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phology and Chlorophyll Contents of Leaf and Wood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ree Schisandraceae Species in Korea

국내자생 오미자과(科) 3수종의 잎 형태, 엽록소 함량 및 목부해부학적 특성

  • Received : 2009.08.10
  • Accepted : 2010.02.07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It was investigated that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eaf and stomata, chlorophyll contents and wood anatomy characteristics in Schisandra chinensis, Schisandra nigra and Kadsura japonica. Lea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 at 5% levels within the species and within the individuals as a male, a female and monoecious. K. japonica was the longest in the leaf length, followed by S. chinensis and S. nigra. For the leaf length among S. nigra individuals, the female was longer than male and monoecious. As for the Petiole length, S. nigra was twice longer than S. chinensis and K. japonica. Stomata length was ranged from $92.5\;{\mu}m$ to $105.9\;{\mu}m$ for S. nigra, $79.9\;{\mu}m$ for S. chinensis, $76.2\;{\mu}m$ for K. japonica. S. nigra was longer than the others in length and width, while its stomata density was lower than the others. The size of vessel elements and xylem fiber showed a similar tendency to stomata, significant at 5% levels within S. nigra individuals (male, female and monoecious). Chlorophyll contents were also variable in inter and intra species and in general K. japonica showed higher levels of chlorophyll contents than Schisandra spp. plants.

우리나라에 천연분포하는 흑오미자 4종류(자웅동주 제주 #41, #6, 숫그루, 암그루), 오미자 및 남오미자의 잎의 형태적 특성과 엽록소 함량 변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미자과의 잎 형질, 기공 및 목부 해부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수종 간 많은 차이가 있었으며, 흑오미자 4종류 내에서도 암그루, 숫그루 및 자웅동주 개체 간 많은 차이를 보였다. 잎의 길이는 남오미자가 가장 크고 다음이 오미자, 흑오미자 순이었으며, 흑오미자 4종류에서는 암그루가 가장 크고 자웅동주 개체가 중간이었다. 엽병길이는 흑오미자가 오미자와 남오미자에 비해 2배 이상 길었다. 기공길이에서는 흑오미자가 $92.5{\sim}105.9\;{\mu}m$, 오미자가 $79.9\;{\mu}m$, 남오미자가 $76.2\;{\mu}m$ 로 흑오미자의 기공길이가 길었으며, 기공 폭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보여 흑오미자의 기공 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공밀도는 오미자나 남오미자에 비해 낮았다. 도관요소 및 목부섬유의 크기도 기공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흑오미자 4종류 내에서도 자웅동주와 암그루, 숫그루 간 차이를 보였다. 엽록소 함량조사 결과 종 간 및 개체 간 변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흑오미자와 남오미자의 SPAD-501 값은 각각 $38.8{\pm}6.7$, $39.5{\pm}8.2$로 큰 차이를 볼 수 없었으나, 오미자는 SPAD-501 값이 $29.2{\pm}6.2$로 다른 두 수종에 비하여 매우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삼식, 정재민. 1995. 한국산 옻나무科의 분류학적 연구. 한국임학회지 84:151-165.
  2. 김세현. 1998. 황칠나무 생태와 우량개체 선발에 관한 연구. 경상대 박사학위논문. 134p.
  3. 김영모. 1995. 한국 상수리나무 집단의 형태적, 생리적 특성 및 유전변이에 관한 연구. 강원대 박사학위논문. 111p.
  4. 김영호, 유연현, 오승환. 1996. Alternaria alternata에 항균력이 있는 천연물 조사. 한국식물병리학회지 12:66-71.
  5. 박광우. 1994. 목련과 식물의 분류학적 연구. 임연연보. 50:173-190.
  6. 박홍락, 구영본, 변광옥, 김판기. 1996. 내공해수 품종육성시험 연구결과. 임목육종연구소 연구보고서 pp230-259
  7. 소웅영, 박상진. 1985. 한국산 목본식물에 대한 계통분류학적 연구. -목련과 붓순나무과 및 오미자과의 비교목부 해부. 한국식물학회지 28 :271-284
  8. 이갑연. 1998. 흑오미자의 생리생태, 번식 및 유전변이에 관한 연구. 강원대 박사학위논문. 134p.
  9. 이정환. 1992. 한국산 운향과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경상대 박사 학위논문. 114p.
  10. 이정숙, 이성우. 1990. 오미자 열매의 물추출물이 알콜대사에 미치는 효과. 한국식품화학회지 5:259-263.
  11. 이창복. 1979.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p. 375-376.
  12. 제주도. 1985. 제주식물도감. 제주도 인쇄공업협동조합. p.140-141.
  13. 홍병화, 문창국, 신동소. 1972. 지리산산 참나무류 목섬유 변이에 관하여. 한국임학회지 14 :33-38.
  14. Bailey, L. H. and E. Z. Bailey. 1976. Hortus Third-A concise dictionary of plants cultivated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McMillan publishing company pp. 620-1017.
  15. Boardman, N.K. 1977. Comparative photosynthesis of sun and shade plants. Ann. Rev. Plant Physiol. 28:355-377. https://doi.org/10.1146/annurev.pp.28.060177.002035
  16. Dilhcer, D.L. 1974. Approches to the identification of angiosperm leaf remains. Bot. Rev, 40:1-40. https://doi.org/10.1007/BF02860067
  17. Fryns-claessens, E. and W. Van-Cotthem. 1973. A new classification of the ontogenetic types of stomata. Bot, Rev, 39:71-137. https://doi.org/10.1007/BF02860071
  18. Gindel, I. 1969. Stomatal number and size as related to soil moisture in tree xerophytes in Israel, Ecology 50:263-267. https://doi.org/10.2307/1934854
  19. Jalan, S. 1962. The ontogeny of stomata in Schisandra grandiflora Hook. f, Thoms, Phytomorphology 12:239-242.
  20. Kramer, P.J. and T.T. Kozlowski, 1979. Phyaiology of woody plants. Acad. Press. New York
  21. Lichtenthler, H.K., C. Buschman, and U. Rahmsdorf. 1980. The importance of blue light for the development of sun-type chloroplasts. in The blue light syndrome. Senger, H. Ed.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and New York. p. 485 -494.
  22. 丹下 健, 金坂基, 佐ヶ木惠彦. 1994. ポプラバイオマス林の樹冠 各部の受光條件と葉 の生理 特性. HCP年(ISSN0913-4549, CODEN:BHKHEZ). 31:43-56.