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Xanthomonas

검색결과 431건 처리시간 0.035초

토양에서 분리된 Xanthomonas sp.의 Chitinase 유전자 cloning과 E.coli에서의 발현 (Cloning of a Chitinase Gene of Xanthomonas sp. Isolated from Soil and its Expression in E. coli.)

  • 김호상;성기영;은무영;황철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2호
    • /
    • pp.125-129
    • /
    • 1998
  • 한국 토양에서 분리된 Xanthomonas sp.는 Candida albicans에 대한 용균성을 나타내며 분비효소로서 chitinase를 분비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특히 chitinase활성은 chitin배지에서 배양했을 때 3일 배양에서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특성이 있는 Xanthomonas의 chitinase 유전자를 cloning하기 위하여 cosmid vector를 이용한 genomic library를 작성하였으며, 다른 박테리아 chitinase 유전자와 homology를 가진 지역의 DNA sequence를 oligonucleotide로 합성하여 probe로 사용한 결과 4개의 독립된 positive clone을 cloning 하였다. 이중 pXCHl(1.2 kb insert) 이라고 명명한 clone에 대해 해석한 결과 이 크론의 전사산물은 chitin 배지에서만 유도됨을 확인하였으며 대장균 발현 vector를 이용한 이 유전자의 대장균에서의 발현에 대한 실험의 결과 약 35 kDa의 단백질을 생산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이 산물의 chitinase활성을 측정한 결과 유전자가 포함되지 않은 산물에 비해 약 10배의 활성을 나타내어 이 유전자를 Xanthomonas sp.의 chitinase유전자임을 증명하였다.

  • PDF

Xanthomonas translucens KCTC 2751의 최적배양과 빙핵 활성 검토 (The Investigation on the Optimum Culture Conditions and the Ice Nucleating Activity of Bacterium Xanthomonas translucens KCTC 2751)

  • 김영문;강성일;장영부;전병진;공재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49-255
    • /
    • 2006
  • 본 실험에서는 기존의 실험 방법인 Vail에 의해 고안된 drop freezing method에 의하여 빙핵활성을 측정하는 방법보다 정확한 빙핵활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thermocouple을 사용한 Thermoelectric thermometry를 응용하여 장치를 제작하여 과냉각도와 과냉각 시간을 보는 방법으로 빙핵활성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균주는 KCTC에서 분양받은 Xanthomonas translucens KCTC 2751을 이용하여 균체 생장과 빙핵활성의 최적 조건을 검토하였다. 탄소원의 영향에서는, 1.0%(w/v) maltose에서, 질소원으로는 1.4% yeast extract(w/v)와 0.8% digested of gelatin(w/v), 무기 염류에서는 0.03% KCI, 온도와 초기 pH는 각각 $25^{\circ}C$, 6.5에서 균체 생장이 뛰어났고 과냉각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최적 배양 조건은 초기 배양 조건 보다 균체의 양은 5배나 증가하였으며 과냉각도도 $-1.76^{\circ}C$에서 $-1.36^{\circ}C$로 상승하였다. 그리고 Xanthomonas translucens KCTC 2751를 첨가한 증류수의 과냉각도는 균체를 첨가하지 않은 증류수의 과냉각도$(-7.9^{\circ}C)$보다 $6.54^{\circ}C$ 높게 나타났으며,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빙핵제인 silver iodide를 첨가한 증류수의 과냉각도$(-1.56^{\circ}C)$ 보다 $0.2^{\circ}C$ 높게 나타났다. 동결 농축 실험은 균체를 첨가한 saccharose 수용액은 200 min 경과 후에는 동결 실험 전에 비하여 약 2.5배가 증가하였고, 동결 부분의 용질 농도는 약 30% 정도 로 감소하였는데 비해 균체를 첨가하지 않은 수용액은 약 2.1배가 증가하였고, 동결 부분의 용질 농도는 약 40% 정도로 감소하였다.

중합효소연쇄 반응에 의한 벼 흰잎마름병균의 특이적 검출 (PCR-Based Sensitive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 Lee, Byoung-Moo;Park, Young-Jin;Park, Dong-Suk;Kim, Jeong-Gu;Kang, Hee-Wan;Noh, Tae-Hwan;Lee, Gil-Bok;Ahn, Joung-Kuk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56-264
    • /
    • 2004
  • 본 연구는 벼의 세균병 중 치명적인 흰잎마름병을 유발하는 Xanthomonas oryzae pv. oryzae를 검출할 수 있는 프라이머를 개발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X. o. pv. oryzae str. KACC10331의 hpaA유전자 염기서열로부터 흰잎마름병만을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프라이머를 제작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에 사용하였다. 개발된 특이 프라이머는 X. o. pv. oryzae str. KACC10331과 X. campestris pv. vesicatoria, X. campestris pv. campestris, X. axonopodis pv. citri 그리고 X. axonopodis pv. glycines의 phaA유전자 염기서열의 상동성을 비교하여, 그 중 X. o. pv. oryzae만이 가지는 특이적인 부분을 바탕으로 각각 20-mer인 XOF와 XOR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실시한 결과 반응 후 생성된 단편의 크기는 534-bp였다. 반응 후 생성된 단편은 Southern hybridization을 통하여 Xanthomonas 균주들의 hpaA유전자 존재 여부 및 그 상동성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또한 제작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흰잎마름병에 감염된 벼 잎에서의 검출 여부를 확인하였고 X. o. pv. oryzae의 순수 균주 배양액을 중합효소연쇄반응에 이용하여 검출한계를 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작된 프라이머를 사용한 중합효소연쇄 반응 방법은 X. o. pv. oryzae의 검출 뿐만 아니라 흰잎마름병의 발생 예찰에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 되었다.

PCR Assay 이용 콩 종자에서 Xanthomonas axonopodis pv. glycines 검출 및 종자오염 조사 (Detection of Xanthomonas axonopodis pv. glycines and Survey on Seed Contamination in Soybean Seeds Using PCR Assay)

  • 홍성준;홍연규;이봉춘;임미정;윤영남;황재복;송석보;박성태
    • 식물병연구
    • /
    • 제13권3호
    • /
    • pp.145-151
    • /
    • 2007
  • Xanthomonas axonopodis pv. glycines에 의해 발병되는 콩 불마름병은 한국에서 콩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중요한 세균성 병해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Xanthomonas axonopodis pv. glycines를 종자에서 검출하기 위해 PCR기법을 이용하였으며, 한국의 36개 주요 콩 품종의 종자 오염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병원균 검출과 동정을 위한 PCR assay와 dilution plating assay를 비교하였다. PCR assay를 이용하여 인공접종에 의한 이병종자와 자연감염된 이병종자로부터 병원균 검출을 확인하였다. PCR assay를 통한 이런 결과는 dilution plating assay와 비슷한 결과를 보여 주었으며 종자에서 병원균을 검출하는 다른 전통적인 방법보다 더 효과적인 방법으로 증명되었다. 36개 주요 콩 품종의 X. axonopodis pv. glycines에 의한 종자 전염을 확인한 결과 풍산나물콩, 만리콩, 태광콩, 대망콩, 아주까리콩에서 병원균이 검출되었다. 그러므로 PCR assay는 콩 종자에서 신속하고, 민감하게 X. axonopodis pv. glycines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Selection of Small Synthetic Antimicrobial Peptides Inhibiting Xanthomonas citri subsp. citri Causing Citrus Canker

  • Choi, Jeahyuk;Park, Euiho;Lee, Se-Weon;Hyun, Jae-Wook;Baek, Kwang-Hyu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3권1호
    • /
    • pp.87-94
    • /
    • 2017
  • Citrus canker disease decreases the fruit quality and yield significantly, furthermore, emerging of streptomycin-resistant pathogens threatens the citrus industry seriously because of a lack of proper control agents. Small synthetic antimicrobial peptides (AMPs) could be a promising alternative. Fourteen hexapeptides were selected by using positional scanning of synthetic peptide combinatorial libraries. Each hexapeptide showed different antimicrobial spectrum against Bacillus, Pseudomonas, Xanthomonas, and Candida species. Intriguingly, BHC10 showed bactericidal activity exclusively on Xanthomonas citri subsp. citri (Xcc), while BHC7 was none-active exclusively against two Pseudomonas spp. at concentration of $100{\mu}g/ml$ suggesting potential selectivity constrained in hexapeptide frame. Three hexapeptides, BHC02, 06 and 11, showed bactericidal activities against various Xcc strains at concentration of $10{\mu}g/ml$. When they were co-infiltrated with pathogens into citrus leaves the disease progress was suppressed significantly. Further study would be needed to confirm the actual disease control capacity of the selected hexapeptides.

Xanthomonascampestris pv. pruni와 Erwinia nigrifluens에 의한 복숭아 및 자두의 세균성구멍병 (Shot Hole of Peach and Japanese Plum Caused by Xanthomonas campestris pv. Pruni and Erwinia nigriflens in Korea)

  • 최재을;이은정;박영섭
    • 식물병연구
    • /
    • 제6권1호
    • /
    • pp.10-14
    • /
    • 2000
  • 1998년 나주와 밀양에서 재배중인 복숭아와 자두에서 세균성 구멍병이 발생하였다. 복숭아와 자두의 병반으루부터 분리한 균주의 세균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병원세균 중 2균주는 Xanthomonas campestris pv. pruni로, 3균주는 Erwinia nigrifluens로 동정되었다. E. nigrifluens는 국내에서는 복숭아와 자두의 세균성 구멍병으루 처음 분리되었다. 이 균주는 X. campestris pv. pruni에 의한 병징과 구분하기가 곤란하고, 2종류의 병워세균이 동시에 침입하여 발병하는 것으루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이유로, E. nigrifluens와 X. compestris pv. pruni에 의한 복숭아와 자두의 세균병을 각각 \"복숭아, 자두의 세균성구멍병\"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할 것을 제안한다.

  • PDF

PCR-Based Assay for Rapid and Specific Detection of the New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K3a Race Using an AFLP-Derived Marker

  • Song, Eun-Sung;Kim, Song-Yi;Noh, Tae-Hwan;Cho, Heejung;Chae, Soo-Cheon;Lee, Byoung-M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4권6호
    • /
    • pp.732-739
    • /
    • 2014
  • We describe the development of a 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 for the rapid, precise, and specific detection of the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Xoo) K3a race, the bacterial blight pathogen of rice. The specific primer set was designed to amplify a genomic locus derived from an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specific for the K3a race. The 1,024 bp amplicon was generated from the DNA of 13 isolates of Xoo K3a races out of 119 isolates of other races, pathovars, and Xanthomonas species. The assay does not require isolated bacterial cells or DNA extraction. Moreover, the pathogen was quickly detected in rice leaf 2 days after inoculation with bacteria and at a distance of 8 cm from the rice leaf 5 days later. The results suggest that this PCR-based assay will be a useful and powerful tool for the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Xoo K3a race in rice plants as well as for early diagnosis of infection in paddy fields.

Xanthomonas sp. EPS-1이 생산하는 다당류의 리올로지 특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Exopolysaccharide Produced by Xanthomonas sp. EPS-1)

  • 손봉수;박석규;강신권;이상원;성낙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69-274
    • /
    • 1995
  • For the screening of a new functional exopolysaccharide, sugar composition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exopolysaccharide produced from Xanthomonas sp. EPS-1 were investigated.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of exopolysaccharide was determined to be approximately 2.l $\times$ 10$^{6}$ dalton. The new exopolysaccharide EPS-1 was composed of mannose, glucose, galactose and gluco- samine. IR analysis showed that the exopolysaccharide EPS-1 was assumed to be polymer with carbohydrates. NMR analysis showed that exopolysaccharide EPS-1 was presumed to be 4 units of sugar and trace of CH$_{3}$ group. Exopolysaccharide EPS-1 solution showed a characteristic of non-Newtonian fluid properties. At the concentration of 1.0%, the consistency index and the flow behavior index were shown at 10.8352 poise-sec and 0.4419, respectively. All dispersions were pseudoplastic fluids described accurately by Power-law model. Exopolysaccharide EPS-1 was highly viscous at low concentration, with good stability over a wide range of pH 5 to 13. The excellent compatibility of exopolysaccharide EPS-1 was represented with salts such as sodium chloride.

  • PDF

Xanthomonas campestris pv. vesicatoria에 감염된 고추잎의 친화적, 불친화적 반응에서 세균증식과 수용성 단백질의 전기영동 패턴 (Bacterial Multiplications and Electrophoretic Patterns of Soluble Proteins in Compatible and Incompatible Interactions of Pepper Leaves with Xanthomonas campestirs pv. vesicatoria)

  • 이연경;김영진;황병국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05-313
    • /
    • 1994
  • Typically susceptible lesions were developed on pepper (cv. Hanbyul) leaves inoculated with the compatible strains Ds 1 of Xanthomonas campestris pv. vesicatoria. The lesions appeared first water-soaked and then turned yellow with a chlorotic area. In contrast, the leaves inoculated with the incompatible strain 81-23 initially turned yellow and then developed local necrosis. Multiplication of x. c. pv. vesicatoria in pepper leaves also were distinc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strains. The strain Ds 1 multiplied more greatly than did the strain 81-23 in the infected leaves. X. c. pv. vesicatoria infection of pepper leaves induced the synthesis of soluble proteins, especially more greatly in the compatible than in the incompatible interactions. Some pathogenesis-related (PR) proteins were detected in the intercellular washing fluid (IWF) and extracts of the infected pepper leaves. In particular, the 32 kDa protein on SDS-PAGE gels appeared intensely in the incompatible interaction. In contrast, some proteins with moluecular masses of 65, 71, and 75 kDa disappeared in the infected pepper leaves. Isoelectric focusing could identify the pIs of soluble proteins in infected pepper leaves. The accumulation of the IWF from infected leaves was more conspicuous in the incompatible than the compatible inter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me extremely acidic and basic proteins were induced and accumulated in the intercellular spaces of infected pepper leav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