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bronchial artery embolization in the management of massive hemoptysis : factors influencing rebleeding

대량객혈 환자에서 기관지 동맥색전술의 효과 : 색전술후 재발의 원인과 예측인자

  • Kim, Byeong Cheo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Kim, Jeong Me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Kim, Yeon S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Kim, Seong Mi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Choi, Wan 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Lee, Kyeong Sa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Yang, Suck Cheo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Yoon, Ho J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Shin, Dong 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Park, Sung S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Lee, Jung He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Kim, Chang Soo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Seo, Heung Suk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김병철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 교실) ;
  • 김정미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 교실) ;
  • 김연수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 교실) ;
  • 김성민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 교실) ;
  • 최완영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 교실) ;
  • 이경상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 교실) ;
  • 양석철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 교실) ;
  • 윤호주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 교실) ;
  • 신동호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 교실) ;
  • 박성수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 교실) ;
  • 이정희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 교실) ;
  • 김창수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 교실) ;
  • 서흥석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 교실)
  • Published : 1996.08.30

Abstract

Background : Bronchial artery embolization has been established as an effective means to control hemoptysis, especially in patients with decreased pulmonary function and those with advance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We evaluated the effect of arterial embolization in immediate control of massive hemoptysis and investigated the clinical and angi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course of patients with reccurrent hemoptysis after initial succeseful embolization.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predictive that cause rebleeding after bronchial artery embolization. Method : We reviewed 47 cases that underwent bronchial artery embolization for the management of massive hemoptysis, retrospectively. We analyzed angiographic findings in all cases before bronchial artery embolization and also reviewed the angiographic findings of patients that underwent additional bronchial artery embolization for the control of reccurrent hemoptysis to find the clauses of rebleeding. Results : 1) Underlying causes of hemoptysis were pulmonary tuberculosis(n=35), bronchiectasis(n=5), aspergilloma(n=2), lung cancer(n=2), pulmonary A-V malformation(n=1), and unknown cases(n=2). 2) Overal immediate success rate was 94%(n=44), an6 recurrence rate was 40%(n=19). 3) The prognostic factors such as bilaterality, systemic-pulmonary artery shunt, multiple feeding arteries and degree of neovascularity were not statistically correlated with rebleeding tendency (p value>0.05). 4) At additional bronchial artery embolization, Revealed recannalization of previous embolized arteries were 14/18cases(78%) and the presence of new deeding arteries was 8/18cases(44%). 5) The complications(31cases, 66%) such as fever, chest pain, cough, voiding difficulty, paralytic ileus, motor and sensory change of lower extremity, atelectasis and splenic infarction were occured. Conclusion : Recannalization of previous embolized arteries is the major cause of recurrence after bronchial artery embolization. Despite high recurrence rate of hemoptysis, bronchial artery embolization for management of massive hemoptysis is a effective and saute procedure in immediate bleeding control.

연구배경 : 기관지 동맥색전술은 일시적 혹은 영구적인 지혈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지혈효과이외에도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나 수술이 필요한 환자의 경우에 수술전 환자상태를 호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이응퇴고 있다. 저자들은 대량객혈환자에서 동맥색전술의 효과 및 객혈의 재발율을 알아보고 재발된 환자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특징과 임상경과 및 예후를 조사하여 동맥색전술의 유용성을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색전술후에 재출혈이 일어나는 원인과 재발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객혈을 주소로 입원한 환자중 1회 100cc이상, 1일 500cc이상의 대량객혈로 동맥색 전술을 시행한 4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과 혈관조영술 사진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 1)대량객혈의 원인질환으로는 폐결핵(35예), 기관지확장증(5예), 국균종(2예), 폐암(2예) 폐동정맥기형(1예)와 원인미상(2예)이 있었다. 2) 기관지 동맥색전술의 지혈성공율은 94%였으며, 추적관찰중 객혈의 재발은 40%였다. 3) 초기 기관지 동맥조영술 소견상 색전대상이 양측성인 경우, 체측부동맥-폐동맥간단락이 있는 경우, 기관지동맥이외의 체측부동맥이 영양동맥으로 관여한 경우와 과도한 신생혈관형성이 있었던 경우 등 이들 모두에서 재출혈군과 비재출혈군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재색전술을 시행한 경우는 18예(13명)였다. 이들 중 14예(78%)에서 혈관의 재개통이 있었으며, 8예(44%)에서 초기에 색전하지 못하였던 혈관들의 과증식으로 인한 새로운 영양동맥의 형성에 의한 재출혈이 있었다. 5) 동맥색전술의 합병증은 발열, 흉통, 기침, 배뇨장애 등 경미한 합병증이 대부분(27예,87%)이었고, 마비성장폐색, 무기폐, 하반신마비, 비장경색 등 장기합병증이 각각 1예씩으로 13%를 차지하였다. 결론 : 기관지 동맥색전술은 대량객혈시 지혈율이 높고 심각한 합병증의 빈도가 적어 효과적이면서도 비교적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는 치료방법으로 사료된다. 대량객혈시 초기 기관지 동맥조영술 소견으로 색전술후 재발을 예측하기는 어려우며, 재출혈이 있는 경우 대부분의 원인은 이전 색전동맥의 재개통과 새로운 영양동맥의 형성이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