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ademic writing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27초

전문대학 부사관과의 사고도구어 선정을 통한 글쓰기 교육방안 연구 (The Academic Vocabulary Studies for Petty Officer in Community Colleague)

  • 유용태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65-171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부사관과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 사고도구어를 선정하고 이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방안을 고찰하는 것이다. 전문대학 부사관과에 적합한 사고도구어 선정은 다음과 같은 3단계를 거쳐 목록화 하였다. 첫째, 최근 3년간 부사관과 의사소통과 교육방안에 관련된 논문에서 사고도구어를 추출한다. 둘째, 기존 연구에서 고등학교 수준의 사고도구어와 비교한다. 셋째, 전문대학 부사관과 글쓰기 교육방안에서 활용 가능한 사고도구어를 선정한다. 이 연구에서 선정된 사고도구어는 전문대학 부사관과의 글쓰기 교육과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한정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선정된 사고도구어는 협력학습 글쓰기 교육에 응용하여 학습자의 학술적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애니메이션 장르별 시나리오 분석 및 발전방안 (Analysing Scenario by Animation Genre and Development Plan)

  • 이태구;이화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10호
    • /
    • pp.41-52
    • /
    • 2006
  • 애니메이션은 영화와 마찬가지로 시나리오 구조와 스토리텔링에 의해 다양한 장르로 분류되어 관객들에게 웃음과 눈물, 감동을 선사하여 왔다. 이러한 시나리오 장르의 분류체계와 시나리오 작법은 희곡작법서의 학문에 기초를 두고 있다. 영화이론서 에서 주로 다루어지고 있는 시나리오 작법서와 장르별 분류체계는 그 제작기법과 스토리 라인에서의 차별성에도 불구하고 애니메이션에 그대로 적용시키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애니메이션은 프레임 바이 프레임 촬영기법과 제작방식의 다양화에 기초한 영화 예술로서 학문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 실사영화 시나리오 작가에 비해 애니메이션 시나리오 작가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우리나라의 경우 애니메이션 장르별 분류체계와 시나리오 작법에 관한 학문적 기초를 마련하는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애니메이션 작품분석을 통해 장르별 분류체계의 학문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 PDF

교수피드백을 적용한 성찰일지 작성이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 학습태도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Writing Reflection Journal with Teaching Feedback on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Attitude,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 김진영;김은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503-51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수 피드백이 제공된 성찰일지 작성이 학습동기, 학습태도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18년-2019학년도 건강사정 및 실습수업을 이수한 간호대학생 190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교수피드백이 적용된 성찰일지 작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학습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독립표본 t 검정으로 분석하였고 학습태도는 사전점수를 공변량 처리하여 공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습동기(t=2.10, p=.037), 학습태도(t= 4.54, p=.034)에서 시행군과 대조군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간호대학생의 교과목에 교수의 피드백이 제공된 성찰일지 작성을 적용한다면 학습동기, 학습태도 향상을 가져온다고 할 수 있겠다.

대학생 과제보고서에 나타난 인용정보 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Citations in Undergraduate Papers)

  • 박성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513-53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술적 글쓰기에서 대학생들의 자료 인용 행태를 분석함으로써 대학생들의 자료에 대한 인식과 대학도서관 자료의 활용 정도를 측정하여 도서관의 성과를 측정하는 것이다. 서울 소재 대학의 학기말 보고서 공모전에 제출된 80편의 보고서에 인용된 자료의 유형과 도서관 소장여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생들의 논문 인용에 대한 지식 수준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웹 정보에 대한 의존도(44.9%)가 높았지만 다른 유형의 자료, 즉 단행본, 학술지, 학위논문 등의 경우에는 대학도서관의 활용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이 대학생들의 학술적 글쓰기 능력신장을 위해 수업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인용과 참고문헌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자료를 개발하는데 힘쓸 것을 제안한다.

외국인 학부생을 위한 바꿔 쓰기 교육의 효과 (A Study on the Effects of Teaching Paraphrasing to Foreign University Students)

  • 박현진
    • 한국어교육
    • /
    • 제28권4호
    • /
    • pp.63-86
    • /
    • 2017
  • This research aims to evaluate the effects and the shortcomings of strategies for teaching paraphrasing to foreign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study, the effects of teaching paraphrasing skills on student's academic writing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assessment of pre- and post-test writing tasks and through a focus group interview. The teaching of paraphrasing was divided into 3 instructional sessions and the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at the end of the last session. After each instructional session three trained assessors evaluated the outcomes of pre and post task writings; the in-depth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seven of the students in order to define better positive effects as well as shortcomings. By comparing the scores of pre- and post-task assignments it is possible to affirm that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for overall scores; moreover, in an analysis conducted on each single sub-element of the paraphrasing skill, it emerged that except for "task completion", all other four elements of "structure", "understanding core content", "change of expression" and "academic expression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the focus group interview, it was possible to individuate as main shortcomings insufficient vocabulary knowledge, poor overall comprehension of the reference material, lack of practice and difficulty in connect sentences organically. It is possible to consider these elements as limiting factors in understanding the reference material and making correct citations by the students. Therefore, we suggest as supplementary instructional strategies a deeper attention to the difficulty level of the text, the introduction of devices to understand better the content of the reference material and an integrated practice of the paraphrasing skill.

스마트그리드 용어 표준화를 위한 개방형 한국어 지식 대사전 집필 시스템 (Writing System of the Open Korean Knowledge Dictionary for Standardization of Smart grid Terminologies)

  • 황유모;김정훈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3권10호
    • /
    • pp.1337-1346
    • /
    • 2014
  • Power system technologies in the area of smart grid are being converged with communication system technologies or information technologies(IT). This interdisciplinary action affects on two parts vigorously so that IT has become a essential part of power industry. But terminologies of two parts are confused and it is necessary that these are standardized to develop the industry. The writing system of the Open Korean Knowledge Dictionary for standardization of smart grid terminologies which are IEC TC 57 glossary and non-glossary is proposed. The writing system includes the process of collection, writing guideline and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ies. Writing results of 90,000 terminologies for electricity, communication and computer fields including smart grid terminologies, which are registered in the Open Korean Knowledge Dictionary, are shown. The system provides the capability of collection and delivery of academic society opinions for the selected and interpreted terminologies through the internet for standardization and industry propagation of smart grid terminologies.

백색소음의 적용에 따른 지적장애 아동의 쓰기 능력과 손 기능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the Changes of the Writing Ability and Hand Function of the Children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White Noise)

  • 손성민;곽성원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65-275
    • /
    • 2019
  • 본 연구는 지적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백색소음을 적용하여 대상자들의 쓰기 능력과 손 기능의 변화를 분석하여 백색소음의 적용에 따른 지적장애 아동의 쓰기 능력과 손 기능 변화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지적장애 아동 12명이며, 백색소음을 적용하여 대상자들의 적용 전, 후 쓰기 능력과 손 기능을 분석하였다. 백색소음의 제공은 백색소음 발생기를 통해 연속적이며, 균일하게 제공하였다. 쓰기 능력의 분석은 KNISE-BAAT(Korea National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Basic Academic Achievement Tests) 도구를 활용하여 표기능력, 어휘구사력, 문장구사력을 평가하였다. 손 기능의 분석은 Manual Function Test(MFT) 도구의 세부항목인 Pegboard 항목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쓰기 능력 분석결과 대상자들의 표기능력과 어휘구사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으며, 문장구사력에서는 향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손 기능 분석결과 양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따라서, 지적장애 아동들의 저하된 쓰기 능력과 손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상적 접근방법으로 백색소음의 적용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며, 지적장애 아동들의 수행수준과 학습수준,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생활공간 및 학습공간에서 백색소음의 제공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이공계 전공글쓰기 교육의 실태 및 현실적인 교육방안: 서울대학교와 해외 대학(MIT, Stanford)의 사례를 중심으로 (The Condition and Practical Solution of Writing Education in the Major of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Focus on the Case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and Stanford University)

  • 정소연;김상철;박준영;유병준;조용민
    • 공학교육연구
    • /
    • 제14권4호
    • /
    • pp.20-28
    • /
    • 2011
  • 현재 이공계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은 전공글쓰기 교육이 부재하고 교양글쓰기 교육에만 치중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으로 본고는 서울대학교의 이공계 전공글쓰기 교육 실태를 분석하고 MIT, Stanford University와의 사례 비교를 통해 전공글쓰기 교육의 현실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서울대학교의 실태를 분석한 결과, 전공글쓰기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학생들의 높은 수요에 비해 전공글쓰기 교육을 담당할 교원과 그들의 인식이 해외대학에 비해 부족해 전공글쓰기 교육과정이 부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현실적으로 적용가능한 전공글쓰기 교육방안으로서 <전공설계과목>의 과제물에 대해 기존의 교양글쓰기 교원이 투입되어 3~4회의 피드백을 줌으로써 전공글쓰기 교육을 집중적으로 받는 1학점을 추가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한국 학생들의 영작문 전략: 텍스트 분석과 교사와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English Writing Strategies of Korean Students: Exploring Written Texts and Interviews with the Teacher)

  • 이영화;김선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829-839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한 대학에 개설된 영작문 수업에서 수사 패턴과 의미 구성을 통해 학생들의 영작문 전략을 살펴보는 것이다. 참여자는 선택 과목으로 개설된 영작문 수업의 교사와 학생들이며, 학생들이 작성한 영어 의견문과 교사와의 인터뷰가 주된 데이터이다. 데이터 분석을 위해 '주장-근거' 패턴이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89%의 학생들이 주장, 근거, 그리고 결론의 요소를 사용하였으며, 또한 89%의 학생들은 수업 시간에 사용된 교과서에 등장하는 모델 글의 내용을 그대로 모방하거나 혹은 미미한 수준으로 발전시켜 자신들의 글 내용을 구성하였다. 이는 작문에서 창조성과 상상력을 가장 중요시하는 교수자의 수업의도와는 매우 동떨어진 것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 수업에서 좋은 점수를 얻기 위한 학생들의 '수용'전략으로 해석되어질 수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은 학생들은 교사의 수업 의도와는 상관없이 재설정된 환경에서의 성공을 위해 자신들의 방식으로 영어 작문을 위한 나름의 전략을 구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약학대학생들의 입학전형요소와 학업성취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Relationship between Entrance Qualifications and Academic Performance of Pharmacy Students)

  • 원권연;주상훈
    • 약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250-254
    • /
    • 2014
  • Background: A new admission procedure was introduced to Korea when Doctor of Pharmacy (Pharm. D.) program was first established in 2011. In the new procedure, applicants are reviewed based on quantitative qualifications, which include Pharmacy Education Eligibility Test (PEET) scores, Test of English for International Communication (TOEIC) scores, and grade point average (GPA), as well as qualitative qualifications such as essay writing,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cluding volunteer experiences. Purpose: This study aimed to find relationships between entrance qualifications and academic performance of pharmacy students. Method: Entrance qualifications and academic performance of 164 first-year students were analyzed from 2011 to 2013 at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Other characteristics such as age and gender were also considered in the study. Results: Only GPA and TOEIC scores showed positive Pearson correlation with academic performance, while PEET scores did not. Conclusion: GPA and TOEIC scores could potentially have predictive validity for academic performance in pharmacy school. PEET scores, however, should simply be considered as pre-entrance qualifications, without predictive validity for academic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