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cl2 protein

검색결과 639건 처리시간 0.03초

운동강도의 차이가 60주령된 흰쥐의 Soleus와 EDL에서 Bcl-2, Bax, caspase-3와 DNA 절편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ercise Intensity on Bcl-2, Bax, Caspase-3 Protein Level and DNA Fragmentation in Soleus and EDL Muscle on 60 wk SD Rats)

  • 이지영;김용안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72-577
    • /
    • 2010
  • 본 연구에서 60 주령된 쥐를 대상으로 8 주간 트레드밀 운동강도와 근섬유 유형에 따른 apoptosis 관련 인자를 연구하였다. 결론적으로 노후된 쥐의 apoptosis 관련 인자는 운동강도와 근육유형에 따라 차이가 났다. EDL이 Soleus보다 apoptosis인자의 변화가 운동강도에 의해 더 민감하게 나타났다. 또한 casepase-3의 발현은 고강도 운동에서 나타났으나 DNA 절편화는 나타나지 않았기에 실질적인 apoptosis는 발생되지 않았다. 이는 노후된 개체의 운동 수행방법으로 고강도 운동은 적합하지 않으며, 고강도 운동상태를 지속할 경우 근섬유의 apoptosis를 유도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추후 실험에서는 운동시간과 빈도에 의한 apoptosis의 time-course impact 관찰과 외재적 경로(caspase independent apoptosis)에서의 apoptosis 관련 단백질 변화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노화에 의한 근손실의 원인 규명이 요구된다.

Epigallocatechin Gallate가 인체 유방암 세포인 MDA-MB-231의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pigallocatechin Gallate on Apoptosis in MDA-MB-231 Human Breast Cancer Cells)

  • 홍은정;김우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9호
    • /
    • pp.1114-1119
    • /
    • 2008
  • ECCG는 녹차 카테킨의 주요 성분으로 항산화작용으로 인한 항암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EGCG가 전이성이 강한 인체 유방암 세포인 MDA-MB-231의 세포사멸에도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인체 유방암 세포 배양액에 EGCG를 0, 5, 10, $20\;{\mu}M$로 첨가시켜, 세포사멸과 관련된 단백질들의 단백질과 mRNA 발현, caspase-3 활성을 관찰하였다. EGCG 첨가 농도가 $5\;{\mu}M$ 이상부터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단백질인 bcl-2의 단백질과 mRNA 발현이 감소하였으며,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단백질인 bax의 단백질과 mRNA 발현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EGCG 첨가에 따라 bcl-2/bax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세포사멸의 마지막 단계인 caspase-3의 활성은 EGCG 농도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전이성이 강한 인체 유방암 세포 MDA-MB-231에서 EGCG는 암세포에서 bcl-2의 발현은 억제시키고 bax의 발현은 증가시키며, caspase-3의 활성을 증가시켜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위암의 BAD 단백질의 발현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BAD Protein Expression in Gastric Carcinomas)

  • 유남진;이종우;박원상;이정용;이석형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3권2호
    • /
    • pp.75-79
    • /
    • 2003
  • Purpose: Evidence exists that dysregulation of apoptosis is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cancer development. The Bcl-$x_{L}$/Bcl-2-associated death promoter (BAD), a member of the Bcl-2 family, is a critical regulatory component of the intrinsic cell-death pathway that exerts its pro-apoptotic effect upon heterodimerization with anti-apoptotic proteins Bcl-2 and Bcl-$X_{L}$. Expression of the BAD protein has been reported in several cancer types, but not in stomach canc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ression status of the BAD protein in gastric carcinomas. Materials and Methods: In the current study, we analyzed the expression of the BAD protein in 60 advanced gastric adenocarcinomas by using immunohistochemistry and a tissue microarray approach. Results: Immunopositivity (defined as $\geq\30\%$) was observed for the BAD protein in 57 ($95\%$) of the 60 cancers. Normal gastric mucosal cells showed weaker expressions of the BAD protein than gastric carcinomas. Conclusion: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stomach cancer cells in vivo may need BAD protein expression for apoptosis. Also, the higher expression of the BAD protein in stomach cancer cells than in normal gastric mucosal cells suggests that apoptosis might be easily triggered in susceptible stomach cancer cells, thereby producing selective pressure to make more apoptosis-resistant cells during tumor development.

  • PDF

[6]-Gingerol이 인체 유방암세포 MDA-MB-231에서 Bcl-2와 Bax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6]-Gingerol on Bcl-2 and Bax Expression in MDA-MB-231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

  • 서은영;김우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71-676
    • /
    • 2006
  • 본 연구는 생강의 대표적인 비휘발성 매운맛 성분인 [6]-gingerol이 인체 유방암세포 MDA-MB-231에서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단백질인 Bcl-2의 발현은 [6]-gingerol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발현이 감소되었으며, mRNA 수준에서도 같은 양상을 보였다.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Bax의 단백질 발현은 [6]-gingerol의 농도가 증가되어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mRNA 수준에도 별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세포사멸의 지표로 사용되는 Bcl-2/Bax의 비율은 [6]-gingerol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를 보였다. 그리고 [6]-gingerol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caspase-3의 활성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들로 볼 때, 인체 유방암 세포인 MDA-MB-231에서 [6]-gingerol은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완전 절제된 제IIIA기 비소세포폐암에서 Cyclin D1, p53, Bcl-2 단백질 발현의 의의 (Correlation between Cyclin D1, p53, Bcl-2 Protein Expression and Prognosis in Primary, Resected Stage IIIA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 정경영;양우익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2호
    • /
    • pp.1200-1205
    • /
    • 1998
  • 연구목적: 폐암은 protooncogene의 활성화와 종양억제유전인자(tumor suppressor gene)의 비활성화 등 다단 과정에 의하여 발생한다. 치료목적의 완전 절제가 가능하였던 제 IIIA기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cyclin D1, p53, bcl-2 gene의 변이가 폐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부터 1995년까지 연세의료원에서 치료목적의 완전절제가 가능하였던 stageIIIA 비소세포폐암 환자 100명의 paraffin block과 임상기록을 이용하였다. 각 환자의 조직절편을 labelled streptavidin-biotin method로 immunohistochemical 염색하였고 cyclin D1, p53, Bcl-2 immunostaining을 위한 조직절편들은 immunostaining하기 전 citrate buffer 내에서 10분에서 20분간 microwave oven으로 전처치한 후 cyclin D1은 NCL-cyclin D1-GM으로 p53는 lone DO-7으로 bcl-2는 clone 124로 overnight incubation하였다. 수술 후 평균 추적조사기간은 24.1 개월(range; 2∼84 개월)이었다. 결과: 100예의 폐암 중 56예가 편평상피세포암, 37예가 선암, 5예가 adenosquamous cell carcinoma, 2예가 대세포암이었고 수술 후 5년 생존율은 32.1%이었다. cyclin D1의 양성율은 35 %, p53는 56 %, bcl-2는 17 %였으나 cyclin D1, p53, Bcl-2 단백질 양성 발현과 생존율과의 상관관계는 없었다. 결론: 연구결과 cyclin D1, p53, Bcl-2 단백질 양성 발현이 비소세포폐암 발생기전과 연관되어 있으나 수술 후 예후인자로서는 부적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Effect of HRE and Bcl-2 on the Production of Plasminogen Activator in CHO cells

  • 배근원;노정권;이규민;김익영;김익환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2년도 생물공학의 동향 (X)
    • /
    • pp.261-264
    • /
    • 2002
  • CHO (Chinese hamster ovary) cells were transfected with plasmids containing both cis-acting HRE (hypoxia response element) and CMV-promoter that controls tissue-type plasminogen activator (t-PA). CHO cells with HRE produced 16.2 fold higher t-PA concentration than CHO cells without HRE. It was noted that hypoxia strongly induced CHO cell apoptosis. which resulted in decrease of cell viability and protein production. In this study. by introducing Bcl-2, anti-apoptotic gene, we tried to recover cell viability and increase the protein production. When batch culture of both control cells without transfection of Bcl-2 and cells transfected with Bcl-2 were performed in the absence of CoCl ι hypoxia mimic condition. the cells with Bcl-2 were effected specific cell growth rates, maximum cell density. Immunoblotting assay showed Bcl-2 was recombinant with HRE dependent t- P A expression cassette, and their expression level was depended on hypoxia. By introducing Bcl-2, both cell viability and maximum cell density could be increased.

  • PDF

비호지킨림프종에서 아포프토시스 및 세포증식 : Bcl-2, P53 단백발현과의 관계 (Apoptosis and Proliferative Activity of Non-Hodgkin's Lymphoma : Correlation with Bcl-2 and P53 Protein Expression)

  • 오윤경;이미자;전호종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0권1호
    • /
    • pp.73-80
    • /
    • 2002
  • 목적 : 종양의 성장은 세포의 증식과 소실의 순수한 결과이며, 대부분의 종양들에서 아포프토시스는 계속되는 세포 소실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호지킨림프종 환자들을 REAL 분류에 따라 재분류한 다음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이용하여 아포프토시스 지수, Ki-67 세포증식지수, Bcl-2 단백 발현, P53 단백 발현을 관찰하여 종양의 성장에 영향을 주는 여러 인자들의 관련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비호지킨림프종 환자 6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Working Formulation을 이용하여 분류하였을 때 저등급이 3명, 중등급이 64명이었다. 세포 표현형은 전체 67명의 환자 중 47명$(70\%)$이 B세포 표현형이었고, 18명$(27\%)$이 T세포 표현형이었으며, 2명에서는 분류할 수 없었다. 환자의 파라핀 포매 조직을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실시하여 아포프토시스 지수와 Ki-67 세포증식지수, Bcl-2 단백발현, P53 단백발현을 관찰하였다. 결과 : Bcl-2 단백의 발현은 $40\%$ (26/65)에서 양성 반응을 보였다. P53 단백의 발현은 $31\%$ (20/65)에서 보였다. 아포프토시스 지수는 $0\%$$15\%$사이의 범위에 있었으며 평균은 2.16이고 중앙값은 1.2이었다. 아포프토시스 지수는 세포 표현형이나 P53 단백발현 여부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Bcl-2 단백발현 여부에 따라서는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05). Bcl-2 단백발현이 양성이면 아포프토시스 지수가 낮았다. Ki-67 세포증식지수는 $1\%$$91\%$ 사이의 범위에 있었으며 평균은 $55.4\%$이었다. Ki-67 세포증식지수는 세포표현형이나 B치-2 단백발현 여부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P53 단백발현 여부에 따라서는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p=0.000). 전체 환자군에서는 아포프토시스 지수와 Ki-67 세포증식지수 사이에 관련이 없었으나, Bcl-2 단백발현 양성인 환자에서는 아포프토시스 지수가 증가하면 Ki-67 세포증식지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p=0.012). 결론 : Bcl-2 단백발현이 양성이면 아포프토시스 지수가 낮았고, P53 단백발현이 양성이면 Ki-67 세포증식지수는 높았다. 또한 Bcl-2 양성인 환자에서는 아포프토시스 지수와 Ki-67 세포증식지수사이의 양성 연관성을 보였는데 이는 아포프토시스가 종양의 성장에 있어서 세포의 증식과 별도로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는 것임을 시사해준다고 본다.

Specificity Protein 1 Expression Contributes to Bcl-w-Induced Aggressiveness in Glioblastoma Multiforme

  • Lee, Woo Sang;Kwon, Junhye;Yun, Dong Ho;Lee, Young Nam;Woo, Eun Young;Park, Myung-Jin;Lee, Jae-Seon;Han, Young-Hoon;Bae, In Hwa
    • Molecules and Cells
    • /
    • 제37권1호
    • /
    • pp.17-23
    • /
    • 2014
  • We already had reported that Bcl-w promotes invasion or migration in gastric cancer cells and glioblastoma multiforme (GBM) by activating matrix metalloproteinase-2 (MMP-2) via specificity protein 1 (Sp1) or ${\beta}$-cateinin, respectively. High expression of Bcl-w also has been reported in GBM which is the most common malignant brain tumor and exhibits aggressive and invasive behavior. These reports propose that Bcl-w-induced signaling is strongly associated with aggressive characteristic of GBM. We demonstrated that Sp1 protein or mRNA expression is induced by Bcl-w using Western blotting or RT-PCR, respectively, and markedly elevated in high-grade glioma specimens compared with low-grade glioma tissues using tissue array. However, relationship between Bcl-w-related signaling and aggressive characteristic of GBM is poorly characterized. This study suggested that Bcl-w-induced Sp1 activation promoted expression of glioma stem-like cell markers, such as Musashi, Nanog, Oct4 and sox-2, as well as neurosphere formation and invasiveness, using western blotting, neurosphere formation assay, or invasion assay, culminating in their aggressive behavior. Therefore, Bcl-w-induced Sp1 activation is proposed as a putative marker for aggressiveness of GBM.

녹차 (-)Epigallocatechin-gallate에 의한 전립선암 세포주 DU145 세포고사 기전 (Green Tea (-) Epigallocatechin-gallate Induces the Apoptotic Death of Prostate Cancer Cells)

  • 이지현;정원훈;박지선;신미경;손희숙;박래길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8권2호
    • /
    • pp.183-190
    • /
    • 2002
  • The mechanism by which catechin-mediated cytotoxicity against tumor cells remains to be elusive. To elucidate the mechanical mights of anti-tumor effects, (-)epigallocatechin-gallate (EGCG) of catechin was applied to human prostate cancer DU 145 cells. Cell viability was measured by crystal violet staining. Cell lysates were wed to measure the catalytic activity of caspases by using fluorogenic peptide: Ac-DEVD-AMC for caspase-3 protease, Z-IETD-AFC for caspase-8 protease, Ac-LEHD-AFC for caspase-9 protease as substrates. The equal amounts of protein from cell lysate was separated on SDS-PAGE and analyzed by western blotting with anti-Fas antibody, anti-FasL antibody, anti-BCL2 antibody and anti-Bax antibody. (-)EGCG induced the death of DUl45 cells, which was revealed as apoptosis shown by DNA fragmentation. (-)EGCG induced the activation of caspase family cysteine proteases including caspase-3, -8 and -9 proteases in DU145 cells. Also, (-)EGCG increased the expression of Fas and Fas ligand (FasL) protein in DU145 colls. The expression level of BCL2 was decreased in (-)EGCG treated DU145 cells, whereas Bax protein was increased in a time-dependent manner. We suggest that (-)EGCG-induced apoptosis of DU145 cells is mediated by signaling pathway involving caspase family cysteine protease, mitochondrial BCL2-family protein and Fas/FasL.

각화낭치성종양의 이장상피에서 Bcl-2 발현양상과 임상지표 (Expression of Bcl-2 in the epithelial lining and clinical findings of keratocystic odotogenic tumor)

  • 이인혁;최소영;박지훈;김진수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7권3호
    • /
    • pp.161-168
    • /
    • 2011
  • Purpose: The odontogenic keratocysts demonstrated a high recurrence rate and a biologically aggressive nature. This might be due to unknown factors inherent in the epithelium or enzymatic activity in the fibrous wall. Bcl-2 protein is characterized by its ability to inhibit apoptos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xpression and distribution of bcl-2 in the OKCs, its possible relationship with the tumorous characteristics, such as the aggressive nature and high recurrence rate, and its usefulness to differentiate OKCs from dentigerous cysts. Materials and Methods: Formalin fixed paraffin-embedded tissue sections of 53 OKCs, and 44 dentigerous cyst were immunohistochemically analyzed quantitatively for the immunoreactivity of the bcl-2 protein with i-solution. Results: More Bcl-2 expression was observed in the OKCs (mean34.387%) than dentigerous cyst (mean11.144%)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001). Seventeen and 15 of the 32 OKCs in this study showed positivity in the basal layer and basal/suprabasal layers, respectively. In dentigerous cyst, 2 of 3 showed positivity in the basal cell layer. Conclusion: Considering that bcl-2 over expression may lead to the increased survival of epithelial cells, this study demonstrated a possible relationship between the aggressive nature of OKC and the intrinsic growth potential of its lining epithelium. Furthermore, the basal/suprabasal distribution of bcl-2 positive cells was observed in some OKCs, which migh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behavior of cysts. The bcl-2 expression of OKCs can be useful for differentiating OKCs from dentigerous cy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