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linical Study of the Foreign Body in the Air Passage

기도이물의 임상적 고찰

  • Published : 1983.05.01

Abstract

A clinical study was done on 24 cases with foreign body in the air passage, who were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of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period from Apr. 1973 to Feb. 1983.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incidence of sex was much higher in male than female and children under 4 years old were predominant. 2) Almost of all patients came in the hospital within 3 days after onset. However one patient came in hospital 5 months later. 3) The variety of foreign body was numerous, among which vegetables and plastic materials were most frequently found. 4) The most common sites of lodgement were trachea and right main bronchus. 5) The common clinical manifestations were dyspnea, decreasing breathing sound and cough. Negative X-ray findings did not exclude a foreign body in the air passage. 6) The important pulmonary complications due to foreign body were atelectasis, emphysema and pneumonia. 7) Foreign body was successfully removed by use of peroral or inferior endoscopy in all cases except one case, on whom thorachotomy was done. 8) The important complications due to the surgical procedure were decannulation difficulty and pneumothorax.

저자들은 1973년 4월부터 1983년 2월까지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이비인후과에서 입원치료한 기도이물환자 24 명을 대상으로 임상적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성별은 남자 17예(71%) 여자 7예 (29%)로 남자에서 2.4 : 1의 비율로 많았고, 연령별은 4세 이하 17예 (71%) 로 전체의 2/3를 차지하였다. 2) 발병후 내원까지의 기간은 24시간 이내 12예(50%), 2~3 일 5예(21%)이었으며, 5개월이 지나서 내원한 예도 1예 있었다. 3) 이물의 종류는 식물성 13예( 54 %), 프라스틱 종류 5예(21%), 어골 3예(13%), 금속성 2예(8%), 치아 1예 (4%)의 순이었다. 4) 개재부위는 기관과 우측 기관지가 각각 9예(38 %), 좌측 기관지와 성문부가 각각 3예(12%)이었다. 5) 내원시 주된 증상은 호흡곤란이 19예 (79%)로 주가 되었고 그외 기침 11예(46%), 발열 9예(38%), 청색증 4예(8%)이었는데 증상이 없는 경우도 2예 (8%) 있었다. 6) 초진시 이학적 소견은 호흡음 감소가 15예(63%) 로 가장 많았고 그외 수포음 6예(25%), 흡기성 천명 5예 (21%), 흉벽 함몰 2예 (8%) 이었고 2예 (8%)에서는 특기할만한 이학적 소견이 없었다. 7) 내원시 단순흉부 X-선 소견은 무기폐 6예(25%), 폐기종 5예 (21%), 확실한 이물음영과 폐렴이 각각 4예(17%), 심장위치의 이동이 3예(13%)이었고 10예(42%)에서는 이상소견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8) 적출방법은 ventilating bronchoscope을 이용하거나 직접후두경을 이용한 경구적적출이 17예 (21%), 기관절개창을 통한 적출이 5예( 21 %), 기관절개창을 통한 자연배출과 개흉술이 각각 1예( 4 %)이었고 적출술 시도회수는 1회로 성공한 예가 20예( 83%), 2회 이상이 4예( 17 %)이었다. 9) 적출술조작으로 인한 합병증은 기관 발거곤란증과 기흉이 각각 2예 ( 8 %)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