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outh Well-being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3초

자아존중감과 성역할태도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청년기 남녀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elf-Esteem and fender Role Attitude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Youth)

  • 홍성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4권5호
    • /
    • pp.37-51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esteem and gender role attitudes on youth's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408 young men and women. All respondents answer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Pearson'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young men and women were high. (b) There were changes toward the non-traditional direction in gender role attitudes of the youth. The young women exhibited more non-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s than the young men. (c) Self-esteem and family socioeconomic status showed positive influence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youth. However, gender role attitudes were not associated with youth psychological well-being.

청소년의 개별성-관계성과 안녕감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dividuality-relatedness and well-being of the youth on creativity)

  • 이지혜;이창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087-2098
    • /
    • 2011
  • 본 연구는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에 대한 탐색 연구로 청소년의 개별성-관계성과 안녕감이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소재 중 고등학생 836명에게 통합 창의성, 개별성-관계성, 통합 안녕감을 측정하는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하고 이들의 관계성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개별성, 관계성, 안녕감이 높은 청소년이 창의성이 높았다. 개별성, 관계성, 안녕감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력에는 차이가 있었는데, 개별성, 안녕감, 관계성의 순으로 설명력이 높았다. 창의성의 차원을 하위차원으로 구분하여 분석해본 결과 창의적 동기에는 개별성, 심리적 안녕감, 관계성의 순서로 설명력이 높았고, 창의적 태도에는 개별성, 관계성, 심리적 안녕감의 순서로 설명력이 높았다, 창의적 능력에는 개별성, 심리적 안녕감, 관계성, 정서 안녕감, 사회 안녕감의 순으로 모든 예언변인이 유의미하였다.

기본심리욕구와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투지의 매개효과: 한국과 중국 청소년 비교 연구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ubjective Well-being: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Chinese Adolescents)

  • 정구철;김영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397-407
    • /
    • 2020
  •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청소년들의 기본심리욕구와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투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한국과 중국 청소년 각각 150명씩 총 300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 청소년들은 기본심리욕구의 자율성이 유의하게 높았고, 중국 청소년들은 유능성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기본심리욕구와 투지 및 주관적 웰빙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기본심리욕구가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한국 청소년들이 중국 청소년들보다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본심리욕구가 투지를 통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투지의 매개효과는 중국 청소년들이 한국 청소년들보다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들의 주관적 웰빙을 증진시키기 위한 투지의 중요성을 논의하고, 한국 청소년들의 유능성 증진과 중국 청소년들의 자율성 증진을 위한 접근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Influence of Cultural Activities on Korean Youth Fashion From 1997 to 2004

  • Cho Yeagene;Park Meegnee
    •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and Fashion
    • /
    • 제4권2호
    • /
    • pp.30-39
    • /
    • 2004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various cultural activities of the Korean youth including the subcultural and popular cultural activities and their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s on the youth fashion during the period 1996-2004. This study employs a qualitative approach based on the previous discussions of relevant literatures dealing with Korean youth culture and their fashion style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most prominent characteristic in youth fashion of the period was 'bricolage.' The appearance of 'Seotaiji' and the activities of his group laid the cornerstone of youth culture in the early 1990's.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changed the conventional sexism and androgynous outfit thrived. The androgynous effect also had strong influence on men's fashion in what turned out to be Metro-Sexual in early 2004. During the period 2000-2004 the postmodernism regained its popularity both in culture and fashion. 'Body' was also an important part of youth culture and has become the most popular and prevalent word of this era. At the same time the 'Well-Being' and sports look were the new trend of youth fashion. Sports look, also known as Caports, is one of these new trends and the most important youth fashion style like mix & match reformation. The youth became more and more aware of the body image and were interested in fashion as well. This trend awareness of their body and Well-Being image as well as their inclination to the fashion in the youth is expected to continue. Therefore the fashion industry, as their marketing strategy, need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trends among the youth and to prepare for the future need of youth fashion.

청소년의 봉사활동 참여정도와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Verification of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vel of participation in volunteering activity and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 김상우;장혜영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46-56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affects the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that is, their subjective well-being. In addition, we would like to see if adolescents can improve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away from the negative emotions they are currently feeling through physical activities such as hand-help and consolation activities and check if self-esteem has mediating effects in this process. Design: Survey.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by the surveyor, with a total of 9,041. Results: First, it shows that the higher frequency of adolescents' physical activity leads to higher self-esteem and subjective well-being. Second, it shows that the higher the self-esteem leads to higher subjective well-being felt by adolescents. Third, the level of youth physical activity itself contributes to subjective well-being while also affecting self-esteem, and the self-esteem also affects the subjective well-being that adolescents perceive. Conclusion: It will be necessary to provide programs to enhance subjective well-being for students with poor school life adaptation and satisfaction with life, as well as continuous attention such as organization and counseling of programs in schools to enhance self-esteem.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hat by encouraging and guiding teenagers with low satisfaction with life and low self-esteem to physical activities such as volunteer activities and leisure activities that suit their aptitude, and the adolescents will get away from the negative emotions they are currently feeling and increase their satisfaction with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life.

청소년활동이 청소년의 개인, 가족, 학교측면 결과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Youth Activity by Aspects of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Life on Youths -Focusing on Mediated Effects of Self-Esteem -)

  • 김순규;최혜정;박신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4호
    • /
    • pp.189-207
    • /
    • 2012
  • 본 연구는 청소년활동이 청소년의 개인과 가족, 학교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더불어 자아존중감을 매개변수로 고려하여 청소년의 건강한 발달에 청소년활동이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지역 중, 고등학교 청소년 1,088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최종 1,063명의 자료를 SPSS 19.0과 Amos 18.0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청소년활동은 청소년의 개인과 가족, 학교차원에 정(+)적인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활동은 개인차원에서 자아존중감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과 학교차원에서는 자아존중감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활동이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를 자아존중감이 매개한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결론에서는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청소년 활동의 활성화 방안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 PDF

무엇이 한국 청소년들을 행복하게 하는가: 부모의 양육행동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율성의 매개효과 (What Makes Korean Youth Happy: Self-Directedness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nd Subjective Well-Being)

  • 최아라;이숙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7권4호
    • /
    • pp.499-512
    • /
    • 2019
  • Korean adolescents have a lower subjective well-being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in other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member countries as well as experience more psychological difficulties than adults. Previous research shows that parenting behavior has a considerable influence on adolescent subjective well-being. Additionally, the personality dimension of self-directedness, the ability to regulate personal behavior to obtain onindividual goals, has a positive influence on subjective well-being.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behavior, self-directedness,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of Korean adolescents as well as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rectednes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behaviors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of adolescents. Participants were 325 middle school students in Gwangju, Korea, who completed measures of self-directedness (from the Korean Junior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subjective well-being (Well-Being Scale of Adolescents in Korea), and perceived parenting behaviors (My Memories of Upbringing - Short Korean version). Results showed that emotional warmth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impact on adolescents' subjective well-being. However, the findings also indica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rect impact mediated by self-directedness. Rejection and overprotec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adolescents' subjective well-being that was mediated by self-directedness. The results provide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to develop programs to improve the subjective well-being of adolescents as well as confirm the importance of parenting behavior and self-directedness during adolescence.

청소년시설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A Exploratory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Youth Facilities Visits)

  • 김신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129-134
    • /
    • 2023
  • 이 연구는 중.고등학교 재학 중인 청소년들의 청소년시설 이용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 가족, 학교 층위의 다양한 변수들에 대한 검토를 통해 밝혀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연구는 「2021 아동·청소년 인권실태조사」 자료를 분석한다. 이 연구가 분석하는 자료는 국책연구기관과 전문 조사기관에 의해 수집된 전국단위 자료이며 이는 분석결과의 일반화 수준을 최고 수준으로 담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분석결과를 종합하자면, 먼저 청소년시설 이용 수준은 전체적으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시설 이용에 강건하게(robust)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응답자연령'과 '인권관련지식정보'였다. 즉 나이가 어리고 인권에 대한 지식이나 정보가 관심이나 정보가 많은 청소년이 청소년시설에 적극적임을 알 수 있다. 가족 및 학교 차원 변수들에서는 욕이나 체벌의 경험정도 및 인권침해 경험의 정도가 청소년 시설 이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는 청소년 시설이 소위 인권위기상황 청소년들에게 일종의 쉘터(shelter)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고 짐작해 볼 수 있는 대목이다. 청소년시설이용을 주제로 한 연구들은 축적된 연구물 자체도 많지 않거니와, 대부분의 연구들이 특정 지역의 청소년시설 이용에 대한 기술적 연구에 국한되어있다. 따라서 이 연구가 구성하는 모형은 이론적 숙고와 문헌검토에 기반했다라기 보다는 연구자의 직관과 자료활용가능성을 고려하여 구성하였음을 밝힌다.

청소년 안녕감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및 지역사회자본의 매개효과 -학교부적응 청소년 대상으로- (The Effects of Youth Well-being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ith Mediation Effect of Community Social Capital -for School-maladjusted Youth-)

  • 송경미;조성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672-68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부적응 청소년을 대상으로 청소년 안녕감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및 지역사회자본의 매개효과에 대하여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울산광역시의 학교부적응 청소년 11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R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토대로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통한 3단계 매개효과 분석과 Sobel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청소년 안녕감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 안녕감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지역사회자본의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는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청소년 안녕감이 높아지고, 다양하며 유의미한 정(+)적 지역사회자본이 많을수록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청소년 안녕감을 높일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용 및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을 반영한 진로탐색과 결정에 도움을 주는 전문화된 상담서비스의 체계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따라서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청소년 안녕감의 강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지역사회자본을 통한 다양한 전략이 마련되어야 하겠다.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취업모의 다중역할의 질과 심리적 안녕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mployed Mothers's Quality of Multiple Rol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upon Mothers' Parenting Behavior)

  • 김희진;장영은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93-607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adults' knowledge, dietary behavior related to sodium, and attitude towa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quality of multiple rol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upon parenting behavior among employed mothers. The subjects were 172 employed mothers living in Seoul,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quality of parental role was related to all of subscales of parenting behaviors of employed mothers. Second, employed mothers' higher autonom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reater intimacy and reasoning guidance in their parenting. Third, employed mothers with greater positive relationship and autonomy were more likely to exhibit limit setting. Finally, higher level of environmental mastery and autonomy was related to greater parental involvement. Mothers' psychological well being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mothers' responsiv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