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ouTube 동영상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37초

유튜브 정치동영상이 태도극화에 미치는 효과: 선택적 노출과 정치성향, 정치관심도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YouTube Political Videos on Attitude Polarization: Focusing on the Interaction Effect of Selective Exposure, Political Orientation, and Political Interest)

  • 이민규;이유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1-13
    • /
    • 2022
  • 본 연구는 유튜브 정치동영상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선택적 노출과 정치적 성향, 정치적 관심도의 태도극화에 대한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보았다. 주요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문제 1, 연구문제 2와 관련하여 유튜브 정치동영상 이용자들의 선택적 노출과 정치적 성향에 대한 태도극화, 선택적 노출과 정치적 관심도에 대한 태도극화를 살펴본 결과, 선택적 노출에서 동일하게 태도극화 '나'에 대한 주 효과가 발견되었다. 그러므로 유튜브 이용자들의 정치동영상에 대한 선택적 노출이 높아질수록 유튜브 이용자 자신의 태도극화가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3과 관련하여 유튜브 정치동영상 이용자들의 정치적 성향과 정치적 관심도에 대한 태도극화를 살펴본 결과, 정치적 성향과 정치적 관심도의 태도극화 '나' 에 대한 상호작용효과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진보적 성향이나 보수적 성향 모두 정치적 관심이 높을 때, 유튜브 이용자 자신의 태도극화도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 청소년들(Tweens)의 정보요구와 유튜브(YouTube)에서의 정보추구행태 (Tweens' Information Needs and Information Practices on YouTube)

  • 김지현;구정화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275-301
    • /
    • 2021
  • 본 연구는 초기 청소년들이 일상에서 가장 선호하는 정보원이자 정보검색 도구로 사용되고 있는 유튜브(YouTube) 모바일 동영상 플랫폼상에서의 정보이용행태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초기 청소년들의 일상생활 속에서의 고민 즉 정보요구는 무엇이며 이 정보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어떤 정보원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유튜브 매체를 이용할 때의 정보요구와 이용행태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초기 청소년(12~14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집후 통계분석하여 각 인구학적 특성별로 정보이용행태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초기 청소년들은 유튜브를 이들의 일상정보요구를 만족시키는 중요 정보원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특히 여가정보를 찾기 위해 가장 빈번히 그리고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있었다. 또한, 초기 청소년들은 찾기 쉽고 간단하며 편리하기 때문에, 그리고 쉬운 동영상 정보가 많기 때문에 유튜브에서 정보를 주로 탐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밝혀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도출하고, 학교 및 공공도서관으로 대표되는 정보기관들에서 초기 청소년들을 위한 정보서비스를 기획할 때 참고해야 할 요소들을 제언하였다.

유투브(YouTube) 이용자들의 참여에 따른 한류의 확산: 홍콩의 10-20대 유투브(YouTube) 이용자조사를 중심으로 (Developing the Korean Wave through Encouraging the Participation of YouTube users : The Case Study of the Korean Wave Youth Fans in Hong Kong)

  • 송정은;장원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55-169
    • /
    • 2013
  • 본 연구는 한류 팬들의 유투브 참여의 의미와 특성 및 참여형태에 따른 한류 팬들 간의 관계형성을 알아보고, 한류 팬의 유투브 참여가 한류의 확산에 미칠 영향력을 고려할 것이다. 나아가 한류 팬의 유투브 참여를 통하여 한류 콘텐츠 다양화 방안을 모색할 것이다. 연구방법은 홍콩의 10-20대를 대상으로 집단토론 인터뷰 형식의 파일럿조사와 3차례 이메일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홍콩의 조사 참여자들은 유투브에서 한류 관련 동영상 검색을 비롯하여 댓글을 남기거나 자신의 스타를 촬영한 동영상을 제공하는 등 능동적으로 소비하였다. 또한 자기표현 및 한류를 매개로 타인과의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하여 한류 관련 동영상을 유투브 외에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공유하였다. 이와 같이 홍콩의 한류 팬들은 유투브를 매개로 한류를 그들의 일상 속 문화로 수용하며 한류 콘텐츠를 재생산 및 확산하여 한류가 세계적으로 양방향 소통이 되는데 일조하고 있다.

국가기록원 유튜브 동영상 콘텐츠 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YouTube Videos Content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 박옥남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515-53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기록원 유튜브 영상에 나타난 콘텐츠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7년부터 5년 동안 국가기록원이 게시한 324개의 동영상에 대한 키워드, 동영상 관련 데이터, 시청자 반응을 수집하였으며, 소셜 네트워크 분석, 토픽모델링, 내용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가기록원 유튜브 영상을 주도하는 주요 키워드, 7개의 대주제 및 20개의 소주제를 확인하고, 유튜브 영상 및 키워드 네트워크 특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영상의 외형적 특성, 영상편집 및 전달방식, 콘텐츠 등장인물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국가기록원 유튜브 영상은 기록관의 기본 기능을 소개하고, 기록물에 대한 시청자의 관심을 유도하기 위하여 장소, 역사, 행사 등의 다양한 주제와 관련한 영상을 게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청자 반응이 저조하고, 시청자가 흥미를 이끌 수 있는 콘텐츠의 부족, 시청자와 상호작용하거나 의사소통할 수 있는 채널 운영의 부족 등 보완점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국가기록원 영상이 더 많은 이용자에게 확산되기 위한 제안으로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유튜브 동영상 속 죽음과 삶을 통한 웰다잉(well-dying)과 웰에이징(well-aging) 연구 (A study of well-dying and well-aging through death and life in YouTube videos)

  • 권온;강경희;송현동;구진희;김광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299-309
    • /
    • 2022
  • 유튜브 동영상은 해당 분야의 최신 트렌드를 확보하고 있으며 시청자의 선호도와 비선호도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최근 죽음 관련 유튜브 동영상을 조사하고 삶, 웰다잉, 웰에이징 등과의 관련성을 탐색하여 한국인의 건강한 삶 구축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한다. 조사 기간 및 대상은 2019년~2021년에 업로드 된 동영상 13편이다. 조사 결과 의사를 포함한 25인의 화자를 확보하였다. 동영상 화자들은 전문가의 입장에서 죽음 논의를 다채롭게 전개하였는데 핵심 사항으로는 삶의 진정한 가치, 두려워할 필요 없는 죽음, 희망의 소중함, 죽음의 자연스러움 등이 있었다. 삶, 죽음, 웰에이징, 웰다잉 등 4가지 기준에 의거하여 11개의 전문가 관점을 4가지 유형으로 재구성하였다. 특정 시기에 추출한 13편을 연구하였다는 제한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유튜브 동영상이 자유로운 소통의 장(場)임을 밝혔다. 그것은 향후 우리 삶의 건강 유지와 향상, 융복합 연구 응용 등에 일정 부분 기여할 수 있다.

IMC 관점에서 국내기업의 유튜브채널 분석 (Analysis of YouTube Channels of Domestic Companies from IMC Perspective)

  • 김병대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9권3호
    • /
    • pp.127-140
    • /
    • 2020
  • 본 연구는 인터넷과 유튜브채널의 급격한 성장으로 인해 국내기업들의 마케팅전략의 방식이 다양성에 따라 국내기업들의 유튜브채널 분석을 실시하였다. 유튜브 채널의 분석은 유튜브랭킹 사이트의 "회사/오피셜" 상위100위 국내 기업 유튜브채널의 구독자 수, 재생 수, 동영상 수, 국내기업의 분류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가장 많은 구독자를 보유한 기업은 453만명으로 Samsung(samsung mobile)이며, 가장 많은 재생 수는 5억 4,469만 회로 Samsung(samsung mobile), 가장 많은 동영상을 보유한 채널은 11,416개의 League of Legends-Korea로 나타났다. 가장 많은 제품의 분류는 식품/외식기업이 유튜브 활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새로운 마케팅전략의 관점으로 유튜브 채널을 분석으로 기업에서 급성장 하고 있는 유튜브의 활용은 통합마케팅커뮤니케이션의 새로운 도구이다. 기업의 마케팅전략이 쌍방향적인 소통이 가능한 유튜브채널이 향후 유튜브 콘텐츠 제작 시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동 차량을 위한 동영상 콘텐츠 전송 기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Video Content Delivery Scheme for Mobile Vehicles)

  • 김태국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41-45
    • /
    • 2021
  • 본 논문은 이동 차량을 위한 동영상 콘텐츠 전송 기법에 관한 연구이다. 오늘날 우리는 출퇴근의 많은 시간을 전철, 차량 등 이동 차량에서 보내고 있다. 그리고 이동 차량에서의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 YouTube, Netflix 등과 같은 동영상 서비스를 즐기는 이용자가 급증하고 있다. 동영상 콘텐츠는 텍스트 기반의 콘텐츠 보다 데이터양이 큰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통신 데이터 사용량이 급증하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제안한 동영상 콘텐츠 전송 기법은 이동 차량이 무료 Wi-Fi 지역에 있을 때, 시청 중인 동영상 콘텐츠를 미리 많이 다운로드 받는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이동 차량에서 동영상 콘텐츠를 적은 비용으로 즐길 수 있다. 제안한 기법은 이동 물체를 위한 사물인터넷(IoT)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YouTube-based Educational Video Recommendation System

  • Kim, Young Kook;Kim, Myung H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37-45
    • /
    • 2022
  • 2020년 기준 대표적인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인 유튜브에는 1분에 약 500시간의 동영상이 업로드되고 있다. 이에 업로드된 다수의 다양한 동영상을 통해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의 수가 늘고 있어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들은 더 나은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추천 서비스는 사용자의 시청 기록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동영상을 추천하는데 이는 교육용 동영상과 같이 특정 목적 및 관심사를 다루는 동영상 추천에 좋은 방법이 아니다. 최근 추천 시스템은 사용자의 시청 기록뿐만 아니라 아이템의 콘텐츠 특징을 함께 활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유튜브를 기반으로 교육용 동영상 추천을 위한 교육용 동영상의 콘텐츠 특징을 추출하고, 이를 활용하는 추천 시스템을 설계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한다. 사용자들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추천 시스템의 추천 성능의 만족도 85.36%, 편의성 만족도 87.80%를 보인다.

유튜브 여행 동영상의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이 사용자 참여에 미치는 영향 (The Differential Impacts of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on Travel-Related YouTube Video Engagement)

  • 김희진;송하연;유진영;최성철
    • 서비스연구
    • /
    • 제13권3호
    • /
    • pp.1-19
    • /
    • 2023
  • 여행 마케팅 분야에서 브이로그와 같은 동영상 기반 소셜미디어 컨텐츠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청자 반응 및 참여 행동을 향상시키는 콘텐츠 특징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유튜브 여행 콘텐츠의 나타난 감정이 시청자 참여 행동, 특히 "좋아요"와 "댓글" 작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방문자 수가 높은 세계 8개 관광도시에 관한 여행 관련 유튜브 동영상 4,619개의 나래이션을 머신러닝으로 추출하여 텍스트화 한 후 음이항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긍정 감정 및 부정의 감정 모두 "좋아요" 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동영상에서 나타난 긍정적인 감정과 부정적인 감정이 각각 높을수록 더 많은 시청자들이 "좋아요"를 클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댓글 수에 측면에서는 부정적인 감정만 유의한 영향을 보인 반면 긍정적인 감정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경험재인 여행 상품의 고유한 특성을 고려할 때 유튜브에서 시청자 참여를 높이고자 하는 마케터들에게 어떠한 동영상 특징이 "좋아요"와 댓글등의 참여 행동을 유도할 수 있는지를 이해하고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준다는 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또한 소셜 미디어, 특히 유튜브의 맥락에서 시청자 참여도에 미치는 감정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향후에는 감정에 대한 긍정-부정의 분류를 넘어 특정 감정이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을 통해 소셜 미디어 동영상에 나타난 감정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깊이 할 수 있을 것이다.

유튜브 이용자의 제20대 대통령선거 이슈 이용: '대장동 개발 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Use of the 20th Presidential Election Issues on YouTube: A Case Study of 'Daejang-dong Development Project')

  • 김춘식;홍주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4호
    • /
    • pp.435-444
    • /
    • 2022
  • 이 논문의 주요 관심사는 세 가지이다. 첫째, 유튜브 이용자가 제20대 대통령선거의 주요 의제이자 후보자 선택의 기준인 '대장동 개발 사업' 콘텐츠를 어떤 채널을 통해 시청했는지 확인했다. 둘째, 연이어 '대장동 개발 사업' 동영상을 시청했을 때 후속 동영상의 정치적 논조가 최초 시청 동영상의 정치적 논조와 일치하는지 비교했다. 셋째, 최초 동영상과 후속 시청 동영상에 달린 댓글에 담긴 정서 유인가를 살폈다. 네트워크 분석과 내용분석 결과에 따르면 '김어준의 뉴스공장'과 'TV조선 뉴스'가 진보와 보수를 대표하는 채널이었다. 그리고 연이어 시청한 후속 채널의 정치적 성향은 진보와 보수 채널 이용자 모두 중립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둘째, 보수 채널 이용자의 75.9%, 그리고 진보 채널 이용자의 18.5%가 동일한 논조의 후속 동영상에 댓글을 남겼다. 셋째, 진보와 보수 채널 이용자의 약 80%가 최초 시청 동영상에 남긴 댓글의 정서는 이용 채널의 정치적 성향과 일치했고, 동일한 논조의 후속 동영상을 연이어 시청했을 때도 남겨진 댓글의 90% 이상이 이용 채널의 정치적 성향과 일치했다. 연구자들은 유튜브 정치 정보 이용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안으로 뉴스 채널의 고품질 저널리즘 실천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