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olescent women

검색결과 251건 처리시간 0.025초

청소년이 지각한 근친상간의 가족역동 (FAMILY DYNAMICS OF INCEST PERCEIVED BY ADOLESECENTS)

  • 김헌수;신화식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6권1호
    • /
    • pp.56-64
    • /
    • 1995
  • 오늘날 우리사회가 맞고 있는 가치관의 변화, 도덕성의 불괴와 더불어 가정폭력은 중대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흔히 문제가 되는 가정 폭력으로는 배우자학대, 아동학대, 노인학대, 근친상간등을 들수있는데 특히 근친상간은 그 문제의 은폐성으로 인하여 정확한 발생빈도조차 파악되지 않고 있다는점이 그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그러나 아동에 대한 성적학대의 한 형태인 근친상간이 높은 빈도로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은 여러문헌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알려진 사실이다. 근친상간은 매우 역기능적인 가족관계에서 유발되며 이러한 환경에서 성장한 자녀가 성인이 된후 그들의 자녀를 성적으로 학대하는 경향이 높다는 악순환성에서 그 심각성을 엿볼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근친상간 경험청소년의 성격적특성, 근친상간 발생 가정내 가족원의 성격적특성과 정신병력 유무 및 근친상간발생 가정의 가족역동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은 설문지와 면담을 통한 측정조사연구로써 조사대상자는 중학교 1학년에서 고등학교 3학년까지 재학중인 학생청소년 1,237명과 소년원, 분류심사원에 재원중인 비행분류심사원, 범죄 청소년 601명중 불충분한 응답자 142명을 제외한 1,69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결과 전체 연구대상자중 근친상간경험비율은 3.7%였으며 근친상간유형별로는 형제-자매간 근친상간유형이 1.6%로 가장 높았다. 근친상간경험 청소년의 성격특성은 근친상간비경험 청소년에 비해 미숙하고, 융통서이 적으며, 의사표현력의 결여, 충동적, 학업성적의 저조와 긴장, 불안 및 의존적 성향을 보여주었으며 가족원중에도 우울증환자, 알코올중독자, 정신병력자 및 범법행위자등이 많았다. 또한 근친상간발생 가정의 가족역동은 근친상간이 발생하지 않은 가정의 가족역동에 비해 매우 역기능적이었음을 알수 있었다. 즉 근친상간 발생 가정의 가정분위기는 매우 불안정하였으며, 자녀에 대한 부모의 거부적 태도, 가족원간의 불화, 원만하지 않은 부부관계등을 보여주었다.로 나타났으며, 특히 LNNB-C의 지적 과정 척도(C11)와 FSIQ간에 가장 높은 부적 상관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절과들은 모두 뇌손상을 진단하는 신경심리 검사로서 한국판 LNNB-C의 타당도 및 진단 변별력이 우수함을 입증해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形 父母平定尺度)(CAPRS), 아동행동조사표(兒童行動調査表) 및 연속과제수행(連續課題遂行)에서 호전을 보였고, 투여 2개월후에서도 같은 양상의 호전을 보였으며, 또한 아동행동조사표(兒童行動調査表)에서 외향성(外向性)은 물론 소통불능(疏通不能)${\cdot}$사회적위축(社會的萎縮)${\cdot}$과잉행동(過剩行動)${\cdot}$공격성(攻擊性)${\cdot}$비행요인(非行要因)에서도 호전양상을 보였다. 이와같은 결과는 이 두 약물이 모두 주의력(注意力)과 인지기능(認知機能)을 증진시키기는 하였으나, 보다 뚜렷한 변화는 methylphenidate 투여후에 볼 수 있었다. 특히 methylphenidate투여후 연속과제수행(連續課題遂行)에서 민감도(敏感度)와 반응오류수(反應誤謬數)의 호전이 있었으나 반응기준(反應基準)에는 변화가 없었다는 소견, 그리고 단기기억수행(短期記憶遂行)에서의 호전과 '같은 그림 찾기' 검사의 오류수(誤謬數)에서 변화가 없었다는 소견은 methylphenidate가 훈기요인(勳機要因)의 호전에 의한 이차적인 변화에 의한 것이 아니라 주의집중력(注意集中力)에 직접적으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또한 이같은 소견으로 주의력결핍(注意力缺乏)${\cdot}$과잉운동장애환아(過剩運動障碍患兒)에서의 충동성(衝動性)은 이 장애의 중심증상이 아니거나, 이들 약물투여에 의해 호전되지 않거나, 호전의 측정에 문제가 있을 수도 있겠다. 마지막으로 주의력결핍(注意力缺乏)${\cdot}$과잉운동장애(過剩運動障碍)에서 과잉행동(過剩行動)과

  • PDF

성별에 따른 한국 청소년의 아토피 피부염 심각성과 영향요인 (Severity of Atopic Dermatitis and Associated Factors in Korean Adolescents by Sex)

  • 이윤정;현숙정;이진화;안지연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64-173
    • /
    • 2017
  • Purpose: Despite the high incidence, the incidence of atopic dermatitis among adolescents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The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everity of atopic dermatiti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severity. Methods: The data used in the analysis are from 2015 Youth Health Behavior Online Survey. Complex sample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everity of atopic dermatitis which was defined by the treatment experience of atopic dermatitis and the number of absent days due to the disease as its criteria. Binary logistic regression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severity of atopic dermatitis by gender was done. Results: The severity of atopic dermatitis was high in male students who were in a lower grade (freshmen), who smoked, or who consumed soft drinks at least once a week, while in female students who were in a lower grade (freshmen, sophomore), who consumed alcohol, who consumed highly caffeinated drinks at least once a week or who consumed sweet drinks at least once a week. The severity of atopic dermatitis was lower in female students who lived in big cities or medium/small sized cities or engaged in physical activities less than three times a week. Conclusion: For atopic dermatiti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e importance of dietary management should be considered. This indicates that families, schools, and communities have their own responsibilities and efforts to relieve the symptoms of the atopic dermatitis.

일부 여중생의 식행동, 생활습관과 주관적 신체건강상태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Dietary Behaviors, Life styles and Perceived Physical Health Status of Female Middle Students)

  • 강현숙;장미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6호
    • /
    • pp.287-296
    • /
    • 2015
  • 본 연구는 경기도 일부 지역의 여중생 273명을 대상으로 식행동, 생활습관과 주관적 신체건강상태와의 관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학생의 주관적 신체건강상태에 따라 적당한 식사량섭취(F=6.378, p=.002), 편식정도(F=3.542, p=.030), 영양소 섭취(F=6.780, p=.001), 생활습관(F=4.291, p=.015)은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주관적 신체건강상태, 식행동, 생활습관의 상관분석결과 적당한 식사량을 섭취하고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할수록 주관적 신체건강상태가 좋았으며, 편식을 할수록 주관적 신체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급속한 성장기에 해당되는 청소년시기에 올바른 식행동과 생활습관 형성을 위한, 식품과 건강분야의 융복합 컨텐츠 개발을 통한 융복합 교육이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미국내 청소년기 여학생과 어머니의 신체이미지 개념에 대한 연구 (Body Image Perceptions of Adolescent Daughters and Their Mothers in U.S.)

  • 이승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12호
    • /
    • pp.1714-1722
    • /
    • 2006
  • 미국내 9살과 14살 사이의 여학생과 어머니와의 관계가 여학생의 신체이미지와 육체만족도(Body Satisfaction)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총 41쌍의 여학생과 어머니가 미국의 노스 캐로라이나에 위치한 $[TC^2]$에 의뢰하여 리쿠르트 되었다. 참가자들은 우선 미국 질병관리 및 방지국(CDC)의 자료를 바탕으로 그들의 BMI 점수를 바탕으로 보통체중과 과체중으로 나누어졌다. Stunkard, Sorenson, and Schulsinger (1983)의 9개의 신체이미지 그림을 사용하여 어머니와 딸의 각자의 이상화된 신체이미지(Ideal Body Image), 상대방의 이상화된 신체이미지, 각자의 신체에 대한 만족도, 그리고 서로의 신체에 대한 만족도를 연구하였다. 논의 및 결론부분으로 과체중 여학생과 그들의 어머니의 서로간의 신체이미지 만족도가 보통체중의 여학생과 그들의 어머니의 신체이미지 만족도에 비해 현저히 낮았고, 상대방에 대한 신체이미지 만족도 또한 현저히 낮았다.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dish-based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Korean adolescents

  • Yum, Jinhee;Lee, Seungmi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0권4호
    • /
    • pp.433-441
    • /
    • 2016
  • BACKGROUND/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dish-based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FQ) for Korean adolescents and evaluate its reproducibility and validity. SUBJECTS/METHODS: Based on 24-hour dietary recall data from the 4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we developed a FFQ with 71 items. From a quota sample of 160 adolescents recruited using gender and age group as stratification variables, 153 participated in the complete data collection process. The FFQ was administered to each subject twice, at an interval of 3-4 weeks, to evaluate the test-retest reliability. The validity of the FFQ was assessed relative to 8-day food record data. RESULTS: The study findings demonstrated the FFQ's satisfactory reproducibility.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s ranged from 0.64(for ${\beta}-carotene$) to 0.81(for protein). From cross-classification analyses, the proportion of subjects in the same intake quartile was highest for protein (65.4%) and lowest for vitamin A(47.1%). With regard to validity analysis,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s ranged from 0.27(for vitamin A and fiber) to 0.90 (for energy). The proportions of subjects in the opposite categories between the first FFQ and the 8-day food record data were generally low within the range from 0.74% (for energy and carbohydrate) to 13.2% (for ${\beta}-carotene$). CONCLUSIONS: In conclusion, the dish-based semiquantitative FFQ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ful for grouping Korean adolescents according to major macro- and micronutrient intakes with reasonable reproducibility and validity.

청소년 건강에 대한 잠재계층 분류 및 사회자본의 영향 검증 : 양부모가정과 한부모가정의 비교를 통하여 (Identification of Latent Classes of Adolescent's Health Condition and Verification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 Comparison of Intact Families and Single Parent families)

  • 전지원;김경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385-397
    • /
    • 2018
  • 본 연구는 청소년의 건강상태에 대한 잠재계층유형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가족유형별 청소년의 건강에 대한 사회자본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15 한국 아동 청소년 인권실태" 자료를 활용하여,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청소년 6,91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우선 청소년의 건강상태에 대한 잠재계층은 3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다음으로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잠재계층별 청소년의 건강에 대한 사회자본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양부모가정과 한부모가정 청소년 모두 가정 사회자본과 학교 사회자본의 수준이 높을수록 건강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지역사회 사회자본에 있어서는 양부모가정과 한부모가정 청소년은 다른 양상을 보였다.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경우 건강에 대한 지역사회 사회자본의 영향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함의와 실천적 제언 및 후속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현대패션에 표현된 다원적 성에 관한 사회기호학적 분석 (II) (Socio-semiotic Analysis of Plural Sexuality represented in Modern Fashion (II))

  • 최경희;김민자
    • 복식
    • /
    • 제57권4호
    • /
    • pp.126-142
    • /
    • 2007
  • The second part of this study is to typify plural sexuality articulated with fashion images in men's and women's popular fashion magazines in Korea since 2000 and ultimately to infer sexual ideology codified in modern fashion by a framework of this study, the socio-semiotic model. From this, sexuality represented in modern fashion was typified as follows: in women's fashion Traditional Femininity, Glamor Femininity, Androgynous Femininity, Babydoll Femininity and Genderless sexuality, while in men's fashion Traditional Masculinity, Macho Masculinity, Androgynous Masculinity, Adolescent Masculinity and Genderless sexualit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modern fashion has been changed from a means expressing gender and class into a sign vehicle representing the new ruling system of age and sexual desire. The binary oppositional sexuality on center of man in the 19 C capitalist period has been gradually pluralized towards the post-capitalist period. Next, mainstream society in Korea is still positioned in the traditional heterosexuality, keeping the vertical power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woman even in the post-modern period. However, the fact that both Traditional Femininity and Androgynous Femininity acquire the position of dominant femininity connotes the change of modern femininity. Finally, plural sexuality represented in modern fashion has family resemblance and it shows contextual flexibility within contemporary period as well as a historical context. As a result, sexuality floats with a specific historical and socio-cultural context, and fashion as a material culture represents a masquerade as a identity vehicle, which constructs and de-constructs sexuality at the same time.

Association between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Iran: a case-control study

  • Jenabi, Ensiyeh;Seyedi, Mahdieh;Hamzehei, Ronak;Bashirian, Saeid;Rezaei, Mohammad;Razjouyan, Katayoon;Khazaei, Salma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3권9호
    • /
    • pp.368-372
    • /
    • 2020
  • Background: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is a neurodevelopmental disorder defined by impairments in social interaction and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Purpose: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use of assisted reproduction technology (ART) and the risk of ASD among children. Methods: This case-control study included 300 participants (100 cases, 200 controls). The control group included women with a child aged 2-10 years without ASD, while the cases were women with a child aged 2-10 years with ASD. We used a researcher-made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a ver. 14 at the 0.05 significance level. Results: In the univariate analysis, there was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child sex, delivery mode, history of preterm delivery, history of using ART, and maternal age at child's birth and the risk of ASD. After the adjustment for other variables, this association was significant for male sex (2.66; 95% confidence interval [CI], 1.11-4.31; P=0.001) and history of using ART (4.03; 95% CI, 1.76-9.21; P=0.001). Therefore, after the adjustment for confounder variables,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ART and the risk of ASD among children (4.98; 95% CI, 0.91-27.30; P=0.065). Conclusion: After the adjustment for other variables, risk factors for ASD were male sex and history preterm delivery. Thus,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ART and the risk of ASD among children.

로지스틱회귀모형을 활용한 아동학대 가족의 연구 (Study of child abuse families using logistic regression models)

  • 민대기;최미경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5호
    • /
    • pp.1327-1336
    • /
    • 2016
  •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아동학대의 대부분은 가정 내에서 부모에 의해 발생하며 해가 갈수록 증가하는 추세이다. 성장기에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한 학대는 아동의 발달전반에 피해를 주며, 그 영향이 장기화되어 청소년기 부적응, 성인기 범죄로까지 이어지기 쉬우므로, 사회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급변하는 사회 환경 속에서 맞벌이, 한 부모 가족 등 다양한 가족형태가 등장했으며, 취약한 경제구조속에서 가장들의 고용형태의 불안정은 가족들을 더욱 불안하게 만들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힘이 없는 아동은 무방비 상태로 부모로부터 신체적, 정신적 학대를 경험할 위험에 놓인다. 어려운 사회 경제적 환경 속에서 어떤 형태의 가정에서 아동학대가 많이 발생하는지에 대하여 회귀모형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아동 및 청소년이 지각하는 행복에 대한 인식 연구 (Children's and Adolescents' Perceptions of Happiness)

  • 유미숙;정계숙;박수홍;차지량;홍광표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3호
    • /
    • pp.15-26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the perceptions and conditions of happiness between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also of the perceptions of happiness according to their needs level of the conditions of happiness. There was a total of 649 participants, of which 405 were children and 244 were adolescents, all of whom were attending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or high school. The children and adolesc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on the perceptions of happiness and the conditions of happiness which consisted of 57 (for children) or 58 (for adolescents) item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 and adolescents both felt happy regarding the variables of 'flow', 'health and appearance', 'leisure' and 'interpersonal relations'. However, it was found that children felt happier than adolescents. Second, children and adolescents perceived achievement-related variables as important conditions of happiness. Additionally, variables of 'relations with parents and relatives' and 'positive emotions' were the conditions that children needed. However, adolescents rated the needs of the conditions of happiness higher than children. Lastly, children and adolescent groups who perceived the necessity of the conditions of happiness at a high level were found to be happier than those who perceived the necessity of the conditions of happiness at a low level. The findings have implications of providing educational,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support to improve the happiness of children and adolesc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