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tinobacteria

검색결과 226건 처리시간 0.017초

열대 해양 해면 Cinachyrella sp.와 Plakortis sp.의 공생세균 군집의 계통학적 다양성 (Phylogenetic diversity of bacterial community associated with the tropical marine sponges, Cinachyrella sp. and Plakortis sp.)

  • 정종빈;박진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31-38
    • /
    • 2015
  • 2012년 2월 남태평양 미크로네시아 축(Chuuk)에서 채집한 두 종의 해양해면 Cinachyrella sp.와 Plakortis sp.의 공생세균의 군집구조를 PCR-DGGE 방법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Cinachyrella sp.와 Plakortis sp. 해면의 total genomic DNA에서 16S rRNA gene-V3 부분을 증폭하여 DGGE를 수행하였으며, 두 종의 해면에서 서로 다른 밴드 패턴이 나타났다. DGGE밴드로부터 16S rRNA gene의 부분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알려진 균주의 염기서열들과 87-100%의 유사도를 나타내었다. Cinachyrella sp.의 공생세균 군집구조는 Actinobacteria, Bacteroidetes, Chloroflexi, 그리고 Proteobacteria (Alpha-, Gamma-, Delta-), 6강으로 구성되었다. Plakortis sp.의 공생세균 군집구조는 Actinobacteria, Chloroflexi, Firmicutes, Spirochaetes 그리고 Proteobacteria (Alpha-, Gamma-, Delta-), 7강으로 구성되었다. 두 종의 해면에서 Actinobacteria, Chloroflexi와 Proteobacteria가 공통적으로 존재하였으나 주요 세균군집은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즉 Cinachyrella sp.의 경우 Proteobacteria가, Plakortis sp.의 경우, Chloroflexi가 주요 세균 군집이었다. 동일지역에서 채집한 서로 다른 두 종의 해면은 각각 다른 공생세균 군집구조를 나타내어 해면 종에 따른 숙주 특이적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Firmicutes와 Actinobacteria에 속하는 세균들의 Erm 단백질 in vitro 활성 비교 (In vitro activity comparison of Erm proteins from Firmicutes and Actinobacteria)

  • 진형종
    • 미생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69-277
    • /
    • 2016
  • Erm 단백질은 미생물의 23S rRNA의 특정 nucleotide ($A_{2058}$)에 methylation 시킴으로써 $MLS_B$ (macrolide-lincosamide-streptogramin B) 항생제에 대하여 내성을 나타내는 항생제 내성인자 단백질이다. 이 단백질들을 계통수분석을 하였을 때 두 개의 주된 집단 즉 항생제 생성균과 병원균으로 각각 구성된 Actinobacteria와 Firmicutes에서 유래된 단백질로 구분이 된다. 두 집단을 각각 대표하는 2개의 단백질을(항생제 생성균 유래 ErmS와 ErmE, 병원균 유래 ErmC'와 ErmB) 선택하여 그 활성을 비교하였다. 전체적으로 항생제 생성균에서 비롯된 Erm 단백질이 병원균에서 비롯된 단백질에 비해 높은 활성을 보였다: ErmC'와 ErmE 비교시 9배, ErmB와 ErmS 비교시 13배의 차이가 남. ErmS에서 59개의 아미노산이 제거된 NT59TE 단백질의 활성이 야생형 보다 22.5% 정도에 머물렀기 때문에 이러한 활성의 현격한 차이는 ErmS에서는 N-terminal에 붙어있는 가외의 아미노산에 의한 것으로 관찰되었고 ErmE에서는 C-terminal의 가외의 아미노산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NT59TE가 ErmC'와 ErmB에 비하여 2.2, 3배의 높은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관찰되어 단백질의 핵심부위에서도 높은 활성을 도와주는 부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중 아미노산 배열 정렬로부터 이 부위는 197RWS199 (ErmS와 ErmE 모두로부터 유래), 261GVGGSLY267 (ErmS로부터 유래) 그리고 261GVGGNIQ267 (ErmE로부터 유래)와 291SVV293 (ErmS로부터 유래) 그리고 291GAV293 (ErmE로부터 유래)으로 추정되었다.

울릉도 유래 토양 방선균의 다양성과 생리활성 (Diversity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of soil actinobacteria in Ulleung Island)

  • 윤보람;노수권;김승범
    • 미생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242-25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 울릉군에서 분리한 토양 방선균에 대해 생리학적 특징과 다양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ULS1 및 ULS2로 명명한 2개의 토양 시료를 채취하여 다양한 배지에 배양하여 분리하였으며, 평균 생균수는 ULS1 토양은 $1.28{\times}10^7CFU/g$, ULS2 토양은 $2.05{\times}10^7CFU/g$였다. 16S rRNA 유전자에 기반한 염기서열 분석 결과, 총 9개의 속에서 34개의 균주가 분리되었으며 해당 속은 Streptomyces (16 균주), Isoptericola (5 균주), Rhodococcus (4 균주), Agromyces (3 균주), Micrococcus (2 균주), Arthrobacter (1 균주), Williamsia (1 균주), Microbacterium (1 균주) 및 Oerskovia (1 균주)에 속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양한 효소활성과 식물 생장 촉진 활성 측정 결과, 전체의 58.8%가 단백질 분해 활성을, 79.4%가 Tween 80 분해 활성을, 그리고 61.8%가 DNA 분해 활성을 각각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Oerskovia, Williamsia, Isoptericola 및 Streptomyces 속에 속하는 분리주들로부터 인을 가용화시키는 능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Agromyces, Oerskovia, Micrococcus, Rhodococcus, Streptomyces 및 Isoptericola 속에 속하는 분리주들은 식물호르몬인 3-indole-acetic acid (IAA)를 생산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treptomyces 속에 속하는 분리주들은 Candida albicans 뿐만 아니라 Staphylococcus aureus와 Bacillus subtilis에 항생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독특한 생태계를 구성하는 울릉도 지역의 토양 방선균 다양성 및 생리 활성에 대한 최초의 연구로서 의미를 가지며, 새로운 유용 생리 활성 물질의 좋은 원천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부여 큰독골 유적 출토 인골 조직 및 외부 토양의 세균 군집의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Soil Bacterial Populations in Human Remains and Soil from Keundokgol Site at Buyeo)

  • 김윤지;김수훈;권은실;조은민;강소영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7권4호
    • /
    • pp.92-105
    • /
    • 2014
  • 인골과 인골 주변 토양에 분포하는 세균의 군집구조를 비교하기 위해 부여 오수리 큰독골 유적에서 발굴된 조선시대 회곽묘 인골 중 상대적으로 시료 상태가 좋지 않은 4호 인골과 상태가 양호한 5호 인골 및 주변 토양에서 DNA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DNA의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한 결과, 4호 인골에서 구축된 319개 클론은 ${\alpha}$, ${\beta}$, ${\gamma}$-Proteobacteria, Acidobacteria, Actinobacteria, Planctomycetes, Chloroflexi, Chlorobi, Bacteroidetes, Firmicutes 그리고 novel gene group 등 총 11개의 계통군이 확인되었다. 인골 주변 토양에서 구축된 462개 콜론은 ${\alpha}$, ${\beta}$, ${\gamma}$, ${\delta}$-Proteobacteria, Acidobacteria, Actinobacteria, Bacteroidetes, Verrucomicrobia, Planctomycetes, Chloroflexi, Chlorobi, Firmicutes, Thermodesulfobacteria, Fibrobacteres, Gemmatimonadetes, Verrucomicrobia 그리고 novel gene group 등 총 16개 계통군이 확인되었다. 5호 인골에서 구축된 271개 클론은 ${\alpha}$, ${\gamma}$-Proteobacteria, Acidobacteria, Actinobacteria, Planctomycetes, Chloroflexi, Bacteroidetes, Firmicutes 그리고 novel gene group 등 총 10개의 계통군이 확인되었으며, 인골 주변 토양에서 구축된 497개 클론은 ${\alpha}$, ${\beta}$, ${\gamma}$-Proteobacteria, Actinobacteria, Acidobacteria, Chloroflexi, Firmicutes, Gemmatimonadetes, Planctomycetes, Bacteroidetes 그리고 Verrucomicrobia 등 총 11개 계통군으로 확인되었다. 4호, 5호의 모든 시료에서 Actinobacteria 계통군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alpha}$-Proteobacteria 계통군 또한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골은 주변 토양 세균의 군집에 의해 광범위하게 오염되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본 결과는 인골의 보존과 관리를 위한 중요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A report of 34 unrecorded bacterial species in Korea, belonging to the Actinobacteria

  • Ko, Kwan Su;Cha, Chang-Jun;Im, Wan-Taek;Kim, Seung-Bum;Seong, Chi-Nam;Bae, Jin-Woo;Jahng, Kwangyeop;Cho, Jang-Cheon;Joh, Ki-seong;Lee, Soon Dong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6권1호
    • /
    • pp.1-14
    • /
    • 2017
  • As a subset study to discover indigenous prokaryotic species in Korea in 2014, a total of 34 bacterial strains assigned to the phylum Actinobacteria were isolated from various environmental samples collected from activate sludge, biotite, freshwater, gut of marine organisms, mud flat, sediment, soil, spent mushroom compost and sea water. On the basis of high 16S rRNA gene sequence similarity and a tight phylogenetic association with the closest species, it was revealed that each strain was assigned to independent and previously described bacterial species, with the exception of one isolate. There is no official report that these 34 species included in the phylum Actinobacteria have been described in Korea: 6 species of 5 genera in the order Corynebacteriales, 1 species of 1 genus in the order Frankiales, 2 species of 2 genera in the Micromonosporales, 14 species of 10 genera in Micrococcales, 2 species of 2 genera in the Propionibacteriales, 1 species of 1 genus in the Pseudonocardiales, 4 species of 2 genera in the Streptomycetales, 2 species of 2 genera in the Streptosporangiales and 1 species of 1 genus in the Solirubrobacterales. Gram reaction, cell and colony morphology, pigmentation,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isolation sources and strain IDs are described in the section of species description.

조릿대 대나무림 토양 내 방선균군집의 계통학적 특성 (Phylogenetic characteristics of actinobacterial population in bamboo (Sasa borealis) soil)

  • 이효진;한송이;황경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59-6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염기서열분석(pyrosequencing) 기술을 이용해 조릿대(Sasa borealis) 대나무림의 낙엽층과 근권 토양 내 주요 군집인 방선균군집의 계통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방선균 유전자원 다양성 확보를 위한 기반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낙엽층 시료 내 세균군집은 2,588 OTUs, 다양성 지수 7.55로 나타났으며, 근권토양 시료의 경우 2,868 OTUs, 다양성 지수 8.15로 다양한 세균군집이 균등하게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나무림 토양시료 내 세균군집은 총 35개의 문으로 구성되었으며, Proteobacteria (51-60%), Bacteroidetes (16-20%), Acidobacteria (4-16%) 그리고 Actinobacteria (4-14%) 계통군이 주요 세균군집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Actinobacteria은 총 6목 35과 121속의 다양한 방선균이 분포하였으며, 전체 방선균군집의 83%가 Actinomycetales 목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Actinomycetales 목은 28개 과로 구성되었으며, Micromonosporaceae, Pseudonocardiaceae 그리고 Streptomycetaceae는 조릿대 대나무림의 낙엽층과 근권토양에서 풍부도가 가장 높고 변이가 적은 대표 방선균군집으로 확인되었다.

A Culture-Based Study of the Bacterial Communities within the Guts of Nine Longicorn Beetle Species and their Exo-enzyme Producing Properties for Degrading Xylan and Pectin

  • Park, Doo-Sang;Oh, Hyun-Woo;Jeong, Won-Jin;Kim, Hyang-Mi;Park, Ho-Yong;Bae, Kyung-Sook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5권5호
    • /
    • pp.394-401
    • /
    • 2007
  • In this study, bacterial communities within the guts of several longicorn beetles were investigated by a culture-dependent method. A total of 142 bacterial strains were isolated from nine species of longicorn beetle, including adults and larvae. A comparison of their partial 16S rRNA gene sequences showed that most of the bacteria constituting the gut communities can typically be found in soil, plants and the intestines of animals, and approximately 10% were proposed as unreported. Phylogenetic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bacterial species comprised 7 phyla, and approximately half were Gammaproteobacteria. Actinobacteria were the second most populous group (19%), followed by Firmicutes (13%) and Alphaproteobacteria (11%). Betaproteobacteria, Flavobacteria, and Acidobacteria were minor constituents. The taxonomic compositions of the isolates were variable according to the species of longicorn beetle. Particularly, an abundance of Actinobacteria existed in Moechotypa diphysis and Mesosa hirsute, which eat broadleaf trees; however, no Actinobacteria were isolated from Corymbia rubra and Monochamus alternatus, which are needle-leaf eaters. Considerable proportions of xylanase and pectinase producing bacteria in the guts of the longicorn beetles implied that the bacteria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igestion of woody diets. Actinobacteria and Gammaproteobacteria were the dominant xylanase producers in the guts of the beetles.

해면 Spirastrella abata와 Cinachyrella sp.의 공생 세균의 계통학적 다양성 (Phylogenetic Diversity of Bacteria Associated with the Marine Sponges, Spirastrella abata and Cinachyrella sp.)

  • 조현희;심은정;박진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77-182
    • /
    • 2010
  • 2009년 4월 제주도의 운진항에서 채집한 해양 해면 Spirastrella abata와 Cinachyrella sp.의 공생 세균의 주요 군집구조를 16SrDNA-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방법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S. abata와 Cinachyrella sp.는 각각 7개와 8개의 DGGE 밴드를 나타내었으며 이들을 적출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NCBI에 등록된 서열들과 92-100%의 유사도를 나타내었다. S. abata의 주요 공생세균은 Alphaproteobacteria와 Deltaproteobacteria에 속하였으며, Cinachyrella sp.의 경우 Alphaproteobacteria, Gammaproteobacteria와 Actinobacteria에 속하는 세균으로 구성되었다. 두 종의 해면에서 공통되는 공생세균 그룹은 Alphaproteobacteria였으며 이 세균 그룹은 두 종의 해면 모두에서 우점하였다. Deltaproteobacteria는 S. abata에서, Actinobacteria와 Gammaproteobacteria는 Cinachyrella sp.에서만 관찰되었다. 동일지역에서 채집한 서로 다른 두 종의 해면은 각각 다른 공생세균 군집구조를 나타내었다.

Metagenomic SMRT Sequencing-Based Exploration of Novel Lignocellulose-Degrading Capability in Wood Detritus from Torreya nucifera in Bija Forest on Jeju Island

  • Oh, Han Na;Lee, Tae Kwon;Park, Jae Wan;No, Jee Hyun;Kim, Dockyu;Sul, Woo J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9호
    • /
    • pp.1670-1680
    • /
    • 2017
  • Lignocellulose, composed mostly of cellulose, hemicellulose, and lignin generated through secondary growth of woody plant, is considered as promising resources for biofuel. In order to use lignocellulose as a biofuel, biodegradation besides high-cost chemical treatments were applied, but knowledge on the decomposition of lignocellulose occurring in a natural environment is insufficient. We analyzed the 16S rRNA gene and metagenome to understand how the lignocellulose is decomposed naturally in decayed Torreya nucifera (L) of Bija forest (Bijarim) in Gotjawal, an ecologically distinct environment. A total of 464,360 reads were obtained from 16S rRNA gene sequencing, representing diverse phyla; Proteobacteria (51%), Bacteroidetes (11%) and Actinobacteria (10%). The metagenome analysis using single molecules real-time sequencing revealed that the assembled contigs determined originated from Proteobacteria (58%) and Actinobacteria (10.3%). Carbohydrate Active enZYmes (CAZy)- and Protein families (Pfam)-based analysis showed that Proteobacteria was involved in degrading whole lignocellulose, and Actinobacteria played a role only in a part of hemicellulose degradation. Combining these results, it suggested that Proteobacteria and Actinobacteria had selective biodegradation potential for different lignocellulose substrates. Thus, it is considered that understanding of the systemic microbial degradation pathways may be a useful strategy for recycle of lignocellulosic biomass, and the microbial enzymes in Bija forest can be useful natural resources in industrial processes.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에 기반한 국내 재배 오이의 상재균총 분석 (16S rRNA gene-based sequencing of cucumber (Cucumis sativus L.) microbiota cultivated in South Korea)

  • 서동우;김승민;이현열;염수진;정희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334-34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시설재배 오이 내 상재균총 군집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수확 시기 및 지역에 따른 상재균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상재균총 다양성 분석(α-diversity)의 경우 5월 시료에서 더 높은 수치의 Observed OTUs와 Chao1 index가 나타났다. PCoA (β-diversity)분석을 통해서 수확 시기에 따른 상재균총의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Phylum 수준에서는 Proteobacteria, Firmicutes, Actinobacteria가 우점하였고, class 수준에서는 Gammaproteobacteria, Bacilli, Alphaproteobacteria, Actinobacteria가 주로 존재하였다. Genus 수준에서는 시기적인 요인이 주로 상재균총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일부 지역적 요인의 영향도 관찰 되었다. 5월 시료에서는 Aureimonas, Escherichia, Microbacterium이 11월 시료에서는 Enterococcus, Pseudomonas, Rhizobium이 더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이외에도, Acinetobacter, Aerococcus, Aureimonas, Enterobacter, Enterococcus, Escherichia, Pantoea, Pseudomonas, Staphylococcus와 같이 잠재적인 위험성을 가지는 genus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