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hievement evaluation

검색결과 814건 처리시간 0.028초

문제중심학습 교육을 받고 있는 간호학생의 학습유형에 따른 참여도와 학업성취도 (Particip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by Learning Styles in Problem Based Learning)

  • 김지윤;최은영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00-206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nursing students' learning styles and relationship of learning style to particip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Method: The study participants were nursing students in C college learning through problem based learning (PBL).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Kolb's learning styles. Performance evaluation and paper examination were used to evaluate academic achievement. Results: Most of the students had converger type learning style. Student with a tendency to abstract conceptualization, such as converger type and assimilator type, preferred discussion and presentation. The students with converger type learning style participated and achieved better than students with diverger style.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learning style was related to particip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erefore in order to use PBL effectively, facilitators should consider students' learning styles.

  • PDF

간호대학생의 아동간호학 임상실습 자가평가 분석 (Nursing Students' Self-evaluation Analysis on Pediatric Nursing Clinical Practice)

  • 이영은;박선영;최은아;김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9호
    • /
    • pp.355-364
    • /
    • 2017
  • 본 연구는 아동간호학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학습역량 성취도와 임상실습 만족도 그리고 서술형 총평의 분석을 통해 아동간호학 임상실습 학습성과 달성 전략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대상자는 B광역시 K대학교의 간호학과 4학년으로 2016년 2월 24일부터 동년 6월 24일까지 아동간호학 실습을 마친 총 115명 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 및 내용분석으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간호대학생의 학습역량 성취도와 임상실습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른 학습역량 성취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아동간호학 임상실습을 통해 '제한된 실습경험에 대한 아쉬움' 등을 보고하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들의 아동간호학 임상실습 학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술영역의 학습역량 성취도를 증진시키고, 실습기관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임상실습 전략이 필요하다고 본다.

2009 개정 초등 과학과 성취기준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와 활용 (Teachers'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by Implementing 2009 Revised Curriculum Elementary Science Achievement Standards)

  • 김은주;이진숙;이훤;김대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911-923
    • /
    • 2016
  • 현재 2009 개정 과학교육과정을 시행하고 있는 현장의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과학과 성취기준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실제 수업에서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12명의 교사를 심층 면담하여 질적 내용분석법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과 성취기준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활용은 '과학 수업과 평가의 통제적 역할을 하는 성취기준'으로의 이해와 '평가중심 활용에 무게'를 두고 성취기준을 활용하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과학 수업의 이정표의 의미로 성취기준을 이해하고 있으나, 일상적인 과학 수업과 평가 상황에서는 크게 염두에 두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과 핵심으로 층위가 나뉜다고 이해하고, 핵심 성취기준에 대한 양과 수준의 정선 문제를 제기하였다. 한편 과학과 성취기준의 활용 측면에서는 학기 초 교육과정 업무 해결을 위하여 끼워 맞추기식 양상과 평가 활동을 위한 활용에 치우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성취기준에 대한 관심과 교육과정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 둘째, 교사가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교육과정 문서를 개발하고 과학 성취기준을 정선해야 한다. 셋째, 교육과정 정책에 대한 홍보 및 정보제공, 행정적 재정적 지원 및 장학과 관련된 제도적 개선이 요구된다.

$2003{\sim}2006$년 국가수준 과학과 학업성취도 변화 추이 분석 (Trend Analysis of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i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from 2003 to 2006)

  • 정은영;최원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438-452
    • /
    • 2008
  • 우리나라 학생들의 학력 수준을 파악하고 연도별로 학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교육과정, 교수 학습, 교육 정책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행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과학과 학업성취도 평균 점수와 성취수준별 비율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다. $2003{\sim}2006$년 연도별 과학과 성취도 점수를 비교한 결과, 학교급에 상관없이 학생들의 성취도는 증가 또는 감소의 특별한 경향이 보이지 않았다. 연도별 과학과 성취도 점수의 평균과 우수학력에 속하는 성취수준 비율을 성별로 비교한 결과, 초등학교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더 높았지만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더 높아졌다. 한편 기초학력미달에 속하는 학생의 비율은 모든 학교급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았다. 그리고 연도별 과학과 성취도 점수의 평균을 지역별로 비교한 결과, 초 중 고등학교 모두 읍 면지역 학생들의 성취수준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고려할 때 성별, 지역별 점수 차를 줄이기 위하여 교육적 환경을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결과가 교육과정 및 교육 정책 입안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도록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성취기준 단위로 분석한 중학교 학생의 성차 (Analysis on Gender Difference Appearing in Middle School Students at Each Achievement Standard)

  • 조윤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8권2호
    • /
    • pp.231-256
    • /
    • 2016
  • 이 글에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의 중학교 남녀학생별 평균 정답률을 바탕으로, 성차가 나타난 성취기준을 살펴보고자 한다. 성취기준은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가장 작은 단위로서 교사가 수업 계획을 세우는 기준 단위가 되기도 한다. 수업 계획은 시수에 따라 구상하게 되는데, 그 시수를 결정하는 것이 성취기준이다. 그러므로 성취기준에서 나타난 성차에 관한 객관적인 정보는 수업 계획을 세우는 단계에서 성차를 해소화기 위한 방안을 구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앞으로 수학에서 나타나는 성차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Real-time Impact Evaluation of a Capacity-Building Health Project in Lao PDR

  • LEE, KYE WOO;KIM, TAEJONG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7권4호
    • /
    • pp.75-88
    • /
    • 2015
  • This study presents a real-time impact evaluation of a human capacity-building health project in Laos, financed by a Korean aid agency and executed jointly by Laotian and Korean higher educational agencies. The project aims to improve the health status of Laotians by enhancing practicing doctors' clinical performance capacity, to be attained by advancing academic achievement at the University of Health Sciences (UHS) in Laos. Therefore, this real-time impact evaluation adopted the difference-in-differences regression analysis method, showing that the project improve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UHS students who were taught by the project fellowship awardees more, compared to the UHS students who were taught by non-fellowship faculty members. It remains to be evaluated whether these UHS students taught by the project fellowship recipients would also perform better clinically in public hospitals in the future.

  • PDF

포괄보조금제도하에서 효율적인 농어촌지역개발을 위한 사업평가지표 연구 (A Study on the Project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Efficient Integrated Rural Development in Block Grants System)

  • 이주용;김선주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3권1호
    • /
    • pp.57-62
    • /
    • 2011
  • Block Grants System to the agriculture sector has been started from 2010. This paper has been studied for the effective Integrated Rural Development under Block Grants System. For this, project evaluation items and indicators (PEI) were studied by internal and external example and specialist questionnaire on project evaluation. As the result of study, necessity of project, faith of project, efficiency of project, utilization of resources and operating capability were established in planning step, and most important PEI was established the necessity of project. And in enforcement step, performance result, monitering, capability, achievement and maintenance were established, and most important PEI was established performance results. Finally, monitering, capability, achievement and maintenance were established in completion step.

The Influence of SGRs on Self, Peer, and Instructor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 HONG, Seongyoun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9권1호
    • /
    • pp.97-114
    • /
    • 2008
  • This research has three purposes: The first purpose is to verify whether SGRs(Student-Generated Rubrics) are effective for learner achievement in higher education or not. The second one is to analyze the agreements between an instructor's evaluations and peer group assessments with SGRs in real classroom situation. The final purpose is to propose the possibility of students' more objective self-evaluation with the use of SGRs. It appears that rubrics are effective tools to improve learner achievement in adult education and to promote the agreement between the instructor's and peer's evaluations, even though learners do not develop SGRs. In addition, this research has demonstrated that most students are not very accurate self-assessors, and they often overestimate themselves. This study can be helpful for novice instructors, especially for those who try to assess their students more fairly, to develop the SGRs as an evaluation tool appropriate for their own situation, and to give more reliable feedback to students.

클러스터링에 기반한 학업성적의 등급화 방법 (A Grading Method for Student′s Achievements Based on the Clustering Technique)

  • 박은진;정홍;장덕성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51-156
    • /
    • 2002
  • 학업성적 평가방법에는 일반적으로 절대평가와 상대평가가 있다. 이들 방법은 각기 장점들을 가지고 있으나 평가기준이 너무 일률적이거나 아니면 학습자간에 지나친 경쟁을 유발하는 등 일부 한계점들을 내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일률적인 기준이 아닌 학습자들의 점수와 발생빈도를 감안한 등급화를 통해 학업성적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즉 전체 학습자의 학업성적을 적합도(goodness)를 감안하여 몇 개의 클래스로 분할하고 이를 등급으로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RE(Relaxation Error)를 적용하여 적합도를 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성적을 등급화 한다. 제안된 방법은 학업성적의 분포와 발생빈도를 고려한 적합도 측정에 의해 등급기준을 정하고 이에 따라 학업성적을 등급화 하므로 근소한 차고 등급이 구분되는 사례가 거의 없게 되며, 학교간 학생들의 학업 성적도를 차별화 할 수 있고, 실제적인 우수자나 부진아 선발 및 수준별 이동식 수업을 위한 평가에 유용하므고 기존의 두 방법을 보완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성취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Science Achievement)

  • 이미경;김경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99-40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학생들이 과학에 대하여 어떠한 태도를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았고,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성취도간의 상관 관계를 성별, 지역별, 성취수준별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학생들은 과학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기는 하나 그 정도가 매우 약했으며, 초등학생보다 중 고등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가 덜 긍적적이었다. 또한, 모든 학교급에서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과학에 대하여 좀 더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고, 지역간에도 과학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에 대한 태도와 성취도간의 상관 관계는 중학생들의 경우에 가장 높았으며, 고등학교, 초등학교의 순서로 높았다. 또한, 초등학교의 경우에는 남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성취도간의 상관 관계가 컸으며, 고등학교의 경우에는 여학생들의 상관 관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성취 수준에 따른 과학에 대한 태도와 성취도와의 상관 관계는 과학 성취도가 높은 집단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