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ffective commitment

검색결과 242건 처리시간 0.028초

정보보안 종사자의 정서성과 조직몰입이 직무만족 및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Affectiv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Job Satisfaction and Work Performance of Information Security Professionals)

  • 김준환;문형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225-234
    • /
    • 2018
  • 본 연구는 정보보안 종사자가 경험하는 감정적 반응인 정서성(긍정 정서 vs. 부정 정서)과 조직몰입이 직무만족 및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 기업에서 근무하고 있는 정보보안 종사자 174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자료를 통해 구조방정식모형 (SEM)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긍정정서는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정서는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조직몰입이 직무만족 및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모두 유의적인 정적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정보보안 종사자의 긍정적인 정서 측면이 직무만족 및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의미를 두고 있다.

조직특성과 관계특성이 관계성과에 미치는 영향: 신뢰 차원과 결속 차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on Relational Performance: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the Dimensions of Trust and Commitment)

  • 성민;오세조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2권1호
    • /
    • pp.1-31
    • /
    • 2007
  • 이 연구는 조직특성 및 관계특성 변수들과 관계성과 간에서 신뢰와 결속 차원의 매개효과 정도가 어떻게 상이한지를 파악하고, 관계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기업의 관계관리 메커니즘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국내 자동차 산업을 배경으로 하여 구매업체인 대리점과 공급업체인 자동차 영업본사의 관계에서 대리점의 관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샘플들은 국내 자동차 산업의 선두업체와 거래하고 있는 대리점들 중에서 115개의 대리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한 결과, 가설에서의 예상과 같이 대리점의 신뢰 차원인 신용에 대한 신뢰와 호의에 대한 신뢰를 증가시키는 본사 관련 조직특성 및 관계특성 변수들의 영향력의 정도가 상이했고, 대리점의 결속 차원인 계산적 결속과 정서적 결속을 증가시키는 호의에 대한 신뢰의 영향력과 대리점의 관계성과를 증가시키는 결속 차원의 영향력 모두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결속 차원을 증가시키는 신용에 대한 신뢰의 영향력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외에 등가제약 모형과 자유모형간의 $X^{2}$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검증하는 카이자승 차이 검증을 실시하여 경로계수의 상대적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신뢰 차원 중 호의에 대한 신뢰가 결속 차원에 대해서 상대적 효과가 있으나, 결속 차원은 관계성과에 대해 상대적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 연구의 이론적 의의와 관리적 시사점들이 논의되었고, 연구의 한계점들과 향후의 연구방향들이 제시되었다.은 없었다. 위의 결과들을 고려해 볼 때 atlas의 장축의 시계방향 회전은 액티베이터의 사용 효과로 생각되며, 이는 차후 II급 부정교합자에서 액티베이터 치료 효과를 판단하는 또 하나의 지표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인해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대륙이 태평양판 쪽으로 밀려감으로써 섭입하던 태평양판의 각도가 급해져 동아시아 연변에 강력한 흡입력이 발생하였으며, 이 때문에 태평양판의 운동 방향이 북북서에서 서북서방향으로 회전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약 51 Ma부터 한반도 동남부에는 지판 경계의 강력한 흡입력으로 동서 내지 서북서-동남동의 인장력이 작동되어 B그룹 암맥군이 관입한 것으로 해석된다.Ledge는 세 군 모두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4. 파일 binding 횟수는 MC군이 가장 적고 PT군이 가장 많았다 (p < 0.05). 이상의 결과를 볼 때, Mtwo 전동 파일을 crown-down technique으로 사용하는 것이 single length technique과 유사한 성형 효율을 보이면서도 더 안전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1명(3%)에서 원격전이를 보였다. 치료 중 급성 합병증으로 11명(37%)에서 RTOG grade 1-2의 장염을 보였으며 1명은 대장의 천공이 발생하여 수술로 치유되었다. 12명(40%)에서 RTOG grade 1-2의 급성 방광염을 보였다. 3명(10%)에서 RTOG grade 1-2의 백혈구 감소증이 보였으며 1명에서 심한 백혈구 감소증(RTOG grade 4)이 나타났으나 회복되어 치료를 완료하였다. 만성 합병증으로 5명(15%)에서 RTOG grade 1-2의

  • PDF

인공지능을 활용한 해안사구 식물 탐구 프로그램이 초등 과학영재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ield Trip Learning Program on Plant Inquiry in Coastal Dun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on the Affective Domain of Gifted Elementary Science Studentt)

  • 변정호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6권1호
    • /
    • pp.53-65
    • /
    • 2022
  • 야외에서 이루어지는 과학 탐구학습은 이론적으로 학습한 내용의 구조화 및 적용에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며, 개방적인 사고를 유발함으로써 다양한 탐구활동의 경험을 유발한다. 또한 현장의 다양성과 특수성을 통해 제공되는 실제 경험은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특히 경험적 학습의 맥락에서 생물에 대한 야외 학습프로그램은 실물 관찰 및 생태적 학습 경험의 제공 측면에서 필수적인 과정에 해당한다. 반면, 야외 탐구활동을 위해서는 전문적인 기본 소양과 해결되어야 하는 선행과제들이 존재하며, 이로 인해 실제 교육현장에서 잘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야외 탐구와 관련된 전문소양을 보조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직접 학생들이 생성하고 활용하여 쉽고 빠르게 의사결정할 수 있으며, 다양한 식생 분포로 생태학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해안사구 식물을 탐구 대상으로 하는 야외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들을 고찰하여 활동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개발한 프로그램의 경험이 초등 과학영재 학생들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사례 적용을 통해 확인하였다. 활동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 개발한 프로그램은 초등 과학영재 학생들의 동기수준, 과제집착력, 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해안사구 식물을 탐구하는 야외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었으며, 개발된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긍정심리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수준과 팀 수준 요인에 관한 연구 (A multi-level analysis of the individual and team-level effects on psychological capital)

  • 한주희;임규혁
    • 지식경영연구
    • /
    • 제13권5호
    • /
    • pp.91-111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son-organization fit(PO fit) and person-job fit(PJ fi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t both team-level and individual-level. Present study intends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empirical analysis of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s. This is expected to strengthen the basis of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studies and provide the foundation to integrate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to the actual organization.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ultiple domestic organizations and composed 47 team-level and 244 individual-level data. For the analysis, hierarchical linear modelling(HLM)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PO fit and PJ fit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t both team-level and individual-level. Also,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s and behaviors of the members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 behavior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ccording to the results as follows. Positive relationships of psychological capital with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variables, it is necessary for the management to magnify the strength of members in the actual operation at the organization level. Such the managemen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an be suggested as a new approach method for achievement of the organization's goals and visions.

  • PDF

Resilience Perceived by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cholar Families in the United States: Family Demands, Capabilities, and Adaptation

  • Lee, Jinhee;Danes, Sharon M.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16권1호
    • /
    • pp.11-23
    • /
    • 2015
  • Although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scholars are among the largest groups of international students/scholars on most campuses in the United States, little is known about what types of demands their families face and how they adapt successfully in the face of deman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family resilience, which consists of family demands, capabilities, and adaptation, perceived by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cholar families, being theoretically guided by the Family Adjustment and Adaptation Response (FAAR) model.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ace-to-face interviews with couple informants. Following procedures of theory-based content analysis, data were analyzed using key FAAR concepts. Findings showed that most informants reported normative types of family demands such as hardships due to childcare; primary family capabilities were "maintaining social integration," "affective and instrumental communication," and "family cohesiveness," and "nurturance, education, and socialization" was the primary family adaptation mode. New categories under family capabilities, "religious commitment" and "transnational family support" were developed. Th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unique set of family capabilities that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adaptation of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cholar familie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패션상품 소비자가 인식하는 상표관계본질(BRQ)의 개념적 구조 (제1보) (The Conceptual Structure of Brand Relationship Quality(BRQ) Perceived by Fashion Product Consumers (Part 1))

  • 채진미;이은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7호
    • /
    • pp.1020-1029
    • /
    • 2007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BRQ(Brand Relationship Quality) construct perceived by fashion product consumers. BRQ, Fournier suggested in 1994, examines the depth and intensity of the enduring association formed by the pattern of interactions enjoining consumers and brands. As BRQ was supposed to reflect consumers' psychological process, qualitative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were conducted together. For qualitative research, two kinds of interviews were carried out in October and November 2005 to investigate consumers'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insight towards brands. One of them was in-depth interview with six people in different life situation. The other was focus group interview. Interviewees were asked to explain about two types of questions: (1) the brand name which interviewees had bought and (2) the description of interviewees' feeling and thought for the brand which the interviewees had bought assuming the brand was the person.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analyzed. Finally, it was proved that fashion product consumers had various kinds of relationship with brands, and BRQ facets including 'love', 'self-connection', 'nostalgia', 'intimacy', 'trust', 'commitment', 'symbol', and 'mystery' were identified.

비인격적 감독이 종업원의 보안준수의식에 미치는 영향: 조직공정성과의 상호작용 (The Influence of Abusive Supervision on Willingness to Comply with the Security Policy: the Moderation of Organizational Justice)

  • 김영수;최영근;유태종;유진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1243-1250
    • /
    • 2016
  • 본 논문은 조직내에서 나타나는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종업원들이 정보보안 정책을 준수하려는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영향 관계를 종업원들이 인식하는 조직공정성이 조절하는 효과도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한 결과, 비인격적 감독은 조직 내의 정서적 사회적 유대감을 낮추고, 조직원들이 조직의 정보보안정책을 준수하려는 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조직공정성은 비인격적 감독과 보안정책 준수의도 사이의 부정적 관계를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분배공정성이 높을수록 부정적 관계가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칼수출업체에 대한 특성인식이 관계품질과 강도에 미치는 영향 - 제공특성, 대인적특성, 관계특성을 중심으로 - (Exploring Factors Affecting Relationship Quality and Strength in Local Exporters)

  • 윤만희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9권3호
    • /
    • pp.33-7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기업간 거래 관계의 품질과 강도를 결정함에 있어서 제공조건이 중요한지, 아니면 상대하는 사람이 중요한지 혹은 관계적 특징이 중요한지 여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주요 선행 특성요인을 제공특성(제공조건), 대인적 특성(상대업체 경영자의 유사성, 전문성), 관계 특성(관계기간, 협력, 의존성)으로 분류하고, 이들 특성이 관계품질과 강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로칼수출업체-섬유염색나염업체 거래관계 상황에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관계기간을 제외한 모든 특성변수는 관계품질 변수(신뢰와 몰입)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을 줄 뿐 아니라 관계강도에 대해서도 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상대업체 경영자로부터 인식하는 유사성은 관계품질 형성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업간 의존성은 관계품질이나 관계강도에 대해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기업간 거래에서 자원의존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관계강도에 대해서는 관계품질과 같은 정서적 판단이 유의하게 작용하며, 특히 신뢰변수는 제공특성과 같은 수단적·경제적인 변수에 비해 훨씬 강력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 PDF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의 도덕 판단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of the Moral Judgement of Science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손정우;배미진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1호
    • /
    • pp.196-204
    • /
    • 2014
  • 영재성에는 인지적 특성과 함께 비인지적 특성이 포함되어있다. 그동안 영재교육에서 영재의 정의적 영역은 인지적 교육에 비해 소홀히 다루어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 학생들의 도덕 판단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으로, 인간관계 중심의 6대 덕목인 '정직, 약속, 용서, 책임, 배려, 소유'의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4주 동안 실행하였다. 그리고 도덕적 판단력 검사 KDIT를 통해 수업 적용 전과 후를 비교하고,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영재학생들의 도덕적 판단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 과학영재 남학생과 여학생 집단 간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 PDF

수용전념치료(ACT)프로그램 효과의 메타분석에 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about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ACT Intervention Program)

  • 김경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145-153
    • /
    • 2016
  • 이 연구는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현재 다양한 영역에서 실시되고 있는 수용전념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해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메타분석은 통계적인 방법을 활용하여 개입의 크기와 방향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개입에 대한 종합적 분석이 가능하다. 논문의 선정기준을 통해 총 43편의 연구물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33편의 연구물에서 183개의 효과크기를 종합하여 전체효과크기, 하위집단별 효과크기, 메타회귀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수용전념치료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0.704로 나타났다. 이는 중간 이상의 효과크기를 의미한다. 수용전념치료의 효과 영역에 따라 효과크기를 비교한 결과, 정의적 영역, 인지적 영역, 행동적 영역 순으로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참가자의 특성에 따른 효과크기를 비교한 결과 첫째, 성별에 따른 분석결과, 혼성 집단, 여성 집단, 남성 집단 순으로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둘째 연령에 따른 분석 결과 일반성인, 대학생(대학원생), 청소년 순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와 향후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