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ission Factors of Chemical Substances and the Abatement Policies in Korea Industries

화학물질 배출량 변동 요인과 배출저감 정책의 조합

  • 이해춘 (성균관대학교 경제학부)
  • Received : 2009.10.10
  • Accepted : 2009.11.30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Using the Korean environmental input output analysis, this paper provides the emission intensities of the chemicals, especially, the toxic and carcinogenic substances, by linking the structure of demand, and the policy mix to abate these substances emissions. Acording to the results, Industries with the highest total emission intensities(TEI) of toxic substances are ranked : Printing and reproduction of recorded media(21), Other transportation equipment(26), Pulp and paper(11), Leather and fur products(9), Fiber yarn and fabrics(7). And the highest TEI of carcinogenic substances are Wood and wooden products(10), Motor vehicles and parts(25), Plastic and rubber products(15), Audio, video and communications equipment(23), etc.. The economic factors of changing these emissions are emission intensities and final demands. The effective combinations of policy instruments to abate these emissions are varied by the industries and substances. For example, Government need to execute the effective TEI management in the Fiber yarn and fabrics(7) sector, and, in furniture(27) sector, the reduction of final demand is more effective.

본 연구는 한국의 환경투입산출모형을 이용하여 유독물질 및 발암물질의 산업별 배출강도와 배출량 변동에 대한 경제적 요인을 분석하고, 배출 감축을 위한 정책조합을 제시한 것이다. 분석에 이용된 자료는 2000년~2007년의 산업별 화학물질 배출량과 산업연관표 자료이다. 분석결과, 동기간 중 발암물질의 배출은 감소하였으나, 유독물질의 배출은 증가하고 있다. 유독물질의 총배출 강도가 높은 산업은 출판인쇄 및 복제(12), 기타운송장비(26), 펄프종이 및 종이제품(11), 가죽가방 및 신발(9), 섬유직물(7) 등이며, 발암물질의 TEI가 높은 산업은 목재 및 나무제품(10), 자동차 및 트레일러(25),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15), 영상음향 및 통신장비(23) 등이다. 유독물질과 발암물질의 변동에 크게 기여한 경제적 요인은 생산 과정에서의 배출계수 관리와 수요면의 최종수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배출량을 효율적으로 감축하기 위한 정책 수단의 조합은 물질군별로 산업부문별로 상이하게 나타난다. 섬유직물(7), 컴퓨터 및 사무용기기(21), 운송장비(26) 등은 배출계수를 관리하는 것이 효율적이며, 조립금속제품(18)은 최종수요를 관리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배출계수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가구 및 기타제조업(27), 고무 및 플라스틱(15)은 최종수요 관리가 적극 추진되어야 하며, 자동차(25), 코크스석유정제(13), 1차금속(17), 화학(14)은 배출계수 관리와 보조적인 최종수요 관리가 요구되는 부문이다. 이러한 정책 조합은 인체유해 화학물질 감축을 위한 환경정책의 수단에서 산업부문별 물질군별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