세 이전에는 환경의 영향에 따라 유연하게 반응하여 환경이 좋으면 발달되고 환경이 나빠지면 수그러드는 유동음악소질의 시기에, 또한 9세 이후에는 환경의 영향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는 고정음악소질의 시기에 놓인다. 본 연구는 유동음악소질의 시기에 경험하는 풍부한 음악적 교육환경의 제공시기가 이를수록, 또한 교육의 제공기간이 길수록 소질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가 더욱 크다는 음악학습이론의 가설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미국의 템플 대학의 음악학습이론 수업을 모델로 하여 설립된 유아음악감수성계발프로그램 "오디"가 계발한 오디에이션 음악활동이 음악소질에 미치는 교육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교육은 매주 30분 씩 연구자와 연구자 외 1인의 협력교사가 함께 아이들을 가르치는 Co-teaching 형식으로 음악지도의 형태가 아닌 음악안내의 교육방법으로 진행되었다. 다양한 조성, 가사 없는 선율노래와 리듬노래, Free-Flowing Movement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동작, 개별적 반응활동인 패턴학습 등 음악학습이론의 원칙이 지켜졌으며 대그룹 수업을 위하여 오디가 발전시킨 새로운 수업전개방식과 기술이 적용되었다. 실험집단은 각각 1년간 오디수업을 받은 만 5세 유치원 아동과 만 4세 때부터 2년간 오디수업을 받은 만 5세 유치원 아동으로서 두 집단 모두 만 5세 때 고든의 오디에이션기초평가 Primary Measures of Music Audiation(Gordon, 1979)을 사용하여 학년초, 중, 학년말 등 3회에 걸쳐 음악소질을 측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오디의 활동을 5세 동안 1년 교육받은 실험집단 1의 음악소질검사결과를 4세부터 2년 동안 교육받은 실험집단 2의 음악소질검사와 비교할 때 음감소질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리듬소질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둘째, 오디의 활동을 교육받은 실험집단과 오디의 음악수업을 받지 않은 비교집단의 학기초 음악소질검사 결과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학기말 검사결과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 PDF

고등학교 학생들의 성에 관한 인식과 성교육에 대한 요구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about Sex and Sex Education Needs of High School Students)

  • 김화자;남선영;정연강;박경숙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33-243
    • /
    • 1995
  • A survey has conducted on two hundred high school students of the first and second grade by way of questionnaine in Seoul. The purpose of this study on the information from the survey is to cstimate the level of awareness and probe how they feel and what they wish on sex. X2 inspection is designed to assess general aspects of responded contents by way of percentage and examine degree of satisfaction on previously experienced sex education and demand for sex education. The result is as follows. 1.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of degree of awareness on sex of respondents, 62% delines sex as human relationship including moral values for harmony between men and women. 64% of the men and 70% of the women say that sex is a natural thing. It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most of the respondent sgenerally consider sex positive. On chastity, 68.5% of the respondent answer that it means physical chastity, 12.5% that chastity before marriage should be kept, and 43% that it should be kept as far as possible. Most of them pespond that it should be kept. 2.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on the contents of sex, they answer they know well in the order of masturbation(72%), pregnancy(76%), and sex(63%). Contraception, abortion and ejection are contents they poorly informed of. 3.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on experienede of sex education, 83% of men and 100% of women have experienced sex, education, but their degreeof satisfaction to it is very low. And 49% of the whole is dissatisfactory to it. There is som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p=0.000) That result translates that female studeuts are educated on sex tjhrough more systematic subjects than male ones. In addition, it turns out that teenagers get most information on sex through friends, seniors, and mass media such as videos, TV and radios. Correct and systematic sex education is need because wrong information on sex culd be taught and bring them to misbehave. 4. 87.5% of the respondents answer that sex education is necessary, so that degree of necessity for sex education, turns out to be very high. Also the main subject that should perform sex education is in the order of school(50%), Society(24.5), home(18.5%). They respond that most appropriated period for the beginning of sex education is about elementary school age(43%), and 34% believes it to be put ahcad of elementary school age. Anurse teacher accounts for 54% for the main subject that addresses sex education, to male students visit teachers are most favored for 50%. As a result of those, it could be concluded that most high school students want sex education from responsible persons who have systematic and professional knowledge on sex. 5. In order to perform proper sex education by the above results, better educational effects are obtained when characteristics and natures of teenagers are known and most wanted knowledge by them is taught in priority in times of planning sex education. Besides, the contents of sex education suitable for each school should be planned before elementary school age and sex education should be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students' demand. In addition, sex education should be attentively performed by home, all organizations of society as well as school. Therefore, sex education will play a great role in making teenagers reestablish their conception on sex when the traditional and moral value systems of our country and the new value systems which are being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western culture are in harmony.

  • PDF

문제해결형 탐구학습에 대한 인식과 학습이 실험 설계 능력에 미친 효과 : 과학 영재학생들에 대한 사례 연구 (Understanding Problem-Solving Type Inquiry Learning and it's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Ability to Design Experiments: A Case Study on Science-Gifted Students)

  • 주미나;김현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425-443
    • /
    • 2013
  • 이 연구는 과학자의 연구과정을 반영한 문제해결형 탐구학습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고등학교 과학 영재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한 후, 문제해결형 탐구활동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활동 내용 및 수업의 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부설 영재학급 1학년 학생 12명을 대상으로 사전 실험설계 능력 검사(DCT)를 한 후, '주기가 일정한 흔들이 만들기', '표면성장 실험', '메트로놈의 동기화현상'의 세 모듈을 적용하여 수업을 하였고, 그 후 사후 실험 설계능력 검사, 설문과 학생 면담을 실시하였다. 각각의 모듈은 과학적 의문의 생성, 해결 방안 모색을 위한 실험설계, 문제 해결 활동과 같은 일련의 과정들로 이루어져 있어 이를 통해 학생들이 문제해결형 연구 형태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조사 결과 학생들은 주어진 과정에 따라 기계적으로 하는 기존의 학교 수업과는 달리 자기주도적으로 실험을 설계하고, 해결 방안을 다양한 각도로 모색하여 직접 문제를 해결한다는 점에서 문제해결형 탐구 활동과 기존 수업과의 차별성을 인식하였다. 수업 과정 중 학생들은 발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끊임없이 사고하고 실험을 설계 해 보고, 직접 실험을 수행하면서 마침내 처음에 발견했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반복적인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과학자의 연구과정의 한 형태를 경험할 수 있었으며, 문제 해결형 연구과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과학자의 연구과정에 대한 인식의 변화도 생겼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업의 효과 면에서 본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체계적인 실험설계 능력의 향상, 현상의 원인에 대해 자유롭게 생각해 보고 의견을 발표하는 기회를 갖게 한 점 등에서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실험 설계 능력 사전 사후 검사 점수를 비교한 결과, 수업 후 대부분의 학생들은 실험설계 능력에 향상을 보였다. 기존의 따라 하기 식 실험에 익숙해져 있던 학생들은 처음에는 스스로 실험을 설계하는 데 다소 어려움을 느꼈지만 두 번째, 세 번째 수업을 하면서 체계적으로 실험을 설계하여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데에 조금씩 익숙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