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od Fiber

검색결과 477건 처리시간 0.031초

크레졸-물 용매펄프화의 탈리그닌에 관한 초미세구조적 분석 (Utrastructural Analysis of the Delignification Behaviour in P-Cresol-Water Solvent Pulping)

  • 김창근;조병묵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0권1호
    • /
    • pp.60-71
    • /
    • 1992
  • To investigate the delignification behaviour in solvolysis pulping process, Populus alba ${\times}$ glandulosa H. and Pinus Kuraiensis S. et Z. were cooked with p-cresol and vater solvent(2:8, 5:5, 8:2 v/v) at $175^{\circ}C$ for 9 cooking time levels(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min). Pulp yield, residual lignin content, de lignification rate, decarborhydration rate were determined. Delignification behaviours were analyzed by TEM. 1. The p-cresol-water solvent cooking of P. alba ${\times}$ glandulosa showed good delignification at the solvent system which the mixture ratio of p-cresol and water were 2:8(v/v), while the cooking of P. koraiensis with the p-cresol and water mixture ratio of 5:5 was no good. 2. P. alba ${\times}$ glandulosa showed three step-delignification phenomena at the solvent system which the mixture ratio of p-cresol and water were 2:8(v/v) anti 5:5(v/v). But P. koraiensis showed a first order delignification reaction at the same mixture ratio of p-cresol and water solvent system. 3. In TEM micrograph obtained for the solvent system which the mixture ratio of p-cresol and water was 5:5(v/v), the partial delignification of the cell corner of P. alba ${\times}$ glandulosa and P. koraiensis were observed at 60min. of cooking time. Complete delignification at the cell corner of P. alba ${\times}$ glandulosa was observed at 160min. and that of P. koraiensis was observed of 180min. of cooking time. 4. In optical microscopic observation, fiber separation of P. alba ${\times}$ glandulosa occured at 120min. and that of P. koraiensis began at 140min. of cooking time. 5. At the solvent system which the mixture ratio of p-cresol and water was 5:5(v/v), middle layer on secondary wall($S_2$) and cell corner of P. alba ${\times}$ glandulosa were more selectively delignified than primary wall(P) and outer layer on secondary wall($S_1$). However P. koraiensis did not showed any difference in delignification between cell wall layers and cell corner.

  • PDF

국내자생 오미자과(科) 3수종의 잎 형태, 엽록소 함량 및 목부해부학적 특성 (Morphology and Chlorophyll Contents of Leaf and Wood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ree Schisandraceae Species in Korea)

  • 김세현;이갑연;백을선;한진규;강문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1-37
    • /
    • 2010
  • 우리나라에 천연분포하는 흑오미자 4종류(자웅동주 제주 #41, #6, 숫그루, 암그루), 오미자 및 남오미자의 잎의 형태적 특성과 엽록소 함량 변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미자과의 잎 형질, 기공 및 목부 해부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수종 간 많은 차이가 있었으며, 흑오미자 4종류 내에서도 암그루, 숫그루 및 자웅동주 개체 간 많은 차이를 보였다. 잎의 길이는 남오미자가 가장 크고 다음이 오미자, 흑오미자 순이었으며, 흑오미자 4종류에서는 암그루가 가장 크고 자웅동주 개체가 중간이었다. 엽병길이는 흑오미자가 오미자와 남오미자에 비해 2배 이상 길었다. 기공길이에서는 흑오미자가 $92.5{\sim}105.9\;{\mu}m$, 오미자가 $79.9\;{\mu}m$, 남오미자가 $76.2\;{\mu}m$ 로 흑오미자의 기공길이가 길었으며, 기공 폭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보여 흑오미자의 기공 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공밀도는 오미자나 남오미자에 비해 낮았다. 도관요소 및 목부섬유의 크기도 기공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흑오미자 4종류 내에서도 자웅동주와 암그루, 숫그루 간 차이를 보였다. 엽록소 함량조사 결과 종 간 및 개체 간 변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흑오미자와 남오미자의 SPAD-501 값은 각각 $38.8{\pm}6.7$, $39.5{\pm}8.2$로 큰 차이를 볼 수 없었으나, 오미자는 SPAD-501 값이 $29.2{\pm}6.2$로 다른 두 수종에 비하여 매우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Long-term Bias of Internal Markers in Sheep and Goat Digestion Trials

  • De Carvalho, Gleidson Giordano Pinto;Garcia, Rasmo;Vieira Pires, Aureliano Jose;Silva, Roberio Rodrigues;Detmann, Edenio;Oliveira, Ronaldo Lopes;Ribeiro, Leandro Sampaio Oliveir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1호
    • /
    • pp.65-71
    • /
    • 2013
  • Two digestion trials, one with sheep and another with goa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long-term bias (LTB) of the indigestible dry matter (iDM), indigestible neutral detergent fiber (iNDF) and indigestible acid detergent fiber (iADF) internal markers. The study used eight Santa In$\hat{e}$s castrated male sheep (average body weight of 16.6 kg) distributed in two $4{\times}4$ Latin squares and eight Saanen castrated male goats (average body weight of 22.6 kg) distributed in two $4{\times}4$ Latin squares.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simultaneously, and the animals were housed in 1.2 $m^2$ individual pens with wood-battened floors equipped with individual feeders and drinkers. The animals received isonitrogenous diets that were offered ad libitum and contained 14% crude protein and 70% sugar cane (with 0, 0.75, 1.5 or 2.25% CaO, in natural matter percentage), corrected with 1% urea and 30% concentrate. The experiment consisted of four experimental periods of 14 d each, with the feed, leftovers and feces sampled on the last four days of each period. The marker concentrations in the feed, leftovers and fecal samples were estimated by an in situ ruminal incubation procedure with a duration 240 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ake and excretion of the markers was obtained by adjusting a simple linear regression model, independently from the treatment (diets) fixed effects and Latin squares. For both the sheep and goats, a complete recovery of the iDM and iNDF markers was observed (p>0.05), indicating the absence of LTB for these markers. However, the iADF was not completely recovered, exhibiting an LTB of -9.12% (p<0.05) in the sheep evaluation and -3.02% (p<0.05) in the goat evaluation.

신도입 케나프 품종의 파종시기에 빠른 생육 및 수량 변동과 광합성 특성 (Growth, Yield and Photosynthesis of Introduced Kenaf Cultivars in Korea)

  • 강시용;김판기;강영길;강봉균;유장걸;류기중;송희섭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39-146
    • /
    • 2004
  • 제주에서 새로 도입한 케나프 3개 품종(Everglades-41, Chingpi-3, Tainung-2)의 파종시기별 생산성을 검토하였다. 11월 말 수확의 단위면적당 수량(지상부생중)은 Everglades-41가 다른 두 품종보다 적었는데, 파종시기별로는 Chingpi-3은 5월 11일 파종에서 높았고 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였으나, Everglades-41 및 Tainung-2은 5월 21일 및 6월 1일 파종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단위엽면적당 광합성 능력은 Everglades-41이 다른 두 품종보다 높았는데, 이것은 Everglades-41의 잎모양이 타 두품종과 다른 것과 높은 광이용 효율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Everglades-41의 생장량은 두 품종보다 낮았는데, 이것은 생육초기에 병충해에 의한 생육 저해에 의한 것 이외에도 광호흡(photo respiration)이 높은 점으로 보아 광호흡에 의한 물질 생산량의 손실도 고려 대상이다. 생산적인 측면을 고려 할 때 제주 지역에서는 Chingpi-3을 5월중순경 파종해서 재배하는 것이 적당할 것으로 보여지나, 본 시험에 공시한 3품종은 제주에서의 채종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여진다.

화학물질 배출량 변동 요인과 배출저감 정책의 조합 (Emission Factors of Chemical Substances and the Abatement Policies in Korea Industries)

  • 이해춘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8권4호
    • /
    • pp.653-693
    • /
    • 2009
  • 본 연구는 한국의 환경투입산출모형을 이용하여 유독물질 및 발암물질의 산업별 배출강도와 배출량 변동에 대한 경제적 요인을 분석하고, 배출 감축을 위한 정책조합을 제시한 것이다. 분석에 이용된 자료는 2000년~2007년의 산업별 화학물질 배출량과 산업연관표 자료이다. 분석결과, 동기간 중 발암물질의 배출은 감소하였으나, 유독물질의 배출은 증가하고 있다. 유독물질의 총배출 강도가 높은 산업은 출판인쇄 및 복제(12), 기타운송장비(26), 펄프종이 및 종이제품(11), 가죽가방 및 신발(9), 섬유직물(7) 등이며, 발암물질의 TEI가 높은 산업은 목재 및 나무제품(10), 자동차 및 트레일러(25),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15), 영상음향 및 통신장비(23) 등이다. 유독물질과 발암물질의 변동에 크게 기여한 경제적 요인은 생산 과정에서의 배출계수 관리와 수요면의 최종수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배출량을 효율적으로 감축하기 위한 정책 수단의 조합은 물질군별로 산업부문별로 상이하게 나타난다. 섬유직물(7), 컴퓨터 및 사무용기기(21), 운송장비(26) 등은 배출계수를 관리하는 것이 효율적이며, 조립금속제품(18)은 최종수요를 관리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배출계수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가구 및 기타제조업(27), 고무 및 플라스틱(15)은 최종수요 관리가 적극 추진되어야 하며, 자동차(25), 코크스석유정제(13), 1차금속(17), 화학(14)은 배출계수 관리와 보조적인 최종수요 관리가 요구되는 부문이다. 이러한 정책 조합은 인체유해 화학물질 감축을 위한 환경정책의 수단에서 산업부문별 물질군별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 PDF

동국대박물관 소장 보타전명 목조감실 과학적 분석 및 보존처리 (Scientific Analysis and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Wooden Gamsil with Inscription of "Botajeon" in the Collection of the Dongguk University Museum)

  • 이의천;강민지;박정혜;김수철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7권
    • /
    • pp.125-146
    • /
    • 2022
  • 동국대학교 박물관 소장 보타전명 목조감실은 조선후기 목조 건축 양식으로 제작한 목조감실이다. 목조감실 안료의 박락, 부재의 탈락 등 손상이 확인되어 보존처리를 진행하였다. 보존처리 전 손상형태와 유형을 분류하고, 과학적 분석(수종 분석, 섬유 동정, 안료의 성분분석(P-XRF))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제작에 사용된 목재는 주로 잣나무류, 현판은 가래나무속, 섬유는 벼섬유로 식별되었다. P-XRF 결과, 백색 안료는 연백과 아연화, 적색안료는 장단, 청색안료는 울트라 마린 블루, 녹색 안료는 에메랄드 그린으로 확인하였다. 목조감실의 보존처리는 건식·습식세척으로 고착된 오염물을 제거한 후 탈락한 부재들을 위치에 맞게 접합하고, 일부 결손부를 복원하였다.

1:50 다목적홀의 음향평가를 위한 축소모형재료의 선정 (Selection of Scale Model Materials for Acoustical Evaluation of 1:50 Multipurpose Halls)

  • 전진용;김정준;김용희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781-789
    • /
    • 2009
  • 다목적홀의 음향을 1:50 축소모형으로 예측 및 평가하기 위해 필요한 모형재료의 구성과 흡음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실제 홀에서의 반사면 및 가변음항요소, 객석의 설계요소별 흡음특성 (125Hz-lkHz 평균)을 기준으로 축소모형의 형상과 재질을 선정하였으며, 흡음율은 상사의 법칙과 ISO 354를 준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주벽체의 평균흡음율은 0.08로 래커 코팅된 MDF나 아크릴이 적합하며, 객석 의자, 관객 및 연주자 평균흡음율은 각각 0.64, 0.74와 0.45를 목표로 할때 목재, 흡음천과 폼보드를 조합하여 흡음률을 재현하였다. 흡음커튼과 배너는 적용부위 및 단면설계에 따라 흡음재의 마운팅 방법을 선택하였으며, 배면공기층이 없는 상태 (A형 마운팅)에서의 평균흡음율이 0.42, 0.9 m 배면공기층 조건에서 시료 양단이 고정된 상태 (E형 마운팅)에서는 0.47, 천장에 매단 상태 (G형 마운팅)에서는 0.45로 나타났다. 특히, 배면공기층의 증가에 의해 저주파 대역 흡음력이 증가하였다. 스테이지 하우스 내부는 평균흡음율 0.68의 Fiber glass board 시공을 예상하여 흡음재와 스피커망 원단을 조합하여 재현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모형 재료의 형상과 흡음특성은 향후 1:50 축소모형으로 다목적홀의 형상에 의한 중주파 대역 이하의 음향예측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조림지(造林地)에서 선발(選拔)한 자연(自然) 4배체(倍體)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L.)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a Tetraploid of Robinia pseudoacacia L. Selected in the Planted Forest)

  • 김정석;이석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9-44
    • /
    • 1972
  • 당연구소(當硏究所) 북서편(北西便)에 위치(位置)한 칠보산(七寶山)에서 자연생(自然生) 광엽계통(廣葉系統)의 아까시나무를 선발(選拔)하여 몇가지 특성(特性)들을 조사(調査)하였다. 염색체수(染色體數)에 있어서는 역시 2n=40으로 인위(人爲) 4배체(倍體)와 같은 수(數)를 갖이고 있었으며 외부형태(外部形態)은 잎이 크고 농록색(濃綠色)을 나타내며 두터웠다. 그리고 기공(氣孔)의 길이와 단위면적당(單位面積當) 기공(氣孔)의 수(數)에 있어서는 2배체(倍體)와 비슷하였으나 섬유(纖維)의 길이 및 폭(幅)은 2배체(倍體)보다 증대(增大)되였고 생장상황(生長狀況)에 있어서는 인위(人爲) 4배체(倍體) 광엽(廣葉) 아까시나무와 큰 차이(差異)가 없었다.

  • PDF

신문용지용(用) 지료(紙料)의 조성조건(調成條件)에 의한 보류(保留)의 변화(變化) (Influences of Wire Retention on the Newsprint Process Affected by Stock Preparation Conditions)

  • 김봉용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1권
    • /
    • pp.1-9
    • /
    • 1993
  • 신문 용지용(用) 지료(紙料)의 조성조건(調成條件)에 따른 보류(保留)의 변화를 연구(硏究)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수가 있었다. 1. 온도(溫度)의 상승(上昇)에 따라 보류(保留)는 지료(紙料)의 종류 및 배합비(配合比)에 관계없이 감소(減少)하였으며 GP보다 DIP가 온도(溫度)변화에 민감(敏感)하였다. 2. pH변화에 따른 보류(保留)의 변화는 GP와 DIP 및 GP/DIP=50/50 모두 pH5에서 보류(保留)가 가장 높았으며 pH 5보다 높거나 낮으면 감소(減少)하였고 DIP가 GP보다 감소(減少)가 적었다. 3. Alum첨가(添加)에 따른 보류(保留)의 변화는 GP와 GP/DIP=50/50의 경우 2% 첨가(添加)에서 보류(保留)가 가장 높았고 DIP는 3% 첨가(添加)에서 가장 높았다. 4. 보류(保留)는 지료(紙料)의 응집작용(凝集作用)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 PDF

종굽힘강도시험방법을 이용한 폴리에틸렌 보트 선체의 구조 설계 (Structural Design of Polyethylene Boat Hull by using Longitudinal Bending Strength Test Method)

  • 조석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447-8454
    • /
    • 2015
  • 레저 보트 선체의 구조설계규격과 재료는 ISO 12215-5에 규정되어 있으며 선체 전장이 2.5m이상 24m미만이면서 선체재료가 강, 알루미늄, FRP등에 대해서만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선체 전장이 2.5m이하이거나 선체 재료가 ISO 12215-5의 규정 재료이외인 레저 보트인 경우 ISO 12215-5의 구조설계규격을 적용시킬 수 없고 ISO 12215-5의 부속서에 규정된 낙하시험만으로 구조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선체낙하시험은 제작된 선체에 대하여 적용하는 것은 가능하나 선체를 구조설계단계에서 적용하는 것은 상당한 설계 및 시험 비용등을 초래하므로 현장 적용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일본 소형 선박 검사 사무 규정 세칙에서 제안하고 있는 선체의 종굽힘강도시험규격을 폴리에틸렌 보트 선체의 구조 설계에 응용하여 ISO 12215-5의 비선급표준재료로 제작된 폴리에틸렌 보트의 종굽힘강도시험규격의 허용 설계 변위 기준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