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k-family Commitment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7초

A Study on the Influence of Workplace Violence on Employees' Internet Pornography Addiction

  • Choi, Young-Keun
    • 유통과학연구
    • /
    • 제14권11호
    • /
    • pp.19-28
    • /
    • 2016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f workplace bullying and abusive supervision was a correlation as two kinds of workplace violence arouse internet pornography addiction, which influences employe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work-family conflict. This study explores i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can be an interpersonal factor mod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violence and internet pornography addic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Using a survey method, this study distributed the survey to 319 employees working at Korean companies. This study used a serie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sult - In the results, the more job-related bullying or abusive supervision people perceive in the workplace, the stronger their internet pornography addiction are Second, the stronger internet pornography addiction people have, the weaker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stronger work-family conflict are. Finally, when people have higher POS in workplace, workplace bullying and abusive supervision have weaker impact on their internet pornography addiction. Conclusions - For research contributions, this study introduces internet pornography addiction in the context of workplace and investigate workplace violence as the antecedents of internet pornography. Second, this study suggests and empirically verify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s an organizational factor mod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violence and internet pornography addiction. Practically, corporate executives need to recognize the appearance of workplace violence by monitoring the phenomena of employees' internet pornography addiction. Future studies need to be investigated for other types of addiction.

Taking a Closer Look at Bus Driver Emotional Exhaustion and Well-Being: Evidence from Taiwanese Urban Bus Drivers

  • Chen, Ching-Fu;Hsu, Yuan-Chun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1권3호
    • /
    • pp.353-360
    • /
    • 2020
  • Background: Urban bus drivers work under conditions that are among the most demanding, stressful, and unhealthy with higher rates of mortality and morbidity as well as absenteeism and turnover. Methods: Drawing on the job demand-resource model,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s of job characteristics on emotional exhaustion and the effects of emotional exhaustion on job outcomes (including job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in the context of bus drivers. Results: Using self-reported survey data collected from a sample of 320 Taiwanese urban bus drivers, results reveal that role overload and work-family conflict (as job demand factors) positively relate to emotional exhaustion, and organizational support (as a job resource factor)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emotional exhaustion. Emotional exhaustion has negative effects on bo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positively leads to life satisfaction, whereas organizational commitment negatively relates to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 This study concludes that role overload and work-family conflict as two stressors related to job demands and organizational support as the job resource factor to affect emotional exhaustion which further influence well-being in bus driver context. The moderating effects of both extraversion and neurotic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s and emotional exhaustion are evident.

구성원의 지각된 행복감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ccupational Well-Being and Innovative Behavior in the Workplace)

  • 차윤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661-669
    • /
    • 2018
  • 주요 경영관련 저널에서는 매년 '일하고 싶은 회사(100 best companies to work for)'를 발표해 오고 있다. 여기에 선정된 회사들은 높은 기업성과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복지프로그램 제공과 구성원들의 높은 직무만족, 조직몰입, 일-가정 균형 인식, 및 긍정적 정서를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는 조직 구성원들은 이러한 프로그램을 통해 직무만족, 조직몰입, 일-가정 균형에서 오는 안정감과 행복감을 느끼며, 이는 삶에 대한 전반적 만족 및 긍정적 정서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최근 기업들은 조직 구성원들의 심리적 안정과 긍정적 사고가 개인 및 조직의 성과를 향상시킨다는 믿음으로 많은 노력을 해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성원이 지각하는 행복감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일-가정 촉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IT, 서비스, 제조업 등 총 11 개 기업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 행복감이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장 행복감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 있어 일-가정 촉진 및 가정-일 촉진의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결론 부분에 이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그리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공직사회 유연근무제 활용 만족도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에 관한 연구: 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 관련 요인 및 삶의 질을 중심으로 (Examining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Public Officials' Satisfaction with the Flexible Work System)

  • 김주윤;손지연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1권4호
    • /
    • pp.521-541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antecedent and consequential factors of satisfaction with the flexible working system. Organizational culture was examined as an antecedent factor, while job satisfaction, work perform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quality of life were examined as outcome factors. The data of 2,785 public officials who used the flexible work system in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2022) data set were analyzed using SPSS 28.0. and PROCESS macro's Model 4. The mai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rganizational cultures that respect individuality and cooperation, supports management, and aims for work autonomy all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affect satisfaction with the flexible working system. When ranking the size of influence by the type of organizational culture, work autonomy, respect for individuality, and a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had a positive impact in that order, with work autonomy being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addition, the public officials' age, job preparation period, self-evaluation of workload, and overtime working hours are significant antecedents of satisfaction with the flexible work system. Second, when examining consequential factors,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flexible working system affects job satisfaction (+), work performance (+), organizational commitment (+), turnover intention (-), and quality of life (+). Job satisfaction was an especially valid mediator between satisfaction with the flexible working system and other consequential factors, including work perform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quality of life.

일·가정생활의 갈등과 몰입의 관계: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Work-Family Conflict and Engagement: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 이정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13-121
    • /
    • 2018
  • 본 연구는 일과 가정생활의 갈등이 개인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론적 차원뿐만 아니라 기업경영의 실무적인 측면에서 시사점 발견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증연구를 위해 일과 삶의 갈등을 독립변수로 몰입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또한 자기효능감이 두 변수의 관계에서 의미 있는 조절역할을 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실증자료의 분석 결과, 일과 가정생활의 갈등은 개인의 일과 조직의 몰입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자기효능감은 일 삶의 갈등과 개인의 몰입과의 관계를 조절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일과 가정생활 갈등 분야의 이론적인 기여와 기업의 성과향상과 유지를 위한 관리자의 실질적인 역할에 대한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여성근로자의 일.가정 관계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 비업무적 지원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n the Performance of Women Workers' Work-Family Relationship -Focused on Moderate Effects of Non-Occupational Supporting Systems-)

  • 최은영;장준호;장석주
    • 벤처창업연구
    • /
    • 제7권1호
    • /
    • pp.233-244
    • /
    • 2012
  • 본 연구는 일과 가정 간의 관계가 여성 근로자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여성 근로자의 일과 가정의 원활한 관계 유지와 더불어 갈등 관계를 감소시킴으로써 일과 가정의 균형을 통해 여성 근로자의 근로생활의 질을 높이고 우수 여성인력의 효과적인 활용을 극대화 할수 있는 지원제도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 사무직에 종사하는 850명의 여성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연구대상이 아닌 직종과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최종 500부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고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과 가정 간 조화 관계는 여성근로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일과 가정간 갈등 관계에 있어서는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지만, 조직몰입과는 유의한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과 가정 간 관계와 성과를 조절하는 비업무적 지원제도의 조절효과에 대한 가설을 검증한 결과, 비업무적 지원제도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요컨대, 본 연구에서는 여성근로자의 일과 가정 간 조화 관계의 중요성을 입증하였으며, 여성근로자의 일과 가정 간 갈등 관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지원제도의 구축, 특히 비업무적 지원제도를 기업에서 시급히 마련해야 할 것으로 연구결과는 시사하고 있다.

  • PDF

의료서비스조직 기혼 여성근로자의 직장-가정 갈등, 조직 지원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Work-Family Conflict and Organizational Suppor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mong Married Working Women of Health Services Organizations)

  • 하은정;권수진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1-4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the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among married working women of health services organizations. Data were collected from 149 married working women of health services organizations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areas by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Main results of this study is as the following: First, based on the type of work-household conflicts, namely time-based conflict(2.82 points), strain-based conflict(2.81 points) and behavior-based conflict(2.69 points), working women mainly experienced time and strain-based conflicts. The level of work-household conflicts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younger groups, highly educated, nurses, and regular workers. Second,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und to be an above-average. Especially scores were high in the subcategories of customer orientation(3.84), followed by organizational commitment (3.42) and job satisfaction(3.19). The level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older groups, medical technician and administrative job holders, day-time workers, and higher income groups. Third,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s of work-household conflict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howed that strain-based conflicts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 organizational support found to have a strong controlling effect for strain-based conflict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bove results imply that practical family-supportive policies for lessening the work-household conflicts is crucial for enhanc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health services organization.

  • PDF

여성 관리자의 결혼 및 출산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계획,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male Managers' Marriages and Childbirth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Plans to Leave, and Life Satisfaction)

  • 박경환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6권1호
    • /
    • pp.103-121
    • /
    • 2012
  • This paper used data which consisted of 109 female managers who married and 109 female managers who gave birth over a 2-year period (2008-2010) by 'KWMP: Korean Women Manager Panel' from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KWDI).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study exhibit that 1) female managers' marriages and childbirth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lans to leave. 2) Female managers' marriages also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however, their childbirth did (t=2.49, df=108, p<.014). We used to believe that female managers' marriages and childbirth could disturb their work. However, this study disproved the previous stereotype that female managers' marriages and childbirth would have negativ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lans to leav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human resource departments or female rights and interests organizations.

  • PDF

일과 삶의 균형과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일가치감의 조절효과 (A Study on the Influence of Work-Life Bala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Value of Work(PVW))

  • 손헌일;권혁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77-87
    • /
    • 2018
  • 본 연구는 일과 삶의 균형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근로시간이 길고, 휴일의 패턴이 불규칙한 외식산업 종사자들의 일과 삶의 균형에 주목했다. 외식산업 종사자에게 중요한 일과 삶의 균형의 차원을 밝히기 위해 일과 삶의 균형을 일-가정, 일-성장, 일-여가 영역으로 보다 세분화하여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외식산업 경영자들에게 일과 삶의 균형에 관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일과 삶의 균형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일가치감의 조절효과를 분석했다. 부산, 울산, 경남지역의 외식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과 삶의 균형 차원 중 일-성장균형과 일-여가균형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일-가정균형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종속변수인 조직몰입에 대해서, 독립변수인 일과 삶의 균형과 조절변수인 일가치감의 상호작용효과에서 일-성장균형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독립변수인 일-가정균형, 일-여가균형과 조절 변수인 일가치감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업원에 대한 보상전략이 몰입에 미치는 영향: 재택근무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An Investigation of the Impacts of Employer's Rewards Strategies on Employee's Commitment with Comparison of Home-based Contact Center)

  • 김재영;조부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125-137
    • /
    • 2015
  • 정보기술의 발달에 따라 집에서 근무하는 재택근무제는 조직과 조직원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미래지향적인 근무방식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선진국을 중심으로 재택근무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기업에 요구되는 비용절감 압력 가중에 따라서 재택근무제가 조직 경쟁력 제고의 중요한 수단으로 고려되고 있으나, 재택근무제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조직원의 이탈 및 통제 문제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논의되었던 보상전략들과 조직몰입의 관계를 재택 및 내근의 상이한 근무제도 상황에서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상이한 근무제도에서 기업이 선택해야할 보상전략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기업의 외재적 내재적 보상이 근로자의 지속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요소임을 확인하였으며, 근로자가 지각하는 정서적 몰입이 규범적 몰입을 매개로 지속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단계적 과정을 검증하였다. 특히, 보상지원전략이 조직원의 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근무제도(내근직과 재택근무)에 따라 상이하게 발생함이 실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