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electasis

검색결과 203건 처리시간 0.025초

결핵성 파괴폐의 흉부 전산화단층촬영 소견 및 폐기능과의 상관관계 (CT Radiologic Findings in Patients with Tuberculous Destroyed Lung and Correlation with Lung Function)

  • 채진녕;정치영;심상우;노병학;전영준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1권3호
    • /
    • pp.202-209
    • /
    • 2011
  • Background: A tuberculous destroyed lung is sequelae of pulmonary tuberculosis and causes various respiratory symptoms and pulmonary dysfunction. The patients with a tuberculous destroyed lung account for a significant portion of those with chronic lung disease in Korea. However, few reports can be found in the literature. We investigated the computed tomography (CT) findings in a tuberculous destroyed lung and the correlation with lung function.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44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a tuberculous destroyed lung at the Keimyung University Dongsan Hospital between January 2004 and December 2009. Results: A chest CT scan showed various thoracic sequelae of tuberculosis. In lung parenchymal lesions, there were cicatrization atelectasis in 37 cases (84.1%) and emphysema in 13 cases. Bronchiectasis (n=39, 88.6%) was most commonly found in airway lesions. The mean number of destroyed bronchopulmonary segments was 7.7 (range, 4~14). The most common injured segment was the apicoposterior segment of the left upper lobe (n=36, 81.8%). In the pulmonary function test, obstructive ventilatory defects were observed in 31 cases (70.5%), followed by a mixed (n=7) and restrictive ventilatory defect (n=5). The number of destroyed bronchopulmonary segment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forced vital capacity (FVC), % predicted (r=-0.379, p=0.001) and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_1$), % predicted (r=-0.349, p=0.020). After adjustment for age and smoking status (pack-years), the number of destroyed segments also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FVC, % predicted (B=-0.070, p=0.014) and $FEV_1$, % predicted (B=-0.050, p=0.022). Conclusion: Tuberculous destroyed lungs commonly showed obstructive ventilatory defects, possibly due to bronchiectasis and emphysema.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xtent of destruction and lung function.

폐렴과 급성 호흡부전으로 나타난 흉막의 고립성 섬유성 종양 1예 (A Case of a Solitary Fibrous Tumor of the Pleura Presenting as Pneumonia and Acute Respiratory Failure)

  • 박혜선;곽현정;박동원;구태연;김혜영;박소연;안성은;김상헌;김태형;손장원;정원상;윤호주;신동호;박성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5권4호
    • /
    • pp.334-338
    • /
    • 2008
  • 흉막의 고립성 섬유성 종양은 주로 흉막통, 호흡곤란, 기침 등의 증상으로 발현하거나 무증상으로 발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증례의 환자는 흉막의 고립성 섬유성 종양의 거대한 종괴 영향에 의한 압박증상과 동반된 폐렴, 패혈 쇼크와 급성 호흡곤란의 진행으로 매우 치명적인 임상 양상을 보였으며, 기계환기법과 항생제, 승압제 등의 치료 후에 종양절제술로 호전되었다. 저자들은 흉막의 고립성 섬유성 종양으로 인한 치명적인 임상 경과를 보인 증례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종격동 질환의 비디오 흉강경 수술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for Mediastinal Lesions)

  • 김연수;김광택;손호성;김일현;이인성;김형묵;김학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호
    • /
    • pp.40-45
    • /
    • 1998
  • 종격동은 기관, 식도, 심장 및 주요혈관 등 주장기와 조직으로 이루어진 곳으로 다양한 병변이 발생하며, 종격동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서 외과적 접근방법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해왔다. 최근 흉강경수술 개발은 종격동질환 진단 및 치료에서 새로운 효과적인 수기로 평가받고있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흉부외과에서는 1992년 3월부터 1997년 4월까지 종격동의 병변에 33명의 환자에서 비디오 흉강경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는 남자가 16명 여자가 17명이었으며 연령은 14세부터 69세였고 평균 42세였다. 대상이된 종격동 질환의 해부학적 위치는 전종격동 14례, 중종격동 5례, 후종격동 11례, 상종격동 3례였다. 종격동 질환은 신경초종 9례, 낭성기형종이 5례, 심막 낭종 4례, 신경절신경종 2례,흉선 2례, 흉선낭종 2례, 흉선종 1례, 식도평활근종 2례, 유피종 1례, 지방종 1례, 악성 림프종 1례, 기관지 원성 낭종 1례, 심막 삼출 1례, Boerhaave's병 1례였다. 수술중 작업 창이 필요했던 경우가 6례였다. 개흉수술로 전환한 경우는 6례(24%)로 종양이 커서 개흉수술 전환이 필요했던 경우가 1례, 심한유착으로 인한 개흉수술 전환이 3례, 흉강경으로 접근이 어려웠던 경우가 2례있었다. 평균 수술 시간은 116분($\pm$56분)이었다. 수술후 흉강 드레인 거치기간은 평균 4.7일이었다. 수술후 평균 입원일수는 8.7일이었다. 종격동 각부위의 종양 및 염증성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비디오 흉강경의 적용이 가능하였으며,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종격동 종양 절제술은 안전성, 수술후 통증경감 및 빠른회복 등의 장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굴곡성기관지경으로 진단된 기관지결핵에 대한 고찰 (Flexible Bronchoscopic Observation on Endobronchial Tuberculosis)

  • 최재성;이영현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권1호
    • /
    • pp.161-166
    • /
    • 1985
  • 기관지결핵은 폐결핵 환자의 상당수에서 관찰되며, 폐침윤이 없는 경우에도 기관지폐쇄로 인한 무기폐, 임파선 종대로 인한 종괴의 형성으로 타폐질환과 감별을 요하게 된다. 저자들은 1983년 5월부터 1985년 7월까지 영남대학병원에서 굴곡성 기관지경을 사용하여 기관지결핵으로 진단하였던 25예를 대상으로 그 임상상을 관찰 조사 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1) 25명의 기관지결핵 환자 모두 항결핵제 투약을 받았으며, 이중 호흡곤란이 심하거나 주 기도내에 광범위한 육아종 병변이 있었던 6명에서는, corticosteroid의 투여로 호전을 보였다. 2) 기관지결핵의 진단에 굴곡성 기관지경을 통한 조식검사나 항산균의 도말 및 배양검사가 필수적이다.

  • PDF

기도 이물의 임상적 고찰 (A Retrospective Review of Tracheobronchial Foreign Bodies)

  • 손창영;위정욱;김수옥;오인재;박창민;김규식;김유일;임성철;임상철;김영철;박경옥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8권6호
    • /
    • pp.600-606
    • /
    • 2005
  • Background : The development of bronchoscopic equipment along with the precision of radiographic techniques had reduced the mortality rate of patients with tracheobronchial foreign bodies but has been no change in the incidence of tracheobronchial foreign bodies since their introduc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 tracheobronchial foreign body aspiration an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treatment modality in children and adults. Methods : This is a retrospective review of 64 patients who underwent bronchoscopic procedures for the treatment of aspirated foreign bodies from December 1994 through March 2004 at th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Results : There were 47 males and 17 females, aged from 1 month to 78 years. Most of the patients had no underlying illness except for one patient with a cerebrovascular accident that contributed to the foreign body aspiration. The most common symptom was cough, which was noted in 54 patients (84.3%). The other presenting symptoms were dyspnea (48.8%), fever (20.3%), sputum (14%), vomiting (7.8%), and chest pain (4.6%). Those whose tracheobronchial foreign bodies were diagnosed more than 2 days after the aspiration (21 patients) were more likely to have pneumonia than those whose foreign bodies were diagnosed within 2 days (p = 0.009). Foreign bodies were visualized in the plain chest radiographs in 12 cases (18.8%), while others showed air trapping (21, 32.8%), pneumonia (15, 23.4%), atelectasis (7, 10.9%), and normal findings (9, 14.1%). The foreign bodies were more frequently found in the right bronchial tree (36) compared with the left bronchial tree (22, p = 0.04). In order to remove the foreign bodies, twenty (31.2%) cases were removed using flexible bronchoscopy, while 42 (65.6%) and 2 (3.2%) cases required rigid bronchoscopy and surgery, respectively. Conclusions : Tracheobronchial Foreign body aspiration had a bimodal age distribution in the infancy and old age around 60 years. They were found more frequently in the right bronchial tree. In addition, patients whose foreign bodies were diagnosed more than 2 days after the aspiration were more likely have a infection. Rigid bronchoscopy is the procedure of choice for uncooperative children and for those with foreign bodies lodged deeply in the small bronchial tree.

기도이물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f the Foreign Body in the Air Passage)

  • 조진규;안회영;홍남표;이익재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3년도 제17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3.3-14
    • /
    • 1983
  • 저자들은 1973년 4월부터 1983년 2월까지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이비인후과에서 입원치료한 기도이물환자 24 명을 대상으로 임상적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성별은 남자 17예(71%) 여자 7예 (29%)로 남자에서 2.4 : 1의 비율로 많았고, 연령별은 4세 이하 17예 (71%) 로 전체의 2/3를 차지하였다. 2) 발병후 내원까지의 기간은 24시간 이내 12예(50%), 2~3 일 5예(21%)이었으며, 5개월이 지나서 내원한 예도 1예 있었다. 3) 이물의 종류는 식물성 13예( 54 %), 프라스틱 종류 5예(21%), 어골 3예(13%), 금속성 2예(8%), 치아 1예 (4%)의 순이었다. 4) 개재부위는 기관과 우측 기관지가 각각 9예(38 %), 좌측 기관지와 성문부가 각각 3예(12%)이었다. 5) 내원시 주된 증상은 호흡곤란이 19예 (79%)로 주가 되었고 그외 기침 11예(46%), 발열 9예(38%), 청색증 4예(8%)이었는데 증상이 없는 경우도 2예 (8%) 있었다. 6) 초진시 이학적 소견은 호흡음 감소가 15예(63%) 로 가장 많았고 그외 수포음 6예(25%), 흡기성 천명 5예 (21%), 흉벽 함몰 2예 (8%) 이었고 2예 (8%)에서는 특기할만한 이학적 소견이 없었다. 7) 내원시 단순흉부 X-선 소견은 무기폐 6예(25%), 폐기종 5예 (21%), 확실한 이물음영과 폐렴이 각각 4예(17%), 심장위치의 이동이 3예(13%)이었고 10예(42%)에서는 이상소견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8) 적출방법은 ventilating bronchoscope을 이용하거나 직접후두경을 이용한 경구적적출이 17예 (21%), 기관절개창을 통한 적출이 5예( 21 %), 기관절개창을 통한 자연배출과 개흉술이 각각 1예( 4 %)이었고 적출술 시도회수는 1회로 성공한 예가 20예( 83%), 2회 이상이 4예( 17 %)이었다. 9) 적출술조작으로 인한 합병증은 기관 발거곤란증과 기흉이 각각 2예 ( 8 %)이었다.

  • PDF

기도 이물의 임상통계적 고찰 (A Statistical Study of the Foreign Bodies in the Air Passages)

  • 신기철;이동명;김진영;김홍기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1년도 제15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4.1-4
    • /
    • 1981
  • 저자는 1975년부터 1980년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에 입원치료한 15세 이하의 기도이물환자 74례를 대상으로 임상통계학적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성별 및 연령별로 보면 유소아의 기도이물 74례중 남자 55례, 여자 18례로 남녀비는 3 : 1이며 연령분포는 2세미만이 41.8%로 가장 많고, 3세까지의 증례는 75.5%이었고, 5세까지의 증례는 83.6%이였다. 2) 증상및 이학적 소견에서는 내원시의 증상은 호흡-곤란, 기침, 청색증등이었으며, 6.7%에서는 전혀 증상이 없었다. 초진시의 이학적소견은 흡기의 감소, 천식음, 거친호흡음등이었으며 10.8%에서는 전혀 이학적 소견이 없었다. 3) 내원까지의 시간은 48.6%가 24시간내에 내원하였으나 2년이 지나서 내원한 례도 있었다. 4) 방사선학적 소견에서는 내원시의 단순흉부X-선 소견은 무기폐 25.0%, 폐기종 32.8%, 확실한 이물음영 17.2%이었고. 17.2%에서 정상이었다. 5) 이물의 종류와 개재부위는 기도이물 74례중 식물성 60.8%, 금속류가 17.5%, 프라스틱류 16.2%, 어골류, 2.7% 기타 2.7%이었다. 이물의 개재부위는 우측기관지 40.5%, 좌측기관지 31.0%, 기관 9.4%, 다발성 6.7%이었다. 6) 연령에 따른 이물의 종류를 보딘 5세이하에서는 대부분이 식물성이물이었고, 6∼15세에는 금속류와 프라스틱제품도 있었으며 특히 프라스틱 제품은 10세이상의 남자에 많았다. 7) 이물적출방법을 보면 Ventilating Bronchoscopy 82.3%, 기관절개술 2.7%, 흡입적출 2.7%, 자연배출 1.3%, 개흉술 5.4%, 사망이 5.4%이었다.

  • PDF

우중엽증후군의 원인 -최근 수년간 지역 3차 병원의 경험- (Causes of Right Middle Lobe Syndrome -Recent Experience in Local Tertiary Hospital for Several Years-)

  • 김현옥;마정은;이승준;조유지;정이영;전경녀;김호철;이종덕;황영실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2권3호
    • /
    • pp.192-196
    • /
    • 2007
  • 배 경: 우중엽증후군은 반복적이고 만성적인 우중엽의 허탈을 나타내는 질환으로 그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최근 국내에서 우중엽증후군의 원인에 대한 발표는 부족한 실정이어서 저자들은 최근 수년간 지역 3차 병원에서 경험한 우중엽증후군의 원인과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3년 1월부터 2006년 7월까지 경상대학교 병원에 내원하여 흉부 단순촬영 또는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우중엽증후군이 의심되어 기관지내시경 검사를 시행한 88명의 환자(남:여=22:64, 평균연령: $67.2{\pm}10.3$)를 대상으로 그 원인과 임상적 특징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1) 여자가 64예(72.7%)로 남자보다 많았고 연령별 빈도에서 65세 이상의 고령환자가 58예로 65.9%를 차지하였다. 2) 임상 증상은 기침이 30예(34.1%)로 가장 흔하게 나타났고, 호흡곤란 21예(23.9%), 객담 15예(17.0%), 객혈 11예(12.5%), 흉부통증과 전신 쇠약감이 각각 5예(5.7%)에서 나타났으며, 증상이 없이 우연히 발견된 경우가 8예(9.1%)였다. 3) 흉부 방사선 촬영에서는 무기폐 49예(55.7%), 폐경화 43예(48.9%), 종괴 4예(4.5%) 소견을 보였다. 4) 기관지내시경 검사 소견에서 충혈을 동반한 점막 부종 38예(43.2%), 탄분증을 동반한 점막 부종 16예(18.2%), 점액 매복(mucus impaction) 13예(14.8%), 섬유성 협착 10예(11.4%), 종괴 8예(9.1%), 삼출성 조직 괴사 4예(4.5%), 외인성 압박에 의한 협착 2예(2.3%), 정상 12예(13.6%)로 나타났다. 5) 원인 질환은 결핵이 23예(26.1%, 기관지 결핵 22예, 폐결핵 1예)로 가장 많았고, 염증성 변화에 의한 양성 협착 22예(25%), 탄분섬유화증 13예(14.8%), 폐렴 11예(12.5%), 폐암 10예(11.4%), 점액 매복 3예(3.4%), 기관지 확장증 2예(2.3%), 특별한 이상이 발견되지 않은 경우가 7예(8.0%)이었다. 결 론: 본 연구에서 우중엽증후군은 65세 이상의 환자에서 흔하게 관찰되었으며, 원인은 대부분 양성질환이었고, 그 중 기관지 결핵이 가장 흔한 원인이었다.

폐암 환자의 안정시 에너지 소비 (Resting Energy Expenditure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 이재련;김기범;이학준;정진홍;이관호;이현우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5호
    • /
    • pp.1019-1029
    • /
    • 1997
  • 연구배경 : 폐암 환자에서 체중감소와 영양결핍은 흔히 동반되며 체중감소가 있는 폐암 환자는 체중감소가 없는 환자보다 항암제 치료에 대한 반응이 좋지 않으며 예후도 나쁘다. 폐암환자에서의 체중감소는 안정시 에너지 소비(resting energy expenditure : REE)와 관계가 있다. 저자들은 폐암 환자에서 안정시 에너지 소비자 증가된 빈도를 알아보고 안정시 에너지 소비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처음 진단된 31명의 폐암 환자를 대상을 안정시 에너지 소비를 측정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안정시 에너지 소비량은 ventilated hood system을 사용하여 간접 칼로리측정법(indirect calorimetry)으로 측정하였다. 안정시 에너지 소비량은 칼로리측정기로 측정한 산소 소모량과 이산화탄소 생성량을 이용하여 Weir공식으로 계산하였으며 안정시 에너지 소비량의 예측치는 Harris-Benedict공식으로 구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 안정시 에너지 소비량은 폐암 환자와 대조군에서 각각 $1415.5{\pm}237.0$(Kcal/day), $1253.6{\pm}174.6$(Kcal/day)로 폐암 환자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으며 REE 백분율도 각각 $116.8{\pm}15.8$(%), $100.7{\pm}13.8$(%)로 폐암 환자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다. REE백분율은 흡연, 주 증상의 기간, 폐기능 장애 정도, 무기폐유무, 폐암의 위치 등에 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원격전이 유무에 따라서는 원격전이가 있었던 군과 없었던 군에서 각각 $127.0{\pm}17.3$(%), $113.8{\pm}11.6$(%)로 원격전이가 있었던 군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다. 폐암 환자중에서 과대사 상태와 정상대사 상태사이에 흡연, 주 증상의 기간, 원발암의 용적, 원발암의 기관지 내시경상의 위치, 무기폐나 기관폐색의 유무, 폐암의 병기, 원격적인 유무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폐암 환자에서 안정시 에너지 소비가 비교적 높은 빈도로 증가되어 있었으며 증가된 안정시 에너지 소비는 폐암의 원격천이 유무와 관계가 있었다.

  • PDF

대량객혈 환자에서 기관지 동맥색전술의 효과 : 색전술후 재발의 원인과 예측인자 (Effect of bronchial artery embolization in the management of massive hemoptysis : factors influencing rebleeding)

  • 김병철;김정미;김연수;김성민;최완영;이경상;양석철;윤호주;신동호;박성수;이정희;김창수;서흥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4호
    • /
    • pp.590-599
    • /
    • 1996
  • 연구배경 : 기관지 동맥색전술은 일시적 혹은 영구적인 지혈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지혈효과이외에도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나 수술이 필요한 환자의 경우에 수술전 환자상태를 호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이응퇴고 있다. 저자들은 대량객혈환자에서 동맥색전술의 효과 및 객혈의 재발율을 알아보고 재발된 환자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특징과 임상경과 및 예후를 조사하여 동맥색전술의 유용성을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색전술후에 재출혈이 일어나는 원인과 재발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객혈을 주소로 입원한 환자중 1회 100cc이상, 1일 500cc이상의 대량객혈로 동맥색 전술을 시행한 4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과 혈관조영술 사진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 1)대량객혈의 원인질환으로는 폐결핵(35예), 기관지확장증(5예), 국균종(2예), 폐암(2예) 폐동정맥기형(1예)와 원인미상(2예)이 있었다. 2) 기관지 동맥색전술의 지혈성공율은 94%였으며, 추적관찰중 객혈의 재발은 40%였다. 3) 초기 기관지 동맥조영술 소견상 색전대상이 양측성인 경우, 체측부동맥-폐동맥간단락이 있는 경우, 기관지동맥이외의 체측부동맥이 영양동맥으로 관여한 경우와 과도한 신생혈관형성이 있었던 경우 등 이들 모두에서 재출혈군과 비재출혈군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재색전술을 시행한 경우는 18예(13명)였다. 이들 중 14예(78%)에서 혈관의 재개통이 있었으며, 8예(44%)에서 초기에 색전하지 못하였던 혈관들의 과증식으로 인한 새로운 영양동맥의 형성에 의한 재출혈이 있었다. 5) 동맥색전술의 합병증은 발열, 흉통, 기침, 배뇨장애 등 경미한 합병증이 대부분(27예,87%)이었고, 마비성장폐색, 무기폐, 하반신마비, 비장경색 등 장기합병증이 각각 1예씩으로 13%를 차지하였다. 결론 : 기관지 동맥색전술은 대량객혈시 지혈율이 높고 심각한 합병증의 빈도가 적어 효과적이면서도 비교적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는 치료방법으로 사료된다. 대량객혈시 초기 기관지 동맥조영술 소견으로 색전술후 재발을 예측하기는 어려우며, 재출혈이 있는 경우 대부분의 원인은 이전 색전동맥의 재개통과 새로운 영양동맥의 형성이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