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oxidative ability

검색결과 438건 처리시간 0.026초

찰옥수수의 전자공여작용과 페놀성화합물, Tocopherols 및 Carotenoids의 함량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Tocopherols and Carotenoids in Waxy Corn (Zea mays L.))

  • 서영호;김인종;이안수;민황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81-585
    • /
    • 1999
  • 항산화활성이 높은 찰옥수수를 육종하고, 옥수수의 항산화활성에 가장 큰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을 추적하고자, 찰옥수수 자식계통과 재래종의 항산화활성을 측정하고 페놀성화합물, tocopherols, carotenoids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에 의한 항산화활성은 $15.5{\sim}65.0%$였고, 페놀성화합물은 $102.3{\sim}323.5\;{\mu}g/mL$였으며, tocopherols는 $15.6{\sim}144.2\;{\mu}g/mL$였고, A450의 값은 $0.047{\sim}0.206$였다. 4종의 검정찰옥수수는 항산화활성이 48.7%, 페놀성화합물은 $267.0\;{\mu}g/mL$, tocopherols은 $87.0\;{\mu}g/mL$로 상당히 높았다. 항산화활성과 페놀성화합물, tocopherols의 함량과는 고도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carotenoids와는 유의성이 없었다.

  • PDF

오디 추출물의 알코올 분해능 및 항산화 효과 (Study on the Alleviation of an Alcohol Induced Hangover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by Mulberry Fruit)

  • 이은주;배지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04-20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식용 가능한 오디를 용매별로 추출하여 항산화 효과 및 숙취 해소 활성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오디Fig. 1. Contents of ADH ability of each solvent fraction of mulberry fruit extract. 추출물에 들어있는 총 페놀 함량을 정량하였으며, 오디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SOD 유사 활성, TBARS 아질산염 소거능 등을 통하여 오디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고, 알코올 분해능은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assay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오디 추출물의 총 페놀 화합물은 60% methanol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자공여능(EDA)은 오디의 40% ethanol 추출물에서 BHT와 유사한 활성을 나타났고, SOD 유사 활성은 BHT보다 오디 추출물이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오디의 60% ethanol과 40% methanol 추출물이 각각 98%, 97%로 ascorbic acid와 상응하는 결과를 보였다. 알코올 분해능에서는 오디의 60% ethanol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청국장과 된장의 항산화 효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 비교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Fermented Soybean Foods (Chungkukjang, Doenjang))

  • 오현주;김창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2호
    • /
    • pp.1503-1510
    • /
    • 2007
  • 동일 품종의 국산 원료 대두로부터 제조된 증자대두, 청국장과 된장을 동결건조한 후 항산화관련 물질을 측정하고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력 및 아질산염소거능을 조사하였다. 페놀화합물 함량과 총 갈색도는 대두의 발효과정 중에 증가하였으며 청국장보다 된장에서 크게 증가하여 두 시료 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 모든 처리구에서 수용성추출물의 갈색도가 지용성추출물보다 높게 나타났다. 추출물의 linoleic acid 상에서의 과산화물가와 전자공여능 측정에 의한 항산화력과 아질산염소거능은 ME시료군이 WE시료군보다 높았으며, ME시료군 중에서 청국장보다 된장추출물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SOD 유사활성은 동일농도에서 WE가 ME보다 더 높았으며, 청국장WE보다 된장WE가 높은 항산화능을 나타내어 항산화능 측정치간의 다소 상이한 경향을 보였다. 된장이 동일 원료를 사용한 대두, 증자대두, 청국장보다 훨씬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낸 것은 된장의 오랜 발효숙성과정 중에 생성된 페놀화합물과 갈변물질의 증가가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치매유발물질인 염화알루미늄으로 손상된 C6 신경교종 세포주에서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Aster yomena (Kitm.) Extract on C6 Glioma Cell Line Damaged by AlCl3, Dementia Inducer)

  • 서영미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408-416
    • /
    • 2020
  • 본 연구는 치매유발물질의 하나인 염화알루미늄(AlCl3)의 신경독성을 C6 glioma세포를 배양하여 조사하였으며, AlCl3의 독성에 대한 쑥부쟁이[Aster yomena (Kim.), AY] 추출물의 보호효과를 조사하였다. 또한, 세포생존율을 비롯하여 항산화능 분석인 XO 저해능과 SAR-소거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AlCl3는 배양 세포에 처리한 농도에 비례적으로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이 과정에서 XTT50값이 130.0 μM로 나타나 Borenfreund와 Puerner의 독성판정기준에 의하여 중간독성(mid-cytotoxic)으로 나타났다. 한편, 항산화제인 QU는 AlCl3의 독성으로 손상된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또한, AlCl3의 독성에 대한 AY 추출물의 방어효과에 있어서, AY 추출물은 AlCl3만의 처리에 비하여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이와 동시에 XO 저해능과 SAR-소거능과 같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AlCl3의 독성에 산화적 손상이 관여하고 있으며, AY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에 의하여 AlCl3의 독성을 효과적으로 방어하였다. 따라서, AY 추출물과 같은 천연물질은 질환유발제인 AlCl3와 같이 산화적 손상과 관련이 있는 중금속화합물의 독성 완화나 질환의 치료적 개선을 위한 대체물질개발에 있어 유용한 소재인 것으로 생각된다.

차가버섯 용매별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과 Tyrosinase 저해 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ion Effect of Fractions from the Extract of Inonotus obliquus)

  • 임도연;이경인
    • 생약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46-50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tyrosinase inhibition effects of fractions from the distilled water extract of Inonotus obliquus. Moreover, GC-MS based analysis with trimethylsilyl (TMS) derivatization was carried out for active compound in the extract of I. obliquus. In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SC_{50}$ values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was 0.393 mg/ml as a result of the most effective than other fractions. Meanwhile, aqueous fraction showed higher effect in tyrosinase inhibitoty activity. In GC-MS based analysis with TMS derivatization, 7 compounds including syringic acid, vanillic acid and protocatechuic acid were observed in ethyl acetate fraction, and oxalic acid is the main compound in aqueous fractio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oxalic acid in aqueous fraction from the distilled water extract of I. obliquus was a compound showing tyrosinase inhibition effect.

Bioaccumulation Patterns and Ecophysiological Responses of Monochoria korsakowi Exposed to Cadmium

  • Lim, Yang-Hoan;Kim, In-Sung;Shim, Hyo-Jung;Kang, Kyung-Hong;Lee, Eun-Ju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0권3호
    • /
    • pp.125-130
    • /
    • 2006
  • We have examined the bioaccumulation patterns and the ecophysiological responses (photosynthetic pigment and total antioxidative capacity) of Monochoria korsakowi exposed to various cadmium concentrations, one of major environmental pollutants. Cadmium ion contents in M. korsakowi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higher cadmium concentration, and most of the accumulated cadmium was found in the root parts. Biomass of each part decreased with higher cadmium concentration. As cadmium treatment concentration was increased, chlorophyll a content was decreased, whereas chlorophyll b content was increased. However, the variations of total chlorophyll and carotenoid contents were not evident. Total antioxidative capacity in the leaves of cadmium treated M. korsakowi increased greatly with higher cadmium concentration. We considered these results as indicative of the ability of M. Korsakowi plants to take up cadmium from wetlands.

이소플라본의 항산화능에 대한 마늘 추출물의 영향 (Effects of Garlic Extract on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Isoflavones)

  • 강진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851-85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시판하는 naringin, rutin 및 morin 등의 이소플라본을 시료로 하여 환원력, 전자공여능, SOD 유사활성 및 hydroxyl radical 소거능 등의 항산화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실험을 행하였으며 이들에 대한 마늘 추출물의 영향을 함께 조사하였다. 항산화능을 측정한 모든 실험항목에서 대조군으로서 사용한 합성항산화제인 BHA보다 훨씬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이소플라본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도 다소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차이는 크지 않았다. 특히 마늘을 첨가하였을 때는 그 효능이 더욱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마늘의 첨가량을 늘릴수록 그 효능은 더욱 크게 나타났다. 또한 이소플라본 간의 비교에서는 실험항목 별로 특별한 경향은 찾아볼 수 없었는데 환원력에서는 naringin이, hydroxyl radical 소거효과 및 SOD 유사활성에서는 rutin이, 그리고 전자공여능에서는 morin이 다소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소플라본의 항산화적 특성이 매우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작용은 합성항산화제인 BHA보다 우수하여 기능성 식품가공을 위한 주요 소재로서도 유효하게 이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마늘의 섭취가 이소플라본의 항산화적 특성에 상승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식생활의 올바른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는 바이다.

배 품종 및 부위별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Pyrus serotina Fruit in Different Cultivars and Parts)

  • 진영욱;송원섭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98-503
    • /
    • 2012
  • 본 연구는 한국에서 재배되고 있는 한국 배 5 품종의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원황, 선황, 황금배, 추황, 신고 등 5 품종 배의 페놀성 물질을 분석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신고와 추황에서 가장 많았으며, 총 폴라보노이드 함량은 원황, 선황에서 높았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신고에서 가장 높았으며 과육보다는 과피 부분에서 더 양호한 반응을 보였고, 에탄올 용매 추출보다 메탄올 용매 추출시 더욱 좋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원황과 추황에서 가장 좋은 반응을 보였으며, DPPH radical 소거능에서와 같이 메탄올 용매 추출이 에탄올 용매 추출보다 더 좋은 반응을 보였다. 또한 과육 보다는 과피에서 더 좋은 반응을 나타냈으며, pH의 범위가 높을수록 항산화 활성은 낮아졌다. 이러한 결과들로 미루어 볼 때, 생리활성이 높은 일부 한국 배 품종은 향후 천연기능성 식품과 미용소재로 개발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고 판단된다.

비 지질 산화손상에 대한 어성초 뿌리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Houttuynia cordata root on non-lipid oxidative damage)

  • 하대식;김충희;김의경;강정부;김종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25-32
    • /
    • 2007
  • Houttuynia cordata root on non-lipid oxidative damage. The antioxidative efects of methanolic (MeOH) extract of Houttuynia cordata rooton non-lipid, including liposome oxidation, oxidation of deoxyribose, protein oxidation, chelating, scavenging,and 2'-deoxyguanosine (2'dG) oxidation were investigated. Houttuynia cordata root exhibited highantioxidative effect in a liposome model system. The inhibitory effect of MeOH extract on deoxyribosedamage exhibited antioxidative effect and it afforded considerable protection against damage to deoxyribose.In addition, MeOH extract at over 300extracts exhibited metal binding ability for hydrogen peroxide. Furthermore, the oxidation of 2'dG to 8-hydroxy-2-deoxyguanosine was inhibited by MeOH extracts, and scavenging activity for hydroxyl radicalexhibited a remarkable effect. The present results on biological model systems showed that MeOH extractswas effective in the protection of non-lipids against various oxidative model systems.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Capacity of Major Seaweeds

  • Han, Kyung-Hee;Lee, Eun-Joo;Sung, Mi-ky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4권3호
    • /
    • pp.180-183
    • /
    • 1999
  • Seaweeds is a rich sources of dietary fibers exerting a number of physiological properties. However, the reported dietary fiber contents of seaweeds are not consistent and vary widely. Also. a limited number of studies on the biological effects of specific seaweeds have been reported. In this study, water-holding capacity, viscosity and antixidantive activity of major dietary seaweeds were measured to assess their physiological effects. Results showed that total dietary fiber contents ranged from 28 to 51% of dried weight, and large proportions of dietary fiber were insoluble fibers. Water-holding capacity was highest in sea mustard being 1310% , while laver, sea tangle, and green laver exhibited 943, 854 and 815%, respectively. The viscosity of seaweed samples was 20 to 40 cP in sea mustard and sea tangle, while laver and green laver possessed much lower values. All seaweed samples revealed a weak, albeit significant electron donating ability. Also, lipid peroxidation was reduced by 7 to 18%.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antioxidative activity among seaweeds and sample concernations used. These results imply that most commonly used seaweeds possibly exert parts of their physiological effects through their water-holding, gel-forming , and/or antioxidative activit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