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XR

검색결과 198건 처리시간 0.026초

Cloning of the Xylose Reductase Gene of Candida milleri

  • Sim, Hyoun-Soo;Park, Eun-Hee;Kwon, Se-Young;Choi, Sang-Ki;Lee, Su-Han;Kim, Myoung-D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7호
    • /
    • pp.984-992
    • /
    • 2013
  • The entire nucleotide sequence of the xylose reductase (XR) gene in Candida milleri CBS8195 sourdough yeast was determined by degenerat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d genome walking. The sequence analysis revealed an open-reading frame of 981 bp that encoded 326 amino acids with a predicted molecular mass of 36.7 kDa.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of XR of C. milleri was 64.7% homologous to that of Kluyveromyces lactis. The cloned XR gene was expressed in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the resulting recombinant S. cerevisiae strain produced xylitol from xylose, indicating that the C. milleri XR introduced into S. cerevisiae is functional. An enzymatic activity assay and semi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PCR revealed that the expression of CmXR was induced by xylose. The GenBank Accession No. for CmXR is KC599203.

XR 기술을 활용한 전시관람 지원 실감콘텐츠 설계 (Design of Immersive Content supporting the Exhibition Viewing using Extended Reality Technology)

  • 문태웅;유정현;조하준;김희동;김석훈;임광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2호
    • /
    • pp.423-424
    • /
    • 2023
  • 본 논문에서 우리의 HMD는 Microsoft의 HoloLens 2와 국내 XR 기업을 비롯한 AR, XR을 이용하여 박물관 관람 지원 콘텐츠를 제시하고자 한다. 증강현실과 더불어 확장 현실의 기술 확장을 보이며 사용자는 박물관이란 공간 내에서 HMD를 착용하고 관람하며 설명 판에 QR코드를 인식하여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각 주제에 맞는 애니메이션을 제공하여 시각적으로의 추가적 요소를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가 기존의 일반적이던 박물관 관람에서 XR이란 새로운 기술의 융합을 접목함으로 시각적 흥미를 갖게 하고 지역마다 특수한 역사, 배경에 맞춘 콘텐츠로서 지역을 알려 더 넓게 사회문제의 하나인 인구 저하에 따른 지역소멸에 지역홍보 차원이나 콘텐츠의 제공, 나아가 XR의 상용화까지 기대할 수 있는 콘텐츠를 기대한다.

  • PDF

XR 콘텐츠 제작을 위한 볼류메트릭 스튜디오 활용 연구 (Research on Utilizing Volumetric Studio for XR Content Production)

  • 이석창;최원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849-857
    • /
    • 2023
  • 볼류메트릭 스튜디오는 XR 콘텐츠 시장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볼류메트릭 캡처 기술에 관한 기술적 연구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댄서들의 움직임을 3D 영상 이미지로 캡처하는 과정과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유의미한 결과를 얻기 위해 볼류메트릭 스튜디오의 인프라와 워크플로우를 평가하여 볼류메트릭 캡처 기술의 실제적 방법론에 관해 탐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볼류메트릭 스튜디오 내에서 영상 이미지 왜곡과 렌더링 시간과 관련된 제한사항들이 확인되었다.

디지털 저작권관리와 Rights Language (Digital Rights Management and Rights Language)

  • 박정희;성평식;이기동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7-13
    • /
    • 2003
  • 인터넷의 발달은 전통적인 0시장에 의한 상거래를, 기술에 의한 안전하면서 세계 시장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전자상거래 구조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전자상거래의 대상은 실물에 대한 상거래와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상거래로 크게 분류할 수 있으며, 실물에 대한 상거래는 전통적 상거래 방식이 컴퓨터로 바꿔 상황이라고 볼 때,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상거래 즉, D-Commerce에 대한 상거래의 개념이 도래하고 있다. 디지털 컨텐츠의 상거래에 필요한 요소 기술에 대한 연구, 그리고 특히 새로운 유통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디지털 저작권권리(Digital Rights Management: DRM)는 디지털 컨텐츠의 보호와 적절한 유통체계를 설립하여 안전하게 상거래를 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이다. XrML은 권리(rights)를 명시하는 언어로써 디지털 컨텐츠와 그에 따른 서비스들을 사용할 수 있는 권리와 조건들을 명시해준다. XrML은 현재 디지털 저작권권리(Digital Rights Management: DRM)에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Rights Language이다. XrML은 ContentGuard가 개발한 DRM 서술 언어로 전 세계 산업계 표준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파트너 회사 확대, 기능 확장, 무료 / 공개 형식으로 보급을 추진중이다.

  • PDF

혈색통연교낭(血塞通軟膠囊)의 산화적 및 흥분성 신경세포독성 억제작용 (Inhibition of Oxidative Stress-induced and Excitotoxic Neuronal Cell Damage by Xuesaitong Ruanjiaonang)

  • 조정숙
    • 약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30-37
    • /
    • 2005
  • Xuesaitong Ruanjiaonang (XR), a soft capsule containing Panax notoginseng saponins as main ingredients, is believed to remove extravasated blood and increase cerebral blood flow by improving blood circulation, and therefore, has been used in China to treat ischemic stroke or hemiplegia caused by cerebral thrombosis. To characterize pharmacological actions of XR, the present study evaluated its effects on neuronal cell damage induced by various oxidative insults or excitotoxic amino acids in primary cultured rat cortical cells. The neuronal cell viability was not affected by XR with the exposure for 2 h at the concentrations tested in this study ($10{\sim}1000\;{\mu}g/ml$). However, significant reduction of the cell viability was observed when the cultured cells were exposed to XR at $1000\;{\mu}g/ml$ for 24 h. XR was found to concentration-dependently inhibit the oxidative neuronal damage induced by $H_{2}O_2$, xanthine/xanthine oxidase or $Fe^{2+}$/ascorbic acid. In addition, it dramatically inhibited the excitotoxic damage induced by glutamate or N-methyl-D-aspartate (NMDA). We found that the NMDA-induced neurotoxicity was inhibited more effectively and potently than the glutamate-induced toxicity. Moreover, XR was found to exert mild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induced by $Fe^{2+}$/ascorbic acid in rat brain homogenates and some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demonstrate neuroprotective and antioxidant effects of XR, showing inhibition of oxidative and excitotoxic damage in the cultured cortical neurons, as well as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and i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Considering that excitotoxicity and oxidative stress pl ay crucial roles in neuronal cell damage during ischemia and reperfusion, these results may provide pharmacological basis for its clinical usage to treat ischemic stroke.

가젯암: 확장현실을 위한 손 제스처 기반 대화형 데이터 시각화 시스템 (Gadget Arms: Interactive Data Visualization using Hand Gesture in Extended Reality)

  • 최준영;정해진;정원기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31-41
    • /
    • 2019
  • 가상 및 증강현실과 같은 확장현실(XR: Extended Reality)은 몰입형 데이터 시각화 및 분석을 위한 거대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확장현실에서 사용자는 3차원 가상 공간을 활용하여 데이터 및 여러 사용자와 사실적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으므로 보다 직관적인 데이터 분석이 가능하다. 그러나 확장현실의 장점을 제대로 활용하기 위한 시각화를 생성하는 것은 복잡한 프로그래밍이 필요하기 때문에 상당히 어려운 일이다. 본 논문에서는 손 제스처만으로 XR을 위한 시각화 전 과정을 수행하고, 모든 3차원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가젯암(Gadget Arms)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에서 분석가는 데스크탑 기반 환경이나 복잡한 프로그래밍을 사용할 필요 없이 XR 기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직관적으로 전체 시각화 공간을 디자인할 수 있으며, 가상의 손을 임의의 3차원 공간에 자유자재로 위치시킬 수 있는 인터랙션을 통해 거대한 3차원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우리는 사용자 연구를 통해 제안된 시스템이 시각화 제작과 공간 활용의 사용성을 크게 향상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ree JS와 React를 이용한 증강현실 웹사이트 구현 (Implementation of Augmented Reality Website Using Three.js and React)

  • 김선화;문상호;이성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29-531
    • /
    • 2022
  •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의 2021년 모바일 증강현실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발전과 더불어 모바일 증강현실 시장의 성장으로 인해 최근 증강 현실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증강현실 서비스를 모바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기별 네이티브 앱을 제작해야 한다. 하지만 이에는 멀티 플랫폼 대응에 소비되는 유지보수 비용과 앱 다운로드로 인한 낮은 접근성 등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최근에는 WebXR Device API를 활용하여 웹 환경에서 증강현실 시스템을 구축이 진행되는 추세이나, WebXR Device API를 사용한 시스템은 아직 연구단계에 있다고 판단된다. 본 논문에서는 WebXR Device API, Three JS, React를 이용하여 반응형 멀티 플랫폼 환경을 구축하여, 모바일 및 웹 사용자에게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구현하였다. 실험 결과 반응형 웹 환경에서 증강현실의 연동을 성공적으로 구현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웹 기반에서 동작되는 증강현실 서비스를 기대해본다.

  • PDF

실감 체험을 위한 공간기반 XR 콘텐츠 제작과 언리얼 엔진의 활용

  • 김기태
    • 방송과미디어
    • /
    • 제27권4호
    • /
    • pp.59-65
    • /
    • 2022
  • 최근 미디어 발달은 융합된 형태로 구성되고 있으며, 실감 혹은 사실감에 입각한 체험의 양질의 성장이 필요한 시대를 영위하고 있다. 공간을 기반으로 다양한 랜드마크로 미디어의 장르를 표현하고 있으며, 실감미디어는 무한 확장의 개념에서 발달하고 있다. XR(eXtended Reality)의 성장에 따른 융합된 H/W와 S/W를 기반으로 대규모 공간과 다중체험 그리고 수준 높은 그래픽 퀄리티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에 기반한 국내 최초 공간기반 XR 콘텐츠 국립광주박물관의 신한선의 여정의 제작 과정을 소개한다.

Fabrication of a Graphene Nanoribbon with Electron Beam Lithography Using a XR-1541/PMMA Lift-Off Process

  • Jeon, Sang-Chul;Kim, Young-Su;Lee, Dong-Kyu
    • Transactions on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s
    • /
    • 제11권4호
    • /
    • pp.190-193
    • /
    • 2010
  • This report covers an effective fabrication method of graphene nanoribbon for top-gated field effect transistors (FETs) utilizing electron beam lithography with a bi-layer resists (XR-1541/poly methtyl methacrylate) process. To improve the variation of the gating properties of FETs, the residues of an e beam resist on the graphene channel are successfully taken off through the combination of reactive ion etching and a lift-off process for the XR-1541 bi-layer. In order to identify the presence of graphene structures, atomic force microscopy measurement and Raman spectrum analysis are performed. We believe that the lift-off process with bi-layer resists could be a good solution to increase gate dielectric properties toward the high quality of graphene F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