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ginates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35초

pH, 전해질의 농도 및 알긴산 분자량이 분리콩단백질의 표면소수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 Electrolyte Concentrations, and Alginate Molecular Weights on Surface Hydrophobicity of Soy Protein Isolates)

  • 임영선;유병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9호
    • /
    • pp.1285-1292
    • /
    • 2016
  • 분리콩단백질(SPI, soy protein isolate) 농도, pH, 전해질의 종류와 농도, alginates의 농도와 분자량이 SPI의 표면소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SPI 농도가 증가할수록 표면소수성은 감소하였다. SPI의 표면소수성이 pH 7.0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가 pH가 7.0을 기준으로 증가 혹은 감소함에 따라 표면소수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SPI의 표면소수성은 NaCl의 농도가 100 mM까지 증가함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지만 더 이상의 농도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CaCl_2$$MgCl_2$의 농도가 각각 50 mM과 30 mM까지 증가할수록 SPI의 표면소수성이 급격히 감소하였지만,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다. Na-alginate의 농도와 분자량의 증가함에 따라 SPI의 표면소수성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Na-alginate의 분자량이 증가함에 따라 표면소수성의 증가속도가 감소하였다.

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rneri)으로부터 추출한 다당의 이화학적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saccharides Purified from Brown Alga Sargassum horneri)

  • 구재근;정성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5호
    • /
    • pp.681-687
    • /
    • 2020
  •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ucoidan and alginate extracted from Sargassium horneri were investigated. The alginates were extracted and purified via three different routes (CaCl2, HCl and ethanol routes), and their rheological properties at various concentrations and temperatures were determined. The yield of fucoidan was 3.08%, and it was mainly composed of fucose and galactose. 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um of fucoidan showed strong absorption band at 1,254 and 827 cm-1 corresponding to the sulfate group. Flow behavior of the alginate solution was characterized using the power-law model. The consistency index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The sodium alginate solution (1.5%) exhibited Newtonian behavior when extracted via the CaCl2 and HCl routes, while it exhibited pseudoplastic behavior when extracted via the ethanol route.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flow behavior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activation energy (Ea), which was obtained using the Arrhenius equation. The Ea value corresponding to the alginate solution decreased with increasing shear rates. The Ea values corresponding to the alginate solutions purified via the CaCl2, HCl, and ethanol routes were 13.54-18.64 kJ/mol, 13.42-19.21 kJ/mol, and 9.51-10.67 kJ/mol, respectively. The low Ea values corresponding to the solutions extracted via the ethanol route suggest that the flow behavior does not depend significantly on temperature.

콜라겐을 알긴산으로 교차 결합시킨 인공진피의 창상치유 효과 (The Wound Healing Effects of Alginate- crosslinked Collagen Dermal Substitute of Artificial Skin)

  • 장재훈;박대환;신정임;안기영;송철홍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3권1호
    • /
    • pp.13-20
    • /
    • 2006
  • Alginate, which is isolated from brown seaweed, is a bioabsorbable long chain polysaccharides, ${\beta}$-D-mannuronic acid and ${\alpha}$-L-guluronic acid. The authors produced alginates and alginate-colllagen as a disc form. Then, to evaluate the efficacy of alginate and alginate-collagen complex as a wound healing material, three full-thickness skin defects of 2 cm in diameter were made at the back of the New Zealand white rabbits. Three groups of dressing materials-alginate, alginate-collagen complex and vaseline gauze as control group - were applied on the wound and the results were evaluated grossly and histopathologically. The authors compared gross findings of sizes of healed wound, wound epithelization and wound contraction by tracing the remaining wound area at 5th, 10th, 15th, 20th, 25th day after wound introduction, and wound biopsy was performed at 3rd, 7th, 14th, 21st day, respectively. Alginate and alginate-collagen complex showed statistically higher percentage of wound contraction and wound healing compared to control group(p<0.05). Alginate-collagen complex showed statistically higher percentage of wound contraction, epithelization and wound healing compared to alginate alone. In conclusion, the result suggests that alginate has a good effect of wound healing and that alginate-collagen complex is more effective in wound healing than alginate alone.

해조류 기반 엘리시터 처리에 의한 꽃송이버섯의 GABA 함량 증가 및 흥분성 신경세포의 수상돌기 발달 억제 (Enhanced GABA content from sodium alginate-induced Sparassis latifolia influences dendrite development in primary cortical neurons)

  • 최문희;기성환;이성은;이금화;신현재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75-283
    • /
    • 2019
  • Sparassis latifolia is a fungus abundant in β-glucan and amino acids and is highly valued as a medicinal mushroom. Among amino acids, γ-aminobutyric acid (GABA) is a free amino acid and has biological effects, such as increase/decrease of hypertension, improvement of cerebral blood flow, and prevention of dementia. In this study, biological elicitors were used to increase bioactive substances as a biofortification method. Sodium alginate extracted from seaweed (Sargassum horneri, Sargassum fulvellum, Sargassum fusiforme) were used as the elicitor. The levels of β-glucan and GABA in the mycelium and fruiting body grown by adding the elicitor to the medium were investigated. Addition of sodium alginate positively affected GABA production and negatively affected the β-glucan production in these fungi. Sodium alginates extracted from S. fulvellum induced the highest increase in GABA in the mycelium and fruiting bodies. Moreover,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extracts from mycelium and fruiting bodies on dendrite development in primary cortical neurons. We found that the extract from the fruiting bodies of sodium alginate treated fungi with increased levels of GABA inhibited the dendrite outgrowth of excitatory neurons, but not inhibitory neurons.

저분자 알긴산을 이용한 fish oil의 microencapsulation (Microencapsulation of Fish Oil by Low-molecular Weight Sodium Alginate)

  • 조민;김병용;백무열;임종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730-735
    • /
    • 2005
  • 정제어유의 산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피하기 위해 유화법을 이용한 알긴산 캡슐을 제조하고 캡슐을 구성하는 염화칼슘. 알긴산, 정제어유 그리고 유화제의 농도 그리고 피복물질로서의 저분자 알긴산이 캡슐의 수율에 미치는 특성을 살펴보았다. 염화칼슘 농도에 따른 캡슐의 수율은 0.5%까지는 증가하지만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변화가 없었고, 알긴산 농도는 1.25%까지 수율이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1.5%에서 감소하였다. 내부물질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캡슐의 봉입율도 높아졌고, 0.25-1.0%의 유화제 농도에서는 94%의 수율로 일정하게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가장 높은 수율을 얻기 위한 유화 캡슐화 공정의 적절한 조건을 염화칼슘: 0.5%, 알긴산: 1.25%, 내부물질: 0.75%, 유화제: 0.75%로 결정할 수 있었다. 또한 감마선에 의해 저분자화 된 알긴산을 피복물질로서 캡슐공정에 적용하였을 경우 캡슐의 수율 변화가 거의 없어 고분자 알긴산을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해조분말 추출물의 건조방법에 따른 품질 및 항산화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Properties in Spray-dried and Freeze-dried Powder Prepared with Powdered Seaweed Extracts)

  • 김재원;권유리;윤광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716-72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해조분말의 산업적 활용을 위하여 미역, 다시마 열수 추출물을 분무건조 및 동결건조한 분말에 대한 품질 및 항산화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미역 추출물의 분무건조 및 동결건조 수율은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반면, 다시마에서는 동결건조에서 월등히 높았다. 수분함량은 분무건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색도는 분무건조가 동결건조에 비하여 $L^*$ 값 및 hue angle 값은 낮고 $a^*$ 값 및 $b^*$ 값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흡습특성에서는 분무건조 분말이 동결건조 분말에 비하여 낮은 흡습성을 나타내었다. 미역, 다시마의 alginates 함량은 전반적으로 분무건조 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역시 분무건조가 동결건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 SOD 유사활성, 아질산염 소거능 및 지질산패 억제능은 미역, 다시마 모두 농도증가에 따라 활성이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분무건조물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Increased Sensitivity to Chloramphenicol by Inactivation of manB in Streptomyces coelicolor

  • Rajesh, Thangamani;Song, Eunjung;Lee, Bo-Rahm;Park, Sung-Hee;Jeon, Jong-Min;Kim, Eunjung;Sung, Changmin;Lee, Jae-Hun;Yoo, Dongwon;Park, Hyung-Yeon;Kim, Yun-Gon;Kim, Byung-Gee;Yang, Yung-H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10호
    • /
    • pp.1324-1329
    • /
    • 2012
  • Phosphomannomutase (ManB) is involved in the biosynthesis of GDP-mannose, which is vital for numerous processes such as synthesis of carbohydrates, production of alginates and ascorbic acid, and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of proteins. Here, we discovered that a deletion mutant of manB (BG101) in Streptomyces coelicolor (S. coelicolor) showed higher sensitivity to bacteriostatic chloramphenicol (CM) than the wild-type strain (M145), along with decreased production of CM metabolites. Deletion of manB also decreased the mRNA expression level of drug efflux pumps (i.e., cmlR1 and cmlR2) in S. coelicolor, resulting in increased sensitivity to CM. This is the first report on changes in antibiotic sensitivity to CM by deletion of one glycolysis-related enzyme in S. coelicolor, and the results suggest different approaches for studying the antibiotic-resistant mechanism and its regulation.

탈미네랄 골분이 비율별로 포접된 알지네이트 미세캡슐을 이용한 조직공학적 연골재생 (Effect of Ratio of Demineralized Bone Powder with Alginate Microcapsules on Articular Cartilage Regeneration)

  • 김아람;김혜민;이정근;이지혜;송정은;윤건호;이동원;강길선
    • 폴리머
    • /
    • 제36권6호
    • /
    • pp.768-775
    • /
    • 2012
  • 해조류로부터 얻어지는 알지네이트는 캡슐화된 세포의 생존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며 살아있는 세포를 신속하게 포접하여 캡슐화할 수 있어 세포이식을 위한 생체재료 분야에 널리 쓰인다. 탈미네랄화된 골분(DBP)은 천연 뼈조직으로부터 유래되어 조직과의 반응정도가 낮고 항원성 또한 낮아 임상에 적용되어 사용되어 왔다. 알지네이트에 비율별 DBP을 포함시켜 연골세포를 파종한 뒤 미세캡슐을 제조한 후 MTT 분석을 통하여 세포의 부착 및 증식률을 관찰하였고 glycosaminoglycan(sGAG)와 콜라겐 함량 측정과 연골세포의 특정유전자 표현형을 확인하기 위하여 PCR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골세포가 파종된 알지네이트 미세캡슐을 누드마우스의 피하에 이식한 뒤 적출하여 면역화학적 염색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1%의 DBP를 함유한 알지네이트 미세캡슐에서 가장 높은 세포 증식률을 보였고 표현형 유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번 연구 결과를 토대로 알지네이트와 DBP를 이용한 미세캡슐을 제조함으로써 DBP내의 성장인자와 알지네이트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연골세포의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생체공학적 지지체로 적합할 것으로 예상된다.

pH와 천연 다당류 고무질이 분리대두단백질의 거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 and Natural Polysaccharide Gums on the Foam Stability of Soy Protein Isolate)

  • 양승택;김미숙;박춘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82-491
    • /
    • 1992
  • 천연 다당류 고무질을 식품에 확대 이용하고자, sodium alginate, gum karaya 및 gum arabic을 가지고 pH 및 농도별로 SPI에 작용시켜 거품특성을 실험하였다. 표면장력은 3종의 고무질을 농도별로 첨가시 전체적으로 SPI의 등전점(pH 4.5) 부근인 pH 4.0 및 5.0에서 각각 $39.9{\sim}44.1$$41.7{\sim}44.8\;dyne/cm$이었고, pH 7.0 및 8.0에서는 각각 $43.9{\sim}46.4$$44.6{\sim}46.9\;dyne/cm$로써 전체적으로 대조구보다 다소 높았으며 pH 4.0 및 5.0에서가 pH 7.0 및 8.0에서 보다 다소 낮았다. 비점도는 pH 7.0 및 8.0에서 전체를 통하여 각각 $3.6{\sim}51.8$$4.0{\sim}51.2$이었으며, 특히 sodium alginate를 농도별로 첨가 시 pH 7.0 및 8.0에서 각각 $11.5{\sim}51.8$$10.1{\sim}51.2$로써 대조구에 비하여 크게 증가하였다. 거품형성능(overrun)은 15분 whipping시, 고무질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pH 4.0 및 5.0에서 각각 $965.7{\sim}1689.0$$1182{\sim}1413%$이었고, pH 7.0 및 8.0에서 각각 $804.7{\sim}1018.0$$795.0{\sim}962.3%$로써 전체적으로 대조구보다 낮았으며 pH 4.0 및 5.0에서가 pH 7.0 및 8.0에서보다 높았다. 거품안정성(drainage)은 고무질 종류 및 농도에 따라 pH 4.0(대조구, 66.8분) 및 5.0(대조구, 53.4분)에서 각각 $22.7{\sim}41.41$41.5{\sim}83.8$분이었고, pH 7.0(대조구, 20.4분) 및 8.0(대조구, 19.7분)에서 각각 $18.2{\sim}104.7$$21.0{\sim}84.6$분이었으며, 특히 sodium alginate 첨가시 효과가 현저하였으며 0.2% 첨가시 pH 5.0, 7.0 및 8.0에서 각각 대조구의 57, 413 및 315% 증진되었다. 거품의 열안정성은 15분 whipping시, pH 4.0(대조구, 30.2%) 및 5.0(대조구, 23.7%)에서 각각 $0{\sim}38.0$$0{\sim}57.0%$이었고 pH 7.0(대조구, 39.6%) 및 8.0(대조구, 43.6%)에서 각각 $0{\sim}59.4$$36.6{\sim}58.4%$이었으며 sodium alginate 첨가시가 가장 양호하였다. 전체적으로 보아 거품안정성이 높은 것은 열안정성도 높은 경향이며, 표면장력이 낮으면 거품형성능이 높아지고, 비점도가 높으면 거품안정성 및 열안정성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 PDF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KJ-2 균주로부터 얻은 PolyMG-specific 알긴산분해효소의 상동성 모델링 및 활성자리 연구 (Homology Modeling and Active Sites of PolyMG-specific Alginate Lyase from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KJ-2)

  • 김희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28-136
    • /
    • 2014
  • 알긴산은 ${\alpha}$-L-guluronic acid와 ${\beta}$-D-mannuronic acid가 (1-4) 결합한 선형 산성다당류이다. 알긴산은 다양한 알긴산 분해효소들에 의하여 분해되는데 ${\beta}$-제거반응으로 비환원 말단에 이중결합이 있는 불포화 우론산 올리고머가 생산된다. 본 연구실에서는 이전에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KJ-2로부터 새로운 구조를 가진 polyMG lyase를 재조합하였다. KJ-2 polyMG lyase의 단백질구조를 예측하기 위하여 상동성 모델링을 한 결과 Azotobacter vinelandii가 생산하는 세 종류의 polyMG lyase들이 모두 PL7 family에 속하는 반면 KJ-2 polyMG lyase는 PL6 family에 속하였다. 또한 $^1H$-NMR spectra를 분석한 결과 polyMG lyase는 M-${\beta}$(1-4)-G 당쇄결합을 분해하고 G-${\alpha}$(1-4)-M 결합은 거의 분해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측된 polyMG lyase 모델을 기초로 하여 14군데 아미노산 잔기를 선택하였으며 17개의 돌연변이체를 만들어 알긴산 분해효소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Lys220Ala, Arg241Ala, Arg241Lys및 Arg265Ala 돌연변이체들은 완전히 알긴산 분해효소의 활성을 잃었으며 Arg155Ala, Gly303Glu 및 Tyr304Phe 돌연변이체들의 분해활성은 19.1-39.3%까지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Arg155, Lys220, Arg241, Arg265, Gly303 및 Tyr304 들은 알긴산 분해효소의 촉매활성과 기질결합에 중요한 잔기들임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