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terial production

검색결과 1,562건 처리시간 0.031초

버섯의 갈변병 유발세균 Pseudomonas tolaasii의 길항세균인 Pseudomonas fluorescens의 분리동정 및 배양조건 (Identification of Pseudomonas fluorescens antagonistic to Pseudomonas tolaasii and its cultivation)

  • 박범식;조남철전억한
    • KSBB Journal
    • /
    • 제7권4호
    • /
    • pp.296-301
    • /
    • 1992
  • 버섯 갈변병 유발세균인 Pseudomonas tolaasii와 이에 대해 길항성을 나타내는 세균을 버섯으로부터 각각 분리 하여 Gram staining, gelatin liquefaction, oxidase test 등을 통해 P. fluorescens와 P. tolaasii 를 동정하였으며 , pigment production, tempera t ture sensitivity, salt tolerance, 그리고 rapid pit­ting test 등의 여러가지 실험을 통하여 특정을 알아 보았다. 또한 P. fluorescens를 대량으로 배양하기 위하여 최적 배지조성 및 배양의 최척조건을 확립하였고, 세포농도를 높이기 위하여 유가배양을 시행하였다. 세포성장에 있어서 carbon 및 energy source 인 glucose의 경우 30g/L일 때 세포농도가 가장 높았으며, yeast extract의 농도가 10g/L에서 세포농도가 최적으로 성장하였다. 질소원인 $NH_4Cl$${(NH_4Cl)}_2SO_4$는 각각 1.0g/L와 O.lg/L일 때 세포성장이 가장 좋게 나타났고, sulfur source인 $MgSO_4{\cdot}7H_2O$의 최적농도는 1.0g/L였다. 그리고 $KH_2PO_4$$CaCl_2$는 각각 1.0g/L와 O.lg/L일 때 세포농도가 가장 높았으며, 온도 $30^{\circ}C$, pH 6.0 그라고 DO는 40 %로 유지시켰을 때 세포성장이 가장 높았으며, 유가배양에 의해 세포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었다.

  • PDF

느릅나무 초임계 추출물의 항균,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Anti-fungal,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upercritical fluid extracts from Ulmus davidiana)

  • 서주희;이용조;조영익;고정윤;문명재;박광현;최선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225-233
    • /
    • 2018
  • 천연물 유래 난치성 피부질환 기능성 소재를 탐색하기 위해 느릅나무 가지를 초임계 유체 기술을 활용하여 추출을 수행하였고, 확보된 느릅나무 초임계 추출물을 수종의 피부상재균에 대하여 항균력 실험을 실시하였고, 모든 균종에 대해서 항균력이 확인이 되었으며, ABTS 라디컬 소거능과 NO 소거능 실험을 통해서 느릅나무 초임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항염증 활성의 우수한 활성이 확인이 되어서 산화적 스트레스 질환과 염증성 피부질환에 대해서 예방 및 치료 보완 기능성 소재로 개발이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느릅나무 초임계 추출물은 피부상재균에 대한 항균활성, 라디컬 소거능에 의한 항산화 활성, 과 생성된 NO 소거능에 의한 항염증활성이 각각 확인이 되었다. 이 상의 결과로 느릅나무 초임계 추출물은 항균효능, 항산화효능, 항염증 효능을 갖는 기능성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향후 만성 염증성 피부면역 질환 개선 및 치료 보조제 관련 의약품 또는 기능성 향장품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재조합 mannose-binding lectin 단백질과 anti-mannose-binding lectin polyclonal 항체 제작 (Recombinant Mannose-binding Lectin Protein and Anti-Mannose-binding Lectin Polyclonal Antibody Production)

  • 권현미;박정애;최병태;최영현;정경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84-288
    • /
    • 2009
  • 선천성 면역은 숙주의 물리적 방어벽을 뚫고 침입하는 감염성 질병 원인균에 대항하는 첫 번째 방어로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Mannose-binding lectin (MBL 또는 mannan-binding protein, MBP)은 혈청 내에 존재하는 면역성 단백질로서 감염 후 즉시 유발되는 acute phase response의 특정 단백질이다. MBL 단백질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기생충 등의 탄수화합물 구조에 결합하여 식균 작용을 돕거나 보체경로를 활성화 시킨다. MBL 단백질은 C-말단이 탄수화물을 인식하는 도메인이며, 연결 목 부위와 콜라겐 부위로 구성되어 있다. 혈청 내의 MBL 농도가 낮으면 높은 빈도로 면역결핍현상이 관찰된다고 알려져 있다. MBL 단백질의 기능과 유전에 대해 많은 연구가 되어져 왔으나 아직 MBL 단백질 복합체 등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있지 않다. 따라서 MBL 연구에 필수적인 MBL cDNA 제조와 재조합 단백질의 합성, 그리고 재조합 단백질을 항원으로 사용하여 polyclonal antibody를 생산한 연구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 연구결과로 획득한 MBL cDNA, 재조합 단백질과 anti-MBL 항체는 앞으로의 MBL 연구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도구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Thermotoga neapolitana β-glucosidase의 당전이 활성을 통한 glycosyl aesculin 합성 최적화 (Optimization of Glycosyl Aesculin Synthesis by Thermotoga neapolitana β-Glucosidase Using Response-surface Methodology)

  • 박현수;박영돈;차재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8-43
    • /
    • 2017
  • 강한 항 염증 활성을 갖는 glycosyl aesculin이 Thermotoga neapolitana ${\beta}-glucosidase$의 당전이 활성을 통하여 aesculin을 수용체로 이용하여 합성되었다. 약 $2{\mu}g$의 효소를 이용하여 반응표면분석법을 통한 주요 반응 매개변수들의 최적화가 시도되었다. 각 반응 변수들의 통계분석 결과 2차 다항식모델이 적용된 유의값(p<0.05)에 잘 맞았다. Aesculin과 다른 매개변수사이의 상호관계를 의미하는 반응표면곡선 그래프는 glycosyl aesculin의 수율이 주로 aesculin의 농도와 반응시간에 영향을 받음을 나타내었다. Glycosyl aesculin의 생산을 위한 반응최적조건은 aesculin의 농도 9.5 g/l, 온도 $84^{\circ}C$, 반응시간 81분, 그리고 pH 8.2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조건하에서 효소반응시 61.7%의 전환율로 5.86 g/l 의 수율이 예상되었다. 실험을 통한 실질적인 수율은 6.02 g/l으로 나타났다. 실질적인 수율과 가까운 값을 예측 가능하다는 것을 통하여 반응표면분석법이 효소반응의 전환율을 최적화하는데 타당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반응표면분석법을 활용하여 최적화 이전에 비하여 약 1.6배의 glycosyl aesculin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반응표면분석법이 미생물유래 당화효소를 이용한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배당체 합성의 생산 최적화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김치에서 신규 Leuconostoc mesenteroides KACC 91495P 균주의 분리 및 이를 이용한 배 발효물의 제조 (Production of a Fermented Korean Pear Puree using a New Strain Leuconostoc mesenteroides KACC 91495P Isolated from Kimchi)

  • 인만진;김혜민;진혜진;김동청;오남순;채희정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3권1호
    • /
    • pp.51-55
    • /
    • 2010
  • 김치에서로부터 배 파쇄물에서 생육과 산 생성이 우수한 유산균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균주는 Ln. mesenteroides로 동정되었으며,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에 KACC 91495P로 기탁하였다. KACC 91495P 균주를 배 파쇄물에 접종한 후 pH, 적정산도, 생균수의 변화를 경시적으로 분석하였다. 배양액의 pH는 배양 9시간 이후 pH 4.05로 급격히 감소한 후 배양 18시간에 pH 3.86까지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적정산도는 배양 초기부터 15시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1.09% 수준에서 평형을 이루었다. 생균수는 접종 후 9시간까지 급격히 증가하고 그 이후 완만하게 증가하여 배양 18시간에는 $2.9{\times}10^9\;CFU/g$까지 증가하였다. 유기산 농도는 배양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하여 18시간 배양 후 젖산이 0.213%, 초산이 0.259%, 사과산이 0.217%로 분석되었다. 또한 배 발효액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9시간 배양 후 $134\;{\mu}g$ tannic acid/mL에서 $185\;{\mu}g$ tannic acid/mL로 약 40% 증가하였으며 따라서 DPPH radical 소거활성도 향상되었다. 또한 $4^{\circ}C$에서 KACC 91495P 균주에 의한 배 발효물은 약 2주일의 저장기간 동안 pH, 적정산도, 총균수의 변화는 미미하였다.

식이 DFA IV의 흰쥐 장내 단쇄지방산 생성 및 장내환경 개선효과 (Effects of Dietary DFA IV on Lumen Short Chain Fatty Acids Production and Intestinal Environment in Rats)

  • 홍경희;장기효;강순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389-396
    • /
    • 2016
  • 본 연구는 미생물 발효로 생산된 DFA IV의 장내환경 개선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동물실험을 통해 식이 DFA IV가 장의 길이 및 무게와 단쇄지방산 및 젖산 생성, 장내 pH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prague-Dawley종 흰쥐를 식이무게의 DFA IV를 0%(대조군) 또는 1%로 함유한 식이로 3주간 사육하였다. DFA IV를 공급한 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맹장의 무게와 맹장벽의 무게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DFA IV 공급에 의해 맹장 내용물의 아세트산과 부티르산 함량이 각각 대조군의 1.6배, 3.2배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맹장과 대장의 pH도 DFA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DFA IV는 또한 맹장의 젖산 생성을 1.5배 증가시켜, 식이로 공급한 DFA IV가 장내에서 젖산균의 증식을 촉진하였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 DFA IV 함유 식이는 장에서 발효되어 장내 환경을 개선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DFA IV는 장건강에 유익한 프리바이오틱 기능성 소재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A 3D "In Vitro" Model to Study Hyaluronan Effect in Nasal Epithelial Cell Line Exposed to Double-Stranded RNA Poly(I:C)

  • Albano, Giusy Daniela;Bonanno, Anna;Giacomazza, Daniela;Cavalieri, Luca;Sammarco, Martina;Ingrassia, Eleonora;Gagliardo, Rosalia;Riccobono, Loredana;Moscato, Monica;Anzalone, Giulia;Montalbano, Angela Marina;Profita, Mirella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8권3호
    • /
    • pp.272-281
    • /
    • 2020
  • Environmental agents, including viral and bacterial infectious agents, are involved in the alteration of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parameters in the nasal epithelium. Hyaluronan (HA) has an important role in the regulation of tissue healing properties. High molecular weight HA (HMW-HA) shows greater anti-inflammatory responses than medium molecular weight HA (MMW-HA) and low molecular weight HA (LMW-HA).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HMW-HA, MMW-HA and LMW-HA on the regulation of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parameters in an "in vitro" model that might mimic viral infections of the nasal epithelium. Human nasal epithelial cell line RPMI2650 was stimulated with double-stranded RNA (dsRNA) Poly(I:C) for 5 days in air-liquid-interface (ALI) culture (3D model of airway tissue). dsRNA Poly(I:C) treatment significantly decreased transepithelial electrical resistance (TEER) in the stratified nasal epithelium of RPMI2650 and increased pH values, rheological parameters (elastic G' and viscous G''), and Muc5AC and Muc5B production in the apical wash of ALI culture of RPMI2650 in comparison to untreated cells. RPMI2650 treated with dsRNA Poly(I:C) in the presence of HMW-HA showed lower pH values, Muc5AC and Muc5B production, and rheological parameters, as well as increased TEER values in ALI culture, compared to cells treated with Poly(I:C) alone or pretreated with LMW-HA and MMW-HA. Our 3D "in vitro" model of epithelium suggests that HMW-HA might be a coadjuvant in the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viral infections, allowing for the control of some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affecting the epithelial barrier of the nose during infection.

벼(oryza sativa L.)에서 분리한 Methylotrophic N2-Fixing Bacteria의 형태학적 특성 (Phenotypic Characterization of Methylotrophic N2-Fixing Bacteria Isolated from Rice (Oryza sativa L.))

  • ;박명수;이형석;김충우;이규희;;사동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46-53
    • /
    • 2004
  • 벼(Oryza sativa L.)에 서식하고 있는 메탄올 자화세균(methylotrophic bacteria)의 군집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국내 3지역(청원, 익산, 밀양)의 경작지 논에서 재배되고 있는 4품종(일미, 동진, 남평, 오대) 벼의 잎, 줄기, 이삭, 뿌리 및 근권토양을 수집하였다. Methanol이 유일한 탄소원으로 첨가된 선택배지를 이용하여, 분홍색 색소체를 갖는 35균주와 무색소체의 5균주를 선별하였으며, 선별균주들의 형태학적, 생리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4개의 군집으로 구분하였다. 군집 I 및 IV 는 각각 nitrate와 nitrite reduction 특성에 의해 구별되었으며, pink pigment colony를 형성하는 또 다른 두 개의 군집들은 cellulase 생성유무에 의하여 구분되었다. 표준균주인 Methylobacterium extorquens AM1은 분리균주들과는 다른 군집으로 구분되었으며, M. fujisawaense KACC10744는 III 군집에 속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리된 모든 균주들은 urease, oxidase, catalase, pectinase 활성시험에서 양성반응을 나타냈으며, indole, MR-VP, $H_2S$, starch, casein 시험에서는 음성반응을 나타내었다. 또한, 모든 분리 균주들의 열 내성은 없었으며, $45^{\circ}C$ 이상에서는 성장하지 못하였다. 군집 I에서 두개의 분리균주가 각각 gelatin 가수분해와 methane 이용능을 나타내었으며, 대부분의 균주들은 탄소원으로 monosaccharides, disaccharide, polyols를 이용하여 성장하였다. 분리 및 선별되어진 균주들 중 6 균주만이 $86.2-809.9nmol\;C_2H_4\;h^{-1}\;mg^{-1}$ protein 범위의 질소고정능을 나타내었다.

Characterization of Endochitosanases-Producing Bacillus cereus P16

  • Jo, Yu-Young;Jo, Kyu-Jong;Jin, Yu-Lan;Jung, Woo-Jin;Kuk, Ju-Hee;Kim, Kil-Yong;Kim, Tae-Hwan;Park, Ro-D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6호
    • /
    • pp.960-968
    • /
    • 2003
  • A bacterial isolate showing a strong endochitosanase activity was isolated from soil and then characterized. The isolate was identified and designated as Bacillus cereus P16, based on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properties, assimilation tests, cellular fatty acids pattern, along with 16S rRNA gene sequence. The optimized medium for producing extracellular chitosanase in a batch culture contained 1% tryptone, 0.5% chitosan, and 1% NaCl (pH 7.0). Powder chitosan and tryptone served the best as carbon and nitrogen sources, respectively, for the chitosanase production. Chitosanase activity was the highest when culture was completed at $37^{\circ}C$ among various temperatures ($20-42^{\circ}C$) tested in a shaking incubator (200 rpm). The levels of chitosanase activity in the culture fluid were 2.0 U/ml and 3.8 U/ml, respectively, when incubated in a flask for 60 h and in a jar fermenter for 24 h. The culture supernatant showed a strong liquefying activity on the soluble chitosan. The viscosity of 1% chitosan solution, that was incubated with the culture supernatant, was rapidly decreased, suggesting the secretion of endochitosanolytic enzymes by P16. The culture fluid revealed six endo-type chitosanase isozymes, two major (38 and 45 kD), and four minor (54, 65, 82, and 96 kD) forms by staining profile. The crude enzymes were very stable, and full activity was maintained for 4 weeks at $4^{\circ}C\;or\;-20^{\circ}C$ in the culture supernatant, suggesting a highly desirable stability rate for making an industrial application of the crude enzymes. The supernatant also cleaved the insoluble chitosan powder, but the hydrolysis rate was much lower. The enzymic degradation products of chitosan contained $(GlcN)_n$ (n=2-8). The concentration of chitosan in the reaction mixture of the crude enzyme affected the chitooligosaccharides composition of the hydrolysis products. When the higher concentration of chitosan was used, the higher degree of polymerized chitooligosaccharides were produced. By comparison with other commercial chitosanase preparations, P16 was indeed found to be a valuable enzyme source for industrial production of chitooligosaccharides from chitosan.

제주도 토양으로부터 자일란 분해 Streptomyces atrovirens subspecies WJ-2 동정 및 효소의 생화학적 특성 규명 (Identification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a New Xylan-degrading Streptomyces atrovirens Subspecies WJ-2 Isolated from Soil of Jeju Island in Korea)

  • 김다솜;배창환;여주홍;지원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512-521
    • /
    • 2016
  • 제주도에서 채집된 토양시료로부터 xylanase 활성을 나타내는 균주를 분리하여 WJ-2로 명명하였다. 균주 WJ-2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결정하여 이를 토대로 상동성을 검색한 결과, Streptomyces 속의 균주들과 높은 염기서열 상동성을 보였다.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토대로하는 neighbor-joining 계통수를 제작하여 Streptomyces atrovirens와 가장 높은 계통발생적 연관성이 갖고 있는 것을 밝혔다. 또한 DNA-DNA hybridization 분석을 통하여 Streptomyces atrovirens의 신규한 아종임을 증명하였다. 균주 WJ-의 게놈내 GC 농도는 73.98 mol%이었으며, 주요 세포벽 지방산으로 anteiso-$C_{15:0}$ (36.19%)을 함유하고 있었다. 균주 WJ-2의 성장 및 xylanase 생산은 배지내에 질소원으로 soytone과 탄소원으로 xylan을 첨가하였을 때 급격히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액체배양액으로부터 준비된 조효소의 xylanase 활성은 pH 7.0과 $55^{\circ}C$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분석을 통하여 균주 WJ-2의 조효소는 xylan을 분해하여 최종분해산물로서 xylobiose와 xylotriose 생산하는 효소임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