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gebraic thinking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2초

초등수학영재들이 페그퍼즐 과제에서 보여주는 대수적 일반화 과정 분석 (Analysis of the Algebraic Generalization on the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ocess of Solving a Line Peg Puzzle)

  • 송상헌;임재훈;정영옥;권석일;김지원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163-177
    • /
    • 2007
  • 이 연구는 일반화라는 대수적 사고 요소에 초점을 맞추어 대수적 상황으로 문제 해결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제시한 특정 과제에서 초등수학영재들이 보여주는 대수적 일반화 사고 과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초등수학영재들은 자신의 생각을 문자식으로 표현하고 문자 언어를 활용하여 답안을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지는 않았기에 표를 통한 수치의 귀납적인 규칙을 찾기보다 다이어그램이나 관계식을 사용한 포괄적인 예를 통해 보다 일반적인 구조를 파악하려는 경향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잘 구조화된 스키마를 가진 아동이라도 개인적 특성에 따라서는 자신이 일반화한 결과를 특수한 경우에 적용시킴 봄으로써 자신의 결과를 검증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변수 일반화 과제의 경우는 비록 일반적 패턴을 추정할 수는 있을지라도 그것을 정당화하는 과정에서는 어려움을 겪고 있음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 수학영재교육에의 몇 가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PDF

패턴의 유형에 따른 학생들의 일반화 방법 조사 -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중심으로 - (Examining the Students' Generalization Method in Relation with the Forms of Pattern - Focused on the 6th Grade Students -)

  • 이명기;나귀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4권3호
    • /
    • pp.357-375
    • /
    • 2012
  • 본 연구는 증가패턴의 유형에 따른 6학년 학생들의 일반화 방법의 특징을 조사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ax, x+a, ax+c, ax2, ax2+c 유형과 관련된 총 6개의 문항들로 검사지를 구성하였으며, 이 검사지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90명의 일반화 방법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대수적 일반화와 관련하여 학생들은 ax유형에서 가장 높은 대수적 일반화 수행 정도를 나타냈고, 그 다음으로는 ax2, x+a, ax+c, ax2+c의 순서로 낮은 수행 정도를 나타냈다. 또한 학생들의 일반화 수행 정도는 동일한 패턴 유형이라고 하더라도 패턴의 맥락에 따라 큰 차이가 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는 바, 학생들의 패턴 일반화 활동을 더욱 풍부하게 하기 위해서는 가능하면 다양한 맥락의 패턴을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원의 방정식에서의 오류 극복 학습에 관한 연구 - 고등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the Types of Errors in Mathematics and How to Overcome the Errors in the Area of the Equation of a Circle in the High School)

  • 한경민;고상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1호
    • /
    • pp.57-81
    • /
    • 2014
  • 본 연구는 고등학교 원의 방정식에서 나타나는 오류유형을 바탕으로 우수고교의 미성취학생들의 오류의 극복과정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학생들이 문제를 풀 때 그들이 도달한 현 단계를 자주 잊어버려서 문제풀이 전에 계획을 다시 복습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특히 문제해결 과정 생략오류와 잘못된 결론의 오류들이 현저히 감소하였는데 그들은 귀납적 수업모형을 바탕으로 한 수업에서 문제에 대한 대수식과 그림을 통해 수학적 개념, 원리, 그리고 식을 이해하였고 이런 탐구중심의 활동에서 수학적 내용을 매우 논리적으로 잘 해결하였다.

  • PDF

방정식의 문제 만들기 활동에서 문제구조를 중심으로 문제해결에 관한 연구 (A Case Study on Students' Problem Solving in process of Problem Posing for Equation at the Middle School Level)

  • 고상숙;전성훈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109-128
    • /
    • 2009
  • 2006년에 발표된 7차 수학과 개정시안의 교수학습활동에서는 더욱 확장된 문제해결능력과 창의적 사고로 나아가도록 문제 만들기 활동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는 Polya의 문제 만들기 전략에 따른 문제 만들기 수업을 통해 학생의 문제해결 과정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교수 학습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학생의 학습과정을 조사하는 것이므로 정성연구방법을 선택하여 중학교 방정식 내용을 중심으로 5차시에 걸친 문제 만들기 활동을 구성하여 중학교 2명의 협력학습과정을 관찰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문제해결에서 주어진 것과 구하려는 것을 알고 관계식을 세워서 알고 있는 수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풀이하는 과정에서 수학성적이 우수한 학생은 문제구조를 잘 파악하고 유사한 문제 또는 새로운 문제를 만들 때 자유롭게 변인을 구성하였는데 이렇게 문제의 외적구조를 정확히 파악한 배경에는 문제의 내적 구조와 관련깊은 대수적 사고가 잘 형성된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문제를 해결할 때 주어진 것과 구하려는 것의 각각의 변인을 바꾸거나 첨가하여 새로운 문제를 구성할 때 학생들은 자신이 해결한 문제를 다시 보게 되어서 반성적 사고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 PDF

비(非)구조화된 정도에 따른 비례 문제 유형에서 나타난 초등학생의 비례추론에 관한 연구 (Children's Proportional Reasoning on Problem Type of Proportion according to Ill-Structured Degree)

  • 김민경;박은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719-743
    • /
    • 2013
  • 대부분의 초등학생이 어려워하는 개념 중 하나인 비례추론은 이후 함수적 사고, 대수적 사고, 그리고 수학적 사고에 연결되는 본질적인 개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비례추론의 발달 단계를 분석하기 위해 서로 다른 비례문제를 적용하여 비례추론의 발달 단계에 비례문제의 유형과 문제의 비(非)구조화된 정도가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학생들의 구체적인 문제해결 과정을 통해 살펴보았다.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비례추론의 발달단계를 분석한 결과, 과반수의 학생이 모든 문제에서 비례적 추론 단계로 나타났으며 문제에 따라 서로 다른 다양한 비례추론의 발달단계가 나타났다. 특히, 수리적 비교 문제보다 미지값 구하기 문제에서 과도기 비례적 추론의 발달단계가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 PDF

수열의 교수.학습을 위한 교수단원 소재 연구 - 다각수와 각뿔수 (A study on teaching unit material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sequences - polygonal numbers and pyramidal numbers)

  • 박교식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4권3호
    • /
    • pp.361-373
    • /
    • 2002
  • In this paper, a series of tasks related on polygonal numbers and pyramidal numbers are suggested for using them as teaching unit materials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sequences in junior high school mathematics. Especially, finding n-th term in those seque-nces, relations among polygonal numbers, and relations among Pyramidal numbers are focused on. A series of tasks related on polygonal numbers and pyramidal numbers have three math-eucational values. First, they have a value as natural materials for teaching and teaming of finding nth term of original sequences using pro-gression of differences. Second, they have a value as materials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al thinking such as general-ization, analogy, etc. Third, they have a value as materials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algebraic operation, proof, and connecting mathematical knowledges.

  • PDF

Name, Quilt and Transformation Geometry

  • Lee Brenda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9권3호
    • /
    • pp.285-294
    • /
    • 2005
  • The author has been teaching with an instructional module consisting of many mathematical concepts, based on designs formed by personal names or words to arouse students' interesting in learning mathematics. This module has been growing since it was first used as a supplementary lesson for calculus students. Now it consists of concepts that connect with mathematical topics such as number sense, algebraic thinking, geometry, and statistical reasoning, as well as other subjects such as art and quilt design. With its content we can provide our students the basic mathematical knowledge needed for further study in their own fields. In this article, we will demonstrate the latest development of this instructional module, which makes connections between mathematical knowledge and the design of personal quilt patterns. We will exhibit a 'Quilt of Nations' which consists of the designed quilt blocks of different countries, such as USA, Japan, Taiwan, Korea and others, as well as a quilt design using the abbreviation of this seminar. Then we will talk about how the connections are built, and how to design these mathematically rich, uniquely created, beautifully designed, and personalized quilt block patterns.

  • PDF

누승적 멱등 유니놈 논리와 선표성 (Involutive Idempotent Uninorm Logics and Pretabularity)

  • 양은석
    • 논리연구
    • /
    • 제22권3호
    • /
    • pp.397-415
    • /
    • 2019
  • 이 글에서 우리는 퍼지 논리의 선표성 성질을 다룬다. 이를 위하여 먼저 누승적 멱등 유니놈 논리 IdIUL과 IUML 체계를 소개하고 IdIUL 체계와 우리에게 이미 알려진 $RM^T$ 체계의 관계를 다룬다. 다음으로 IUML은 선표성을 만족하지만 IdIUL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보인다.

함수방정식의 유래 (On Functional Equations)

  • 이상욱;고영미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153-164
    • /
    • 2021
  • A functional equation is an equation which is satisfied by a function. Some elementary functional equations can be manipulated with elementary algebraic operations and functional composition only. However to solve such functional equations, somewhat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is required, so that it is educationally worth while teaching functional equations. In this paper, we look at the origin of functional equations, and their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meaning and effects. We carefully suggest the use of the functional equations as a material for school mathematics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