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henticity

검색결과 657건 처리시간 0.035초

한국 제품 브랜드 진정성 선행요인들이 브랜드 아우라에 미치는 영향 -중국소비자를 대상으로- (The Effect of the Antecedents of Authenticity of Korean Product Brand on Brand Aura - Focus on Chinese Consumer -)

  • 정갑연;이영수
    • 무역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43-172
    • /
    • 2017
  • 본 연구는 중국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국 제품 브랜드 진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들이 그들의 한국 제품 브랜드에 대한 진정성 인식에 영향을 미쳐 한국 제품 브랜드만의 독특한 아우라를 느끼게 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이 특정 상황에 맞춰 브랜드 진정성의 선행요인들을 살펴본 것과는 다르게 전체적인 관점에서 한국 제품 브랜드 진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들로 브랜드 일관성, 지속성, 개별성, 권위성, 윤리성 등을 구성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중국의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등의 한국 제품 브랜드 매장을 방문한 400명의 중국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제품 브랜드에 대한 지속성, 개별성, 권위성은 브랜드 진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브랜드 일관성과 윤리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한국 제품 브랜드 진정성은 한국 제품 브랜드 아우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최근 중국소비자들에게 브랜드 진정성이 중요한 구매의사결정 요인이 됨에 따라 중국시장을 목표시장으로 하는 한국 기업들이 자사 브랜드의 진정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한국 기업들이 자사 브랜드만의 독창적 가치인 브랜드 아우라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먼저, 중국소비자들에게 자사 브랜드가 신뢰할 수 있고, 믿을 수 있는 브랜드라는 것을 인식시켜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 PDF

패스트 패션 브랜드 재구매의도의 선행변수 - 브랜드 진정성, 브랜드 동일시, 브랜드 사랑 - (Antecedents of repurchasing intention toward fast fashion brands - Brand authenticity, brand identification, and brand love -)

  • 박혜정
    • 복식문화연구
    • /
    • 제28권2호
    • /
    • pp.147-165
    • /
    • 2020
  • To identify the antecedents of repurchasing intention toward fast fashion brand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brand authenticity and brand identification as both direct and indirect antecedents of repurchasing intention through fast fashion brand love.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266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metropolitan area completed a questionnaire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AMOS was us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path analysis. Factor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 for brand authenticity, four dimensions('originality,' 'reliability,' 'continuity,' and 'naturalness') were revealed; for both consumer brand identifica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ne dimension was revealed; and for brand love two dimensions were revealed('passion' and 'affection'). Path analysis confirmed that 'reliability' and 'naturalness'in relation to brand authenticity indirectly influenced repurchase intention through 'passion'(as a factor of brand love) and directly influenced repurchase intention. Further, 'continuity' in relation to brand authenticity indirectly influenced repurchase intention through 'affection'(as a factor of brand love) and directly influenced repurchase intention. Consumer brand identification influenced repurchase intention indirectly through two factors of brand love. These results suggest that fast fashion brand marketers should implement effective strategies that consider consumers'perceptions of brand authenticity, consumer brand identification, and brand love.

Do Customers want Employees' Authentic Service or Just Service? The Effects of Employees' Authenticity and Justice on Customers' Commitment and Behavior

  • Jung, Hyo Sun;Yoon, Hye Hyun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120-131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s' perception of authenticity, justice, customer commitment, and customer behavior in franchise coffee shops. To test the hypotheses of the study, a total of 428 customers in Korea were considered in an empirical analysis using a two-step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approach. In particular, employees' authenticity had relatively great influence on customers' continuous and affective commitment and their justice had greater influence on customers' normative commitment. Also, customers' continuous commitment, normative commitment, and affective commitment significantly influence customer participation behavior, while normative commitment and affective commitment have a significant effect customer citizenship behavior. Research thus far divided justice and authenticity into separate concepts and examined relation with customer commitment or behaviors but the present study put cognitive process of justice and emotional process of authenticity on the same line and evaluated their different influence on customer commitment and behaviors, thereby verifying that not justice perceived by customers induced desirable customer behaviors but authenticity they felt with their heart played a more superior role in customer commitment or behaviors. This means that authentic services rather than justice induce customers' positive behaviors.

패션 브랜드 진정성의 내부 구조 확인 및 브랜드 애착, 몰입, 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양적 연구 (Quantitative Research for Investigating Internal Structure and the Influence on Brand Attachment, Commitment, Loyalty of Fashion Brand Authenticity)

  • 서상우;이유리
    • 복식
    • /
    • 제63권7호
    • /
    • pp.148-16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ttributes and internal structure of fashion brand authenticity, which is a new concept of brand association. For quantitative research, a total of 591 samples of consumer survey were taken from 24th of August to 7th of September, 2009.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scale for the fashion brand authenticity was developed, which consisted of 33 questions. These questions estimated a total of 8 dimensions, including heritage, authority, relationship to place, consistency, non-popularity, trend leading, originality, and ethics. 2)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ashion brand authenticity was confirmed. The internal structure was constituted into core attributes and promoted attributes. 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shion brand authenticity and consumer related variables were found. The core attributes of authenticity were putting positive influence directly on brand loyalty. However, paths through brand attachment or brand commitment were not found. The promoted attributes showed that it had a direct negative influence on brand loyalty, but it has also showed positive influence on paths, which underwent brand attachment and commitment.

Understanding "Authenticity" in Records Management: A Survey of Practitioners and Users

  • 박은경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3-68
    • /
    • 2003
  • 전자문서 관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개념중의 하나인 진본성 (Authenticity)에 관한 연구가 1995년이래 활발히 논의되어 필요성이 강조되어 왔으나, 진본성에 관한 정의와 개념적인 수준에 머무르는 반면, 구체적인 적용연구는 아직 미치지 못하고 있다. 본고는 진본성에 관한 이해를 이론적인 개념정립보다는 귀납적인 방법을 취하여 실제 문서를 생산, 이용, 검색, 관리, 보존 업무에 종사하는 문서관리자, 도서관사서, 아키비스트, 컴퓨터 시스템운영자, 프로그래머등을 중심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보고하였다. 기록관리계의 실무자들이 이해하는 진본성은 업무활동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고 진행중인 연구프로젝트의 연구결과와는 많이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본고는 진본성을 이해연구하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고 기록학계 진행중인 연구프로젝트의 갭을 지적하고자 한다.

패션에 나타난 찰스 테일러의 '자기진실성(Authenticity)' -'고간지(Goganzi)' 디지털 콘텐츠를 중심으로- (The Perspective of Charles Taylor's 'Authenticity' on Fashion -Focusing on 'Goganzi' Digital Content-)

  • 이윤경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423-438
    • /
    • 2021
  • This study examined fashion through the lens of Charles Taylor's concept of 'Authenticity.' From the point of view of 'Authenticity,' fashion can be thought of as "a means of expressing one's inner truth" and "affirmative about everyday life." According to 'Authenticity,' fashion, in the first case ("one's inner truth") appears as 1) magnetic uniqueness, 2) inner subjectivity, and 3) poiēsis. And in the second case ("affirmative about everyday life") it is expressed as 1) naturalism, 2) positivity of self-expression, and 3) existentiality. For this study, we selected a high school 'ganzi' contest, whose participants were deemed to have a high level of interest in and understanding of fashion, compared to other teenagers living in South Korea. Among the 33 participants in 'Goganzi' Seasons 1 and 2, we analyzed the styles and looks of 30 works by the six people who made it to the final stage. As a result, we broke down the aesthetic values of authenticity that teenagers express through their fashion into three categories: plurality, originality, and creativity.

소비자의 공감반응을 끌어낼 수 있는 사회적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에 관한연구 - 친숙성과 진정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f Social Enterprises which can bring out Customer's Empathic Response -Focusing on Familiarity and Authenticity-)

  • 윤대홍;엄성원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3권5호
    • /
    • pp.131-153
    • /
    • 2014
  •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에 대한 소비자의 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사회적기업에 대한 기업 측면과 제품 측면으로 접근해보았다. 기업측면의 경우 소비자의 친숙성과 진정성 지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 보았다. 연구결과 사회공헌활동 공성성은 친숙성과 진정성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가설 1, 가설 2). 사회공헌활동 호혜성의 경우 친숙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가설 3)으로 나타났으나 진정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가설 4). 제품측면에 대한 친숙성과 진정성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매력성과 친숙성(가설 5), 독특성과 진정성(가설 8)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매력성과 진정성(가설 6), 독특성과 친숙성(가설7)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친숙성과 진정성 그리고 공감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친숙성의 경우 진정성(가설 9)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소비자 공감(가설 10)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진정성의 경우 소비자 공감(가설 11)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기업에 대한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해 소비자구매를 촉진하고 공감을 높여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관계를 이어갈 수 있는 통합적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의 역할을 통한 소비자의 공감을 끌어낼 수 있는 사회적기업의 마케팅 전략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 PDF

뷰티 모바일 앱에서의 제품 사용후기의 유형, 지각된 정보의 진정성,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 및 온라인 구전의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Types of Product Review on Mobile Beauty App, Perceived Information Authenticity, Brand Attitude, Purchase Intention and e-WOM Intention)

  • 전은하;석해민;정민지;고은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80-193
    • /
    • 2017
  • The increase use of smartphones has paved the way for quick dissemination of online information. This has a huge influence on consumers' purchase decision making and the formation of a company's image. As such, this study focuses on product review from mobile beauty applications(apps); in particular, the perceived information authenticity. The purpose is as follows. First, to examine if there is any difference in perceived information authenticity based on the types of product review. Second, to analyze how perceived information authenticity influences brand attitude, purchase intention, and electronic word of mouth(e-WOM) intention. The study targets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who have experience buying a product via a mobile beauty app. Three hundred responses a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AMOS 18.0. The results reveal that, first of all, consumers derive higher perceived information authenticity from a multi-facet review rather than a double-facet review. Second, among the traits of perceived information authenticity, only a brand's perceived reliability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brand attitude. Third, this brand attitude has a positive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and e-WOM intention.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can serve as an important discussion point for companies developing a mobile beauty app, drawing attention to perceived information authenticity, based on the types of product review.

브랜드 권위성과 윤리성이 구매·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브랜드 진정성의 매개효과 (Brand Authenticity Mediated the Effect of Brand Authority and Ethicality on Purchase and Word-of-mouth Intention)

  • 이종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611-619
    • /
    • 2016
  • 지금까지 브랜드 진정성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브랜드 진정성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는데 집중하여 왔다. 그러나 이제는 통합적인 시각에서 제안된 척도의 활용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브랜드 권위성과 윤리성이 구매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브랜드 진정성의 매개적 변수효과 모형을 개발하고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설문방법을 이용하였고, 분석을 위한 데이터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수집한 총 136개의 데이터를 적용하였다. 그리고 자료의 분석은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브랜드 권위성과 윤리성은 구매추천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브랜드 진정성을 매개로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 권위성과 윤리성은 브랜드 진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직장인의 구매 추천의도에 대한 정보를 탐색함과 동시에 브랜드 관리 정책 수립에 있어서 브랜드 진정성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Impact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Authenticity on Brand Loyalty: Evidence from the Chain Coffee Shop Industry in Vietnam

  • MAI, Thi Cam Tu;NGUYEN, Hong Son;PHAN, Nguyen Ngoc Diem;LE, Minh Hang;LUU, Phuong Khanh;NGUYEN, Thi Thu Thao;NGUYEN, Thi Thu Trang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6호
    • /
    • pp.159-173
    • /
    • 2022
  •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CSR and its authenticity on customer loyalty through the brand image in the chain coffee shop industry. Us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601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of which 491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CSR has a positive impact on brand image and customer loyalty. In addition, authenticity does not moderate the impact of CSR on brand image and loyalty, as it is difficult for customers to verify the authenticity of CSR action programs.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SR action programs and authenticity for businesses to sustainably enhance their distinctive brand image and customer loyalty. Therefor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future, managers of coffee shop chains need to focus on the following issues. Firs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right awareness of businesses regarding CSR and CSR authenticity. Third, businesses should strengthen the transparency of CSR action programs in various media so that consumers can easily verify authenticity, to increase brand image and improve customer loyal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